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ne의 OSD(자막)에서 글꼴 품질
글쓴이: 지리즈 / 작성시간: 월, 2007/09/03 - 8:57오전
요즘은 xine도 mplayer도 좋아져서, 별도로 글꼴을 전체 경로 지정해 주거나 혹은 전용 글꼴을 생성하지 않더라도, freetype에서 글꼴을 가져와서 OSD를 랜더링해주더군요.
.fonts.conf 에 San-serif 설정이
<alias> <family>sans-serif</family> <prefer> <family>Bitstream Vera Sans</family> <family>Nachlieli</family> <family>MgOpen Modata</family> <family>IPAGothic</family> <family>AR PL KaitiM GB</family> <family>AR PL KaitiM Big5</family> <family>은 돋움</family> <family>UnDotum</family> <family>SimSun</family> </prefer> </alias>
로 잡혀 있는데,
xine,mplayer 모두 Sans로 글꼴을 지정해 두면, (Sans가 San-serif의 Alias임)
한자나 일본어도 문제없이 잘 나옵니다.
xine은 ~/.xine/config 에서 아래와 같이 지정해 줘야 하고,
# font for subtitles # string, default: subtitles.separate.font_freetype: Sans # whether to use a freetype font # bool, default: 0 subtitles.separate.font_use_freetype:1
mplayer는 ~/.mplayer/config
font=Sans
처럼 경로없이 지정하면 됩니다. 나머지는 자막 인코딩설정이나 자막 크기 지정은 기존 알려진 내용과 동일합니다.
제가 질문을 드리고자 하는 내용은 스샷의 내용처럼 mplayer에 비해 xine의 OSD(자막) 글꼴 랜더링 품질이 너무 조악합니다.
freetype이 아니라 xine 유틸로 생성한 글꼴도 마찬가지고 몇몇 설정을 건드려 봤지만, 다 거기서 거기더군요.
혹시 xine의 OSD(자막) 글꼴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팁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File attachments:
첨부 | 파일 크기 |
---|---|
![]() | 506.62 KB |
![]() | 321.95 KB |
Forums: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