자유 게시판

jinwoo4130의 이미지

리눅스공부 ubuntu centos redhat 중 어떤걸로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요즘 프로젝트를 하는데 리눅스에 대한 기초가 부족해 차근차근 공부를 하려고합니다.

그러던 중 검색을 해보니
ubuntu -> 성능은 좋지만 실제 회사가면 사용하지 않음
centos -> 짱짱 기관에서도 사용
redhat -> 오래됨..

뭐 이런분위기던군요 ..
저는 우분투를 하고 싶은데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그리고 우분투공부할 수 있는 자료나 책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apony12의 이미지

Slackware Linux OS 에 대해서...

슬랙웨어 리눅스에 대해서 2013년에 릴리즈된 이후에 멈췄던데요.full 설치를 해도 안에 기능도 별로 없고...

제가 아는 게 아직 별로 없어서 어떤 기능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신지요.

fdisk 로 설정하면 swap partition 과 Linux Partition을 잡아놓고 저장해도 정작 setup에 들어가면 NTFS 두개가 있습니다.그래서 되지 않습니다.cfdisk로하니깐 되더군요

문제는 slackware Linux 홈페이지에 fdisk 기능을 써놨더군요.cfdisk는 어디에도 없습니다.이래도 되는 건가요?

shint의 이미지

최대절전모드'로 순간부팅. 로딩하는 방법 + VHD. UEFI

어떻게 하면. 하드에서도 빠르게 로딩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윈도우를 빠르게 부팅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게임을 빠르게 로딩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찾아보았더니. 최대 절전 모드가 있었네요. ㅇ_ㅇ;;

최대 절전 모드는 현재의 윈도우 프로세스와 메모리를 모두 저장해 둡니다.
그래서. 다시 읽게 되면. 종전과 똑같이 실행할 수 있게 된다는 가정을 하게 됩니다.

VHD 는 가상하드와 가상 윈도우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UEFI 는 UI가 있는 BIOS 인터페이스와 64KB였던 로딩 속도를 1MB 로 개선시켜서. 윈도우 8.1 에 적용 됐다고 합니다.


어쨌든.
최대 절전 모드'를 잘 활용한다면.
순간 부팅. 순간 로딩이 가능해 보입니다.
몇 분씩 걸리던 로딩 시간이 줄어들게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hyomin35의 이미지

임베디드SW 개발자센터 이용안내(성남시 분당구, 개발공간 무료이용 가능)

임베디드SW 개발자센터가 SW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무료"로 개방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KLDP" 개발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이용바랍니다.

ㅇ장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696-2 글로벌 R&D센터 A동 5층
- 상세위치 : http://goo.gl/1QHm5T

ㅇ이용방법 : 홈페이지(http://embeddedsw.kr) 가입 후 이용신청 가능

ㅇ운영시간 : 평일 오전 9시 ~ 오후 7시(주말, 명절,국경일 휴무)
* 공 휴 일 : 8월 14일(금), 임시 공휴일 휴무

ㅇ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embeddedswdev

shint의 이미지

게임 로딩시간을 4분에서 2분으로 단축하기

윈도우 10 부터. 마이크로 소프트사가 App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해보니. 속도. 용량 모두 최상급 품질입니다. 메모리에 200MB 에 자동차 게임이 잘 돌아갑니다.

App 과 닷넷의 배포기능을 잘 활용하면. 느리고 무겁던 기존에 게임들도 가볍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여간. 이것과는 상관없이. 2분이라는 로딩시간이 줄어들어서. 알려드리고자 글을 적습니다.
프로그램과는 별 상관이 없습니다.

마영전 게임을 실행할때. 4분이 넘는 시간이 걸립니다.
몇가지 옵션을 통해서. 2분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정확히 2분 13초)


좋은 컴퓨터. SSD. RAM 늘리면 분명히 빠르겠지만. ㅇ_ㅇ;; 그렇지 못하다면. 이것도 도움이 될겁니다.

CPU : 코어2 듀오 E7400
RAM : 2GB
GPU : Geforce GT 630
OS : Windows 10 Pro K (아마 Window 7 도 될겁니다.)

digit9908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취업을 하는데 도움을 좀 구하고자 글을 올립니다.

저는 통계학과(인문계열 소속)에 재학중이며 취업을 준비 중인 학생입니다.

iot플랫폼을 개발하는 회사들을 눈여겨보고 있고, 해당 분야에서 일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개발부서가 아닌 마케팅부서에 취직을 하려고 합니다. 이 커뮤니티가 개발자분들을 위한 사이트인 것은 알고

있으나 도움을 얻을 수 있을까 해서 글을 씁니다.

저의 질문은,

1. 통계프로그램 R이 프로그래밍 언어들과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는 건가요?

2. 만약 관련이 있다면, 사용 경험이 IT회사에서 어필이 될 정도일까요?

3. 개발자분들은 현업에서 R을 사용하시는지요?

이상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rosium의 이미지

듀얼모니터 에서 다시 하나의 모니터로 돌아가려면 어떻게 찾아봐야할까요?

centOS를 듀얼모니터로 쓰고 있었는데

모니터 하나를 팔았습니다. 미리 설정을 해놨어야 하는데 + 1st 모니터를 팔아버리는 바람에

남은건 화면에 아무것도 없는 centos 2nd 모니터화면 밖에 없네요

이럴때는 어떻게 뭘 검색해야할까요?

듀얼모니터로 어제부터 검색중인데 죄다 듀얼모니터로 쓰는 방법 밖에 없는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kkb의 이미지

top-post 에 대한 질문

오픈소스 메일링 리스트에 참여해서 대화를 하다보면
Don't top-post.라는 말을 하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nopynalda의 이미지

프로그램 어떻게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저는 프로그래머는 아니고 취미로 홈페이지 정도 만들다가 프로그램에 맛 드려서 HTML5 / CSS3 정도 다루게 되었고 그러다 보니 자바스크립트랑 PHP 관심 가지게 되었는데요.
꾸준히 웹개발 쪽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현재 자바스크립트 공부중이고 끝나면 PHP를 배워 볼까 하는데 이렇게 배워 나가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취미로 시작했으나 2-3년 공부해서 전업할 계획이고요. 그래서 차라리 현재 배우는 자바스크립트 공부 끝나면 파이썬이나 자바 개발쪽 언어를 습득하는게 더 좋은건지 무척 고민되네요.

주의에 뭐 따로 개발자 분들이 없다 보고 있느 분들은 닷넷 개발쪽 하시는 분들이라 상담해도 딱히 답도 없네요.
어떻게 배워나가는게 좋은걸까요?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