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완료] Open Source와 ECCN ( Export Control Classification Number )
글쓴이: 오호라 / 작성시간: 수, 2008/03/26 - 7:06오후
자료 찾기가 쉽지 않네요. 대부분 영문싸이트인데 내용도 쉽지가 않네요.
1. GPL, Apache 등도 ECCN에 들어가나요?
2. ECCN 라는게 특정기관(Bureau of Industry and Security) 같은 곳에서 심의를 받아서 얻어내야 하는건가요?
3. 2번 가정하에 만약 GPL 라이센스같은 경우에는 모두 같은 ECCN가 아닌 프로젝트 또는 오픈소스별로 ECCN를 획득해야 하는건가요?
4. ECCN내에 어떤 분류법에 의해서 특정조건만 만족하면 되는 걸까요?
5. 미국내 기업에서 오픈소스사용시 ECCN는 오픈소스와 본인들의 소스가 별도로 부여되나요?
ps. char[arary] = 'hello world' 이런 영어만 하다가 진짜(?)영어보니까. 너무 힘드네요. (ㅠㅠ.)
한미 FTA시점에서 국내에 IT관련 ECCN 자료가 이렇게 없다니 걱정이네요.
Forums:
시만텍 홈페이지에서..
URL : http://www.symantec.com/ko/kr/about/profile/policies/legal.jsp
문건을 찾아보면 되겠네요. 야호.
Hello World.
역시 아파치.!!
아주 잘 나와있네요. 결국은 아파치는 대다수 ECCN 5D002 OR ECCN 5D992 이고, TSU exception in EAR 740.13(e)(http://www.access.gpo.gov/bis/ear/txt/740.txt) 만 지켜준다면,
결국은 publicly available source code와 Encryption 두가지가 핵심인듯 하네요. 암호화관련 기술, 소프트웨어와 미국에서 규정하고 있는 몇몇 국가 및 단체, 또는 목적이 또 중요한듯 하네요.
참고 : http://www.apache.org/licenses/exports/
예전에 실리콘밸리 리눅스그룹에서 이라크로 리눅스를 보내줄려고 하다가 막힌 사연의 내용이 있네요. 결국은 위의 내용도 무용지물.
무서운 미국!! NIST, AT&T, ECCN.. 등 넘 무서운 나라..
참고 : http://www.linuxjournal.com/article/7318
Hello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