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168.1.1 이 아마도 공유기일것 같은데요. 들어가면 보통 이런저런 설정을 해줄수가 있습니다.
아마 현재 이런 상태일건데...
A : 공유기 ip : 192.168.1.1
B : 리눅스컴 ip :192.168.1.100
C : 윈도우즈컴 ip : 192.168.1.101
물론 B,C 의 ip 는 다를겁니다. 공유기 설정한대로 가는거니까요.
외부 인터넷에 직접 연결된건 공유기고 그 공유기가 내부에 사설 ip 를 만들어서 서비스를 하고있는구조니까요, 외부에서 연결하려면 공유기가 받은 공인 ip 를 통해 접근해야합니다.
내부에 있는 아무 pc 에서 http://whatismyip.com 에 들어가보세요 현재 받은 공인 ip 가 나올겁니다.
외부에서 공인 ip 로 접근하면 공유기가 거기에 응답을 할껀데 만약 ftp 서비스(기본적으로 20,21번 포트일겁니다. 어느 포트를 사용할지는 쓰는사람 맘이죠) 20,21번 포트에 대해 요청이 온 경우 이걸 내부의 리눅스컴으로 보내줘야합니다. 이런걸 포트포워딩이라고 하는데요
192.168.1.1 로 들어가서 공유기 설정에서 20,21번 포트에 대해서는 B (위의 예대로라면 192.168.1.100) 으로 포워드 시켜주면 됩니다.
음..별거도 아닌데 길게써버렸네요. 직접 해보시면 매우 간단하고 명확한거니까 금방 성공하실겁니다.
Port Forwarding 해주시면 됩니다.
192.168.1.1 이 아마도 공유기일것 같은데요. 들어가면 보통 이런저런 설정을 해줄수가 있습니다.
아마 현재 이런 상태일건데...
A : 공유기 ip : 192.168.1.1
B : 리눅스컴 ip :192.168.1.100
C : 윈도우즈컴 ip : 192.168.1.101
물론 B,C 의 ip 는 다를겁니다. 공유기 설정한대로 가는거니까요.
외부 인터넷에 직접 연결된건 공유기고 그 공유기가 내부에 사설 ip 를 만들어서 서비스를 하고있는구조니까요, 외부에서 연결하려면 공유기가 받은 공인 ip 를 통해 접근해야합니다.
내부에 있는 아무 pc 에서 http://whatismyip.com 에 들어가보세요 현재 받은 공인 ip 가 나올겁니다.
외부에서 공인 ip 로 접근하면 공유기가 거기에 응답을 할껀데 만약 ftp 서비스(기본적으로 20,21번 포트일겁니다. 어느 포트를 사용할지는 쓰는사람 맘이죠) 20,21번 포트에 대해 요청이 온 경우 이걸 내부의 리눅스컴으로 보내줘야합니다. 이런걸 포트포워딩이라고 하는데요
192.168.1.1 로 들어가서 공유기 설정에서 20,21번 포트에 대해서는 B (위의 예대로라면 192.168.1.100) 으로 포워드 시켜주면 됩니다.
음..별거도 아닌데 길게써버렸네요. 직접 해보시면 매우 간단하고 명확한거니까 금방 성공하실겁니다.
port
아.. 찾았습니다. 하는 방법도 알것 같구요
근데 문제는 저는 아이피를 직접 입력 하는것이 아니라
현재 접속 되있는 아이피를 탭으로 출력하여 선택하는 것인데
리눅스가 나오질 않는 군요 ㅡ.,ㅡ;;;
리눅스는 Centos 5 2.6.18-53.1.14.el5 입니다.
먼가를 풀어 줘야 하나요?
우째 공유기가 인식을 못하지;;
근데 인터넷도 되고 윈도우 컴에서도 접속이 된다는;;;
아...이문제....
저도 그건 궁금하네요. 비슷한 현상을 겪고있는데, 제 공유기에서 현재 물려있는녀석들이 리스트로 쭉 나오는데, 그중 일부가 안나오는 현상이 있는데요
문제는 그게 까먹고 있다가 한 며칠 있다가 다시 보면 나와있기도 하고 그러더라구요.
이문제는 다른 고수분이....
포트 포워딩을
포트 포워딩을 사용하면, 공유기의 특정 포트로 들어간 정보가 지정된 컴퓨터의 포트로 전송됩니다.
가령 공유기 IP가 211.189.24.120 라고 가정했을 때
넷에서 211.189.24.120:80 로 접속을 시도하면,
공유기는 수신받은 데이터를 192.168.0.100:80 으로 전송합니다.
공유기에서 수신하는 포트와 서버가 수신하는 포트는 변경 될 수 있습니다.
ex) (웹)211.189.24.120:1234 ---(내부 네트워크)---> 192.168.0.100:22
공유기에서 지원한다면 (전부 지원하는지도 모르겠지만요...) 여러 포트를 묶어서 포워딩할 수도 있습니다.
ex) 1234 ~ 1240 ----> 80
그리고 DDNS (Dynamic Domain Name Service) 서비스를 사용하는게 편합니다.
찾아보면 공유기에 그런 기능이 있을겁니다
그러면 불의의 사고(?)로 공유기의 IP주소가 변경되어도 도메인만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목록에 컴퓨터가 뜨지 않는다니 -ㅅ-; 그런 경우는 잘 모르겠네요.
저희 집에 최대 5대까지 물려봤는데도 안나오는 컴퓨터는 없었다는...
두가지 방법...
두가지 방법이 있을것 같네요..
한가지는 윗분들이 말씀하신 포트포워드 방법이고,
나머지 한가지는 공유기에 대부분 있는 DMZ 설정부분에서
리눅스 서버에 할당된 아이피를 넣어주는 방법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DMZ 설정에 리눅스서버를 넣어주면 사용용도가 많은 윈도에서 가끔 따라오는 제약이 조금있을겁니다.
이런 부분이 어려우시다면 차라리 공유기 구입시 동봉되어있던 메뉴얼참고하는 방법이나,
해당 제품에 A/S센터 혹은 홈페이지 기술지원부분에 보시면 대부분 그 방법을 설명해둔 부분이 있을겁니다
참고하시면 해결되실듯합니다
크게 도움은 못드렸네요 ^^..
DMZ은 비추입니다.
DMZ은 비추입니다. 공유기의 천연 방화벽 기능(???)을 쓰는게 좋습니다.
공유기 쓰기 이전보다 보안에 대해 신경을 덜 써도 되더군요.
안쓰는 포트를 일일이 막아줄 필요도 없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