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바를 설치 후 "우분투6.06"버전에서 "네트워크의 등록정보"를 "DHCP"로 하나요 "수동IP로" 바꿔야하나요?
데비안과 우분투에서 삼바를 설차한 후 설정을 맞쳤습니다.
그런데 처음에는 윈도우ME(윈도우ME 사용자입니다.)와 네트워킹이 전혀 되지를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혹시나 하는 생각으로 윈도우ME의 "네트워크 환경"의 "TCP/IP의 등록정보"에서 "자동IP할당" 옵션을 "수동 IP지정"으로 바꾸고 수동으로 IP를 임시로 아무거나 넣고 서버넷마스크도 255.255.255.0로 맞추어 주었습니다.
그렇게 하니 윈도우의 "전체 네트워크" 환경에서 우분투의 공유폴더가 네트워킹이 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우분투(6.06.1)에서 네트워크 마운트를 할려고 시도를 하다가 에러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이 글을 올리기 전에 시간상 너무나 삼바 네트워킹 삽질을 3~4일 정도 하여서 백수에게도 너무나 가혹하고 힘든 경험을 해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리고 너무 기진맥진 해져서 더이상 테스팅을 해보기가 귀찮아 져버리고 마네요.
그래서 삼바네트워킹 설정법을 검색사이트 검색을 하였는데 해답을 찾았습니다.
정답일 가능성도 있지만 백수에게 많이 있는 시간도 너무나 힘든 삽질에는 무의미 인것 같습니다.
그래서 확신을 가지고 삽질에 들어가 보기 위하여 kldp에서 삼바 네트워킹 중에 윈도우와 리눅스의 "네트워킹 IP설정 및 서버넷마스크 설정 및 게이트웨이및 Wins및 DNS 설정및 삼바Smb.conf의 Host_Allow"에 관하여 알고자 합니다.
삼바를 설치한 후 smb.conf의 설정을 마치고 윈도우의 "네트워크 환경" -> "TCP/IP의 등록정보" -> "수동으로 IP설정을 임시 IP로 설정"을 한 이후 "서버넷 마스크를 255.255.255.0"로 설정을 마쳤습니다.
그렇다면 우분투에서도 위의 윈도우ME의 "네트워크 환경" 설정과 똑 같이 해 주면 되나요?
즉, "DHCP설정"을 "수동IP설정"으로 바꾸어 설정해 주고 "서버넷 마스크"를 255.255.255.0로 맞추어 주고 하면 모든 것이 다 된 것인가요?
그리고 혹시 삼바의 smb.conf의 "host allow: " 에도 어떤 값을 꼭 넣어야 할 것이 있나요?
혹시 "게이트웨이 설정"이나 "도메인네임 서버"나 "wins 설정" 같은 것은 해주지 않아도 되나요?
삽질을 너무나도 해 대어서 지쳐버린 나머지 안될까 하는 두려움에 시간낭비가 걱정이 되어서 확실한 해결 정답을 먼저 얻고자 이렇게 질문 좀 올립니다.
그리고 추가 문의 좀 드립니다.
삼바 설치 후 윈도우에서 윈도우 명령어 " NET USE IP주소..." 이것과 우분투에서 리눅스 명령어 "smbclient IP주소..." 이것을 사용하기 위하여는 윈도우 컴과 리눅스 컴의 "IP주소"를 알아야 되는데요 이 IP주소르 알수 있는 명령어가 윈도우와 리눅스에 각가 있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