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C++ 메모리 동적 할당 및 해제에 대해서 확실히 해두고 싶습니다 ~ 도와주세요 ~
//
// 정수형 메모리 동적 할당을 통한 2차원 배열 구현 ..
//
//
// 변수 선언
//
int** arr1, i, j, count=0;
//
// 메모리 할당
//
arr1 = (int**)malloc(sizeof(int*) * 10);
for(i=0; i<10; i++)
arr1[i] = (int*)malloc(sizeof(int) * 10);
//
// 2차원 배열 초기화 ..
//
for(i=0; i<10; i++)
for(j=0; j<10; j++)
arr1[i][j] = count++;
//
// 2차원 배열 출력 ..
//
for(i=0; i<10; i++)
for(j=0; j<10; j++)
printf("arr[%d][%d] = %d\n", i, j, arr1[i][j]);
//
// 메모리 해제 ..
//
for(i=0; i<10; i++)
free(arr1[i]);
free(arr1);
//
// new 연산자를 통한 정수 2차원 배열 동적 할당 ..
//
cout<<"\n\nnew 연산자를 통한 정수 2차원 배열 동적 할당 .."<
//
// 변수 선언
//
int** arr2;
//
// 2차원 배열 동적 할당
//
arr2 = new int*[BUF];
for(int i=0; i
arr2[i] = new int[BUF];
//
// 2차원 배열 초기화
//
count=0;
for(int i=0; i
for(int j=0; j
arr2[i][j] = count++;
//
// 2차원 배열 출력
//
for(int i=0; i
for(int j=0; j
cout<<"arr2["<
//
// 메모리 해제
//
for(int i=0; i
delete[] arr2[i];
delete[] arr2;
위의 두가지 소스는 제가 메모리 동적 할당을 공부하다가 만들어 본것인데요 ... 일단 메모리 동적 할당과
해제가 옳바르게 이루어 지고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 특히 아래 C++문법으로 만든 메모리 동적 할당
소스에서 마지막에 delete[]이러한 방법을 사용해서 해제를 했는데요 delete이렇게만 해도 해제는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delete와 delete[]의 차이점을 알고 싶어서 Google에서 검색을 해보니 인용을 하자
면 "우선 delete 와 delete[]의 차이를 한마디로 말하라면 delete 는 단일 객체에 대한 소멸자의 호출과
메모리 환원을 하며 delete[] 는 배열객체에 대한 각각의 소멸자의 호출과 메모리 환원을 한다는 것입니
다."라고 되어 있거든요 그래서 delete[]이 방식으로 해제를 해 주었는데 제가 공부한 내용이 틀림이 없
는지 궁금합니다... 특히 C, C++같은 경우는 메모리 동적 할당하는 부분과 해제하는 부분에서 메모리 누수
현상을 통한 프로그램 오류가 잦다고 하니 여기서 확실히 해두고 싶네요 ~
그럼 오늘 하루도 공부 열심히 하세요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