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에 대한 걱정을 하던중 KLDP에 오게되었네요^^;
KLDP 이 사이트에는 예전 수많은?과제들과..
범람하던 삽질들 가운데 자주 들어와서 정보를 많이 얻어가긴 했지만~
글을 쓰는건 처음이군요. 반가워요 ^ ^;;
학부생 4학년 1학기도 지나가고
대학원진학을 코앞?은 아니지만 두고. 요즘 고민이 참으로 많아지더군요
제가 다니는 학교에 오시는 교수님들 말씀을 들어보면(현재 박사과정을 하시는분들도 계셔서..)
지레 겁을 주시곤 하더라구요..ㅠㅠㅋㅋ
물론 제가 대학원 가야할 필요성을 대학 4년이 되가는 이시점 너무 뼈저리게 느끼고
그렇다고 어디 취직을 하자니 제가 너무 모자른거 같기도 하고
가장 중요한건 제가 좀더 전문적이어야(더 배워야) 되겠다는 생각을 해서
대학원 오면 폐인이 된다는둥 처음 1년정도는 공부가 아니라 사회에 대해 배워갈꺼라는둥 ㅋㅋㅋ
교수님의 열화와 같은 악조건의 묘사를 뿌리치고 대학원 입학을 하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9월이나 10월중에 대학원(09년도 1학기 입학이겠죠?) 모집을 한다고 해서 여름방학때 독하게 하려구요..
(독하게라고 해봤자 영어공부랍니다^^;;)
잡솔이 너무 길어 졌는데..
딱히 제가 세부전공을 뭘로 하지 생각을 해본적이 없었으나 요즘들어 네트워크 혹은 웹서비스
관련해서 '이 전공을 잘살려보자'가 아니라 '우왕 신기하다. 더 파보고 싶음' 이정도 느낌이 들더군요^ ^
최근에 EJB라는 과목을 들어 보고나서 더 재미있겠구나라는 생각도 하게 되고요..분산네트워킹에도 호기심이..ㅋㅋㅋ
최근 졸작으로는 센서네트워킹으로 간단한 작품을 만들고 있기도 하고요.
결론적으로 네트워크쪽에 공부를 더 해보고 싶은데요.
물론 호기심만 가지곤 안되는줄 알면서도
호기심이라도 없는 전공 붙잡느니 적당히 제 스스로 재미를 느끼는 전공을 파고자
네이버에서 열심히 네트워크중에서도 센서네트워크나 분산네트워크에 좀 저명?하신 교수님들 혹은 학교를 물색을 하려하는데
그게 쉽지가 않네요.
이런 질문 그냥 네이버에 하면 되지 않겠나 싶으실지도 모르겠지만..
저도 나름 검색의 검색을 해본결과 귀여운 곰돌이가 웃고있는........;; 이아닌 더 와닿는 이곳에 글을 올리게 되었네요..
글이 너무 중구난방이라 요약해서 한줄로 쓰자면
* 네트워크쪽으로 유명?저명?많은것을 배울수 있는 교수님이 계신 대학원 추천좀 해주세요 ㅠㅠ
입니다.
서울대,카이스트,포항공대,혹은 외국대학원외에 추천을 해주셨으면...하는..바람이.....흐엉엉ㅋㅋ
그리고, 제가 공대여자 <--ㅋㅋ 라서 적당한 대학원라이프에대한 조언도 부탁드립니다^^;;ㅋㅋ 겁주셔도 환영!
글쎄요. 첫 답글부터
글쎄요. 첫 답글부터 삐딱해서 죄송합니다만
'대학원'으로 KLDP 검색을 한번 해보세요.
저도 예전에 그랬지만 대학원 연구실에 대한 문의는 답변을 받기 어려울 겁니다.
연구실 출신이신 분들도 아니신 분들도
어느 연구실에 좋은지 잘 모르실것 같습니다.
저부터도 모르는 사람이 와서 제 출신 연구실이 좋냐고 물어보면
대답하기가 많이 난감합니다.
그 사람의 환경이나 관심이나 취향에 따라 너무나 달라지니까요.
그리고 더 큰 이유는 다른 연구실 사정을 아는게 아니라서
비교할 수도 없구요.
제 생각에는 자대나 타 유명대학교 교수님을 직접 찾아뵙는게
제일 좋은 방법 같습니다.
----
세상을 바꾸는 것은 단 한 사람. 오직 하나님의 사람뿐이다.
http://www.asmlove.co.kr
http://blog.naver.com/gurugio
네트웍쪽이라면
네트웍쪽이라면
포항공대의 김치하 교수님을 추천합니다.
뭐 번역서에 대한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 이부분은 ~ 살짝 눈감아 보세용 -0-
랩 안의 대학원생들 실력과 교수님 실력만큼은 정말 국내에서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왜 포항공대를 제외하고란 단서를 붙이셨는지 모르겠지만, 국내에서 네트웍쪽으로 대학원 가고 싶으시다면 전 김치하교수님 이외엔 꼽을 만한 분을 잘 모르겠습니다.
Neogeo - Future is Now.
Neogeo - Future is Now.
1. 학회 웹싸이트를
1. 학회 웹싸이트를 활용하세요. ACM이나 IEEE에서 관련 분야의 컨퍼런스에서, 어떤 주제로 논문을 모집하는지 (call for paper) 보시면 조금 도움이 될 껍니다
2. DBLP와 같은 사이트를 이용해서 연구자 별로 논문 내역을 볼 수 있습니다. 논문 수가 꼭 중요한 건 아니고. (비슷한 내용으로 논문이 쭉 이어질 수도 있음) 큰 참고가 될 껍니다
3. 대학원 생활은.. gurugio님 말씀처럼, 사람마다 다른 것 같습니다. 연구 중심인지 아니면 프로젝트 중심인지.. 연구 중심이라고 해도 프로젝트일 수도, paper work 위주일 수도 있고 그렇죠. 교수님이 학생의 연구에 관심을 쓰실 수도 있고, 알아서 하라는 식일수도 있고요. 보수나 연구실 분위기도 중요한 요소죠. 생활하다보면.
하지만 모든게 만족스러울 수는 없습니다 :) 긍정적인 마인드와 적극적인 자세가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 (많이 찔리는군요 -_-; )
관련 연구실 홈페이지 가면 교수님이나 대학원생 연락처가 있을 테니 한번 컨택해보시는 것도 좋고요.. 보통 그런 연락에 잘 대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