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GL|ES, 하드웨어 가속기 관련 질문입니다.
제가 프로젝트를 하나 하고 있는데 zigbee센서를 이용해서 위치값을 읽은다음에
그것을 3D로 보드에 탑재되어 있는 LCD창에 뿌려주고 싶습니다.
그래서 이리저리 팀원과 자료를 수집하여 생각한 개발환경은
보드환경
-보드 (pxa-255) 사용
-보드OS LINUX 사용
센서환경
-센서 zigbee센서(mg2400) 사용
-센서OS tinyOS
-센서별 거리측정 RSSI방식
3D환경
-openGL의 api 이용(openGL|ES)
추가적으로 생각하고 있는부분
-하드웨어 (3D)가속기를 사용하여 렌더링를 높인다.
이렇게 구현하고 싶습니다.
보드환경이나 센서환경은 그럭저럭 가닥이 잡혀가고있지만 보드에 3D를 구현하는
부분이 막막합니다.
1. 기존 PXA-255보드에 openGL 라이브러리가 올라가는지 부터가 의문이고 올린다손
치더라도 어떻게 올려야하는지도 잘모르겠습니다.
2. 하드웨어가속기를 사용을 하여서 속도를 더 높인다고는 하는데 보드에 탑
재하는 방법이나 아트웍을 해야할터인데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리 저리 알아보니 zdnet에서 모바일3D구현 어쩌고 저쩌고 나오긴하던데
모바일환경이야 보드환경이랑 별반 틀린건 없다고 생각은 듭니다.
하지만 어떻게 해야할지 잘모르겟습니다. 초짜의 한계(?)
3. 제가 현재 openGL책을 한권사서 보기시작하였는데 이책에는 windows,mac,linux 에
대한 openGL사용방식이라던지 자세하게 나와있더군요.
하지만 아직 국내에는 openGL|ES책이 나오질 않아서 ES같은경우는 어떻게 진행해 나가야
할지의문입니다.
참고싸이트나 문서가 있으면 좀 주셨으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