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OS 커널의 플로피디스크의 DMA 에 대해서..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만들면서 배우는 OS커널의 구조와 원리 마지막 장 소스를 좀 보다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우선 소스의 내용을 보여드리겠습니다.
_initializeDMA:
push ebp
mov ebp, esp
push eax
mov al, 0x14
out 0x08, al ; DMA를 deactive 한다.
mov al, 1
out 0x0c, al ; flip-flop 을 리셋한다.
mov al, 0x56
out 0x0b, al ; mode register
mov al, 1 ; flip-flop 을 리셋한다.
out 0x0c, al
mov eax, dword [ebp+0x0C]
out 0x04, al ; 오프셋의 Low byte
mov al, ah
out 0x04, al ; 오프셋의 High byte
mov eax, dword [ebp+0x08]
out 0x81, al ; Page
mov al, 1
out 0x0c, al ; flip-flop 을 리셋한다.
mov al, 0xff
out 0x05, al ; count 의 Low byte
mov al, 1
out 0x05, al ; count 의 High byte
mov al, 0x02
out 0x0a, al ; channel 2의 mask 해제
mov al, 0x10
out 0x08, al ; DMA active 상태로 한다.
pop eax
mov esp, ebp
pop ebp
ret
void ReadSector(int head, int track, int sector, unsigned char* source, unsigned char* destinity)
{
int i;
int page, offset;
unsigned int src, dest;
char result[7];
src = (unsigned int) source;
dest = (unsigned int) destinity;
page = (int) (src >> 16); // 페이지 번호
offset = (int) (src & 0x0FFFF); // 페이지 안에서의 오프셋
;생략이요;;
initializeDMA(page, offset); // DMA의 초기화
..이하생략이요;;
이러한 소스부분이 있습니다.
우선 DMA란 Direct Memory Access 로 CPU에 I/O장치가 메모리에 접근할수 있도록 만든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1. DMA의 페이지번호와 오프셋을 선언해 놓았는데;여기서 char* source는 0x10000입니다.그런데 16비트 쉬프트 시키고, &연산을 시킴으로서 페이지번호와 오프셋을 알게 되었는데, 이게 실제로 왜 필요한 지 언제 쓰이는 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ㅜㅠ
2. 플립플롭의 리셋이 왜 필요한지 ㅜㅠ 잘 모르겠습니다.
3. mode register부분도 잘 모르겠습니다 ㅜㅠ
4. count 의 low high 바이트도 언제 쓰이는건지 ㅜㅠ
인터넷을 찾아보려해도 DMA에 관련된 것이 적고;; 그래서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ㅜㅠ
어디 좋은 문서라도 있으면 링크좀 부탁드립니다.^^
아니면 설명해 주시면 더더욱 감사드리구요..ㅋㅋ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