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mask와 관련된 재미있는 현상을 하나 발견했습니다.

illusion710의 이미지

어떻게 보면 질문이 되어버릴지도 모르겠는데요.
최근에 ip 수업을 듣다가 교수님이 넷마스크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누군가가 질문을 하다가, 결국 본론에서 조금 엇나간 질문이지만
재미있는 테스트를 하게 되었습니다.
보통 일반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서브넷마스크는 255.255.255.0로 설정이되는데,
이게 강제적으로 호스트 쪽에서 255.255.0.0으로 잡은 경우에
외부로 패킷이 나가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이건 제 학교 네트워크 쪽에서입니다.;)
교내에서는 서브넷마스크 변경후에 ping을 치면 timeout이 발생하고
tracert같은 경우는 아무 결과도 안나오고 계속 대기 형태가 됩니다;
(보통 끊기면 끊겼다, 닿을수 없다 등 이야기를 해주는데;;)
분명 서브넷마스킹해아하는 비트가 줄어들면 문제가 없어야 된다고 전 생각합니다만,
어떤 이유에선지 교내 네트워크에선 안되더군요.

그래서 집에와서 테스팅을 해보니,
신기하게도 넷마스크를 255.0.0.0으로잡던 255.255.0.0으로잡던 일반적인 255.255.255.0이던
인터넷이 되는거 아니겠습니까?!
단, 기 현상 하나는, 저희 집쪽에서 어떤 넷마스크를 쓰던 학교쪽 ip로 tracert를 했을경우
12홉(10홉인가?;)까지가고 항상 죽는다는겁니다.;
그러나 학교 홈페이지외에 저의 동아리 홈페이지도
아주 잘 접속이 된다는거죠~(어떤 넷마스크를 쓰던;)
그리고 하버드나 구글.com으로 핑을 보내고 tracert를 하는경우 아주 잘가더군요.
물론 홈페이지도 잘 들어가지구요~

ip 공유기를 사용한 경우랑, 바로 모뎀에서 직접적으로 연결한 경우 둘다 위와 같이 동작했습니다.

이건 저희 학교 측 라우터 쪽에서 다른 설정을 해서 그런걸까요?
참 신기하네요...
(아참 테스팅 하고 싶으신 분은 저희 학교 ip대역이 163.152.x.x입니다;
이거 남긴다고 문제될일은 없겠죠? 'ㅅ';)

다들 좋은하루 되세요~^^

지리즈의 이미지

routing table을 봐야 알겠는데요?

There is no spoon. Neo from the Matrix 1999.

There is no spoon. Neo from the Matrix 1999.

appler의 이미지

....ㄷㄷㄷ;;

---------------------------------

궁금증으로 가득찬 20후반 -_-;;
탄생은 죽음의 시작에 불과하다.

블로그
http://azdream.egloos.com
http://koreaappler.blogspot.com

검색엔진
http://applersearchengine.topicle.com/


laziness, impatience, hubris

不恥下問 - 진정으로 대화를 원하면 겸손하게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말하는 용기가 필요하다.

kirrie의 이미지

자, 이제 재미있는 부분이 뭔지 말해주세요!

(서브넷마스크로 255.255.255.0을 지정할 줄만 알았지 정작 그게 뭔지는 잘 모르는 1人)
--->
데비안 & 우분투로 대동단결!

--->
데비안 & 우분투로 대동단결!

c0d3h4ck의 이미지

외부의 IP 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아야 현상을 설명할 수 있을 것 같군요.
255.255.0.0 으로 서브넷 마스크를 설정했지만 말씀 하신분의 1.1.1.0 가 해당 서브넷이라고 했을때
말씀하신 외부 IP가 1.1 부분이 같았다면 로컬 네트워크로 인식 하기 때문입니다.

외부 네트워크로 인식해야지만 gateway 의 MAC 어드레스로 패킷을 보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틀렸다면 바로 잡아주시길..

dragonkun의 이미지

http://kldp.org/node/68900

이 스레드면 대부분의 의문점이 풀릴듯..
-----------------------
Emerging the World!

Emerging the World!

illusion710의 이미지

당일 이 스레드를 올리고 수업에 참여한 결과 교수님께서 원하는 답변을 주셨더군요;
c0d3h4ck님이 말씀해주신것처럼 그 dns 서버가 네트웍 내부에 있었는데, dns 요청을 보낼 때 그걸 서브넷이라고 인식해버려서 arp만 보냈으나 에러가 나고 그 동작이 반복되서 결국 인터넷 연결이 안되는걸로 판명되었습니다 =ㅅ=...
그래도 뭔가 시도해서 안됬던 것이 있는데, 좀더 확실히 하기위해 학교에서 시도해보고
새로운 문제가 생기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참, dragonkun님의 스레드의 내용도 정확히 문제와 일치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Necromancer의 이미지

원리 알면 특별히 이상할것 없죠.

ip는 크게 호스트주소와 네트웍주소로 구성된 건 아시겠죠.
간단히 얘기하자면 호스트주소는 LAN 내부에서 각 컴퓨터를 구별하기 위한 번호이고,
네트웍주소는 LAN과 외부 다른 LAN과의 구별을 위해 붙여진 번호입니다.
호스트주소는 기관담당자가 맘대로 줄수 있지만 네트웍주소는 외부망을 제공하는 isp에서 받은거 써야합니다.

2진수로 바꾼 ip를 netmask로 AND하면 님이 속한 네트웍을 대표하는 네트웍 주소가 뜹니다.

목적지 ip를 이 netmask로 AND해서 나온 네트웍 주소가 님의 네트웍 주소와 일치하면 그건 내부 LAN에 있다고 판단합니다. 이경우 패킷을 direct로 쏴 버리죠. ethernet이라면 arp로 대응되는 mac을 찾아서 그곳으로 쏩니다.
일치하지 않다면 외부 망에 있다고 판단합니다. 이때는 외부망과 연결되는 지점인 게이트웨이로 쏘죠. 게이트웨이는 그걸 받아서 외부로 쏘고, 그뒤는 외부망 관리하는쪽에서 알아서 다 해주죠.

Written By the Black Knight of Destruction

Written By the Black Knight of De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