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센스를 피해가면서 GPL 코드를 쓰는게 불가능한 건 아니던데요. 예전에 맥용 MSN 중 하나(proteus)는 gaim 소스를 가져다 쓰면서 RPC-server 를 만들고 그 rpc-server 만 GPL 로 공개해버리더군요. -_-;
저런 식으로 rpc-server 를 만든 뒤 GPL 인 것들은 rpc-server 와 링크시키면 GPL 소스와 직접적으로 링크되지 않으면서 해당 라이브러리의 함수 호출이 가능해지니 (물론 잘 설계하지 않으면 보안 상의 허점이 생기겠고, 성능이 좀 떨어지겠지만) 라이센스 문제 없이 쓸 수가 있더라구요.
해당 하이퍼바이저
해당 하이퍼바이저 판매회사의 이해관계에 따라 작성된 글이네요. 고객들은 문제가 생길 경우 모두 책임진다고 보장해 주는 것을 더 원할텐데... fsf 등에서 뭐라고 이야기할지 궁금하네요. 아마 아무 이야기 없을 거긴 하지만...
일단은 가상화기술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알겠는데...
자바나 와인같은 것과의 개념상 차이점이 뭔지 모르겠습니다.
There is no spoon. Neo from the Matrix 1999.
There is no spoon. Neo from the Matrix 1999.
라이센스를
라이센스를 피해가면서 GPL 코드를 쓰는게 불가능한 건 아니던데요. 예전에 맥용 MSN 중 하나(proteus)는 gaim 소스를 가져다 쓰면서 RPC-server 를 만들고 그 rpc-server 만 GPL 로 공개해버리더군요. -_-;
저런 식으로 rpc-server 를 만든 뒤 GPL 인 것들은 rpc-server 와 링크시키면 GPL 소스와 직접적으로 링크되지 않으면서 해당 라이브러리의 함수 호출이 가능해지니 (물론 잘 설계하지 않으면 보안 상의 허점이 생기겠고, 성능이 좀 떨어지겠지만) 라이센스 문제 없이 쓸 수가 있더라구요.
http://fias.co.nz/2004/08/31/proteus-and-the-gpl
--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http://en.wikipedia.org/wiki/
http://en.wikipedia.org/wiki/Proteus_(instant_messenger)
여기에도 설명이...
--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