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너무 조잡한듯해서 다시 정리해서 올렸습니다. 답변좀 부

너무 조잡하게 여쭤 보는듯해서 다시 궁금한점을 다시 정리해
봤습니다. 죄송합니다. 길게 적어서 꼭 좀 가르쳐 주세요 ...
죄송합니다.
궁금한점을 적어볼께요
다름이 아닌 학교 솔라리스 계정이 있어서 요즘 제 리눅스
와 비교 하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닌 제가 궁금해 하는것이
보통 학교에서 계정을 주었을경우는 root쉘을
대부분을 복사 해서 사용하는경우 같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설정이 루트와 비슷하게 쓸수있도록
하는것 같습니다. 다름이 아닌 제가 궁금해 하는 부분은
dev/ 디렉토리에서 --> 대부분의 파일들이 물리적인 장치를
사용할수 있는 인터페이스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궁금한점은 다름이 아닌 왜 ?
대부분의 dev/의 파일들은 심볼릭 링크가 되어있는지가
궁금합니다.
그런경우는 어떤식으로 링크를 해서 쓰는지가 궁금합니다.
가령 예를 들어
/dev에 여러가지 파일들이 많은데 tty 같은 경우는 제가 알기론
시리얼 디바이스에만 적용되는 파일이라고 공부했는데
궁금한점은 이 tty 파일같은경우는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가령 지금 제 리눅스 머신이 tty를 사용해서
시리얼디바이스를 쓰지 않는경우는 이 파일을 사용할 필요가
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경우도 tty 파일이 존제하는 이유는
제가 dhcp를 사용해서 쓰고 있지만
다른 유저들 같은 경우는 시리얼 디바이스를 사용해서
인터넷에 접속할 경우 필요할듯 해서 이렇게
파일이 있는거 같습니다.
이 파일이 존제 하는것은 만약 리눅스 머신을 시리얼 디바이스를
사용할때 이것을 커널에서 사용하도록 가져다 놓은것 같습니다.
그런데 궁금한점은 여기서 예를 들어 tty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다름이 아닌 좀 제가 추려본 결과
tty
그리고 ttyp[0~9]@
그리고 ttyq[0~9]@
그외 etc.....
이런 경우는 인터페이스의 의미처럼 기능만을 내장한 파일이란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어뎁터나 아님 인터페이스란 의미는
메소드는 그 안에서 들어 있지만 그것을 다시 제 정의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에서의
인터페이스란 의미는 추상클래스의 의미와 동일하다고 배웠는데
그래서 여러가지 물리적인 장치가 다 다른 규격을 가지고 있지만
내용상 다 똑같은 기능을 하므로 그것을
인터페이스화해서 /dev에 올려놓은 의미가 맞는것인지 ?
또 궁금한것은 왜
이파일들은 다 @ 링크를 걸어 놓았는지가 궁금합니다.
그럼 가장 궁금한것은 어디로 링크가 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분명히 제 생각은 커널에서 물리적 디바이스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그것을 잠시 /dev에서 참조 하기 위한 파일이라고 생각하는데
비록 그것을 참조로 하기 위한 파일이라서 @가 그럼 커널로
링크 되어 있는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또 /dev 에서는
많은수의 파일들이 다 @가 되어 있는데
그것을 꼭 사용하지 않더라도 그것이 이미 패키지화 하여서
리눅스 설치지 커널로 링크를 이미 해 놓은 경우인지가 궁금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아마도 커널에서 디바이스를 발견한 경우 바로
참조만 가능하게 한것인지 ?
그래서 대부분의 /dev 파일들이 전부다 @가 되어 있는지 그런 의미로
생각을 해야 할까요 ?
그리고 궁금한것이 한가지 더 있습니다.
죄송합니다. 많이 여쭤봐서요
궁금한것은 다름이 아닌
rc 파일과 fstab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rc 파일은 제가 알기론 c쉘이나 아님 본쉘의 시동 파일의
전형적인 유형으로 알고 있는데 예를 들어
제가 c쉘로 스크립 작성해서 제 학교 계정에 시동 파일을
만들어서 여러가지 시동시 필요한 것과 배너 정도는
시동 파일로 만들어서 넣어 두었는데 ....
그리고 /etc에 들어가보니 rc가 여러가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있는 rc파일들이
rc 파일 그리고 rc[1~6]
이런식으로 rc 파일에 숫자가 있습니다. 왜 여러가지 rc 파일을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럼 제가 시동시 한가지 rc를 사용한다고 생각하는데 ....
여러가지나 rc가 구지 있어야 할 필요가 있는지가 궁금하기도 하고 ....
죄송합니다. 너무 하고자 하는 의욕이
앞서는데 도대체 모가 어떤건지 문서를 많이 읽었는데
조금씩 이해가 잡히지만 궁금한것이 많아서 이렇게 여쭙니다.
또 fastb의 파일과 rc 파일의 차이점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저 같은 경우는 dhcp로 잡아서 그런지
제가 잡아서 사용하는 리눅스에서는 학교의 서버 셋팅 같이
그런것을 사용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궁금해 하느것은
dhcp경우 route 명령을 사용할수 없는것입니까 ?
예를 들어
제 루프벡과 그리고 eth0의 설정 값을 보기 위해서
route -n을 사용한 경우는
본쉘에서 사용되는 명령이 없다고 나옵니다.
이런경우는 사설 네트워크 설정시만 가능한 건지 ?
궁금합니다. 다름이 아닌 구성된 하부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라서
아마도 route 명령을 써도 보여줄것이 없을꺼 같은데
그래도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보여주어야 할것 같은데.....
또한 netstat 는 나오지만 route명령은 왜 사용할수 없는지가
궁금합니다.
또한 한가지 더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dummy 인터페이스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standalone 호스트에서 활성화 된 네트윅 디바이스가 보통 127.0.0.1로
loopvback 되는 디바이스 뿐이라고 할경우 어떤경우는 로컬 호스트 상에
서
공식적인 ip주소로 데이터를 보내야 할경우가 있을경우가 있을꺼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191.72.2.65의 경우 이곳에다 보내려고 한다면
현재 loopback으로 활성화 되어 있는 네트웍이라면
결과적으로 이 주소를 알지 못하므로
데이터를 자기 자신에게만 계속 해서 보내게 되는 경우 입니까 ?
그런 경우 dummy를 사용해서
이 주소를 191.72.2.65를 dummy로 잡는 경우 입니까 ?
그런 경우는 한 주소로만은 송신이 가능할꺼 같은데 .......
루프백으로 설정된 네트윅에서는 그럼 다른 아이피로 송신을
하기위해서는 일일이 그럼 dummy를 설정르 수없이 해주어야 합니까 ?
정말 죄송합니다. 그리고 레드햇 계열에서는 dummy란 인터페이스를
다시 설치 해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궁금한것이 너무 많아서요
다름이 아닌 그냥 여러가지 문서들을 읽어 보고 나름데로
혼자서 공부하고 있지만 이런 부분이 막혀서 그냥 너무
길게 여쭤 봤습니다.
새벽이지만 바람이 살살 부는게 가을을 알리는듯 합니다.
하지만 궁금증으로 인해 잠이 오지 않는 새벽이라서
다시 올려봤습니다.
죄송합니다. 그럼 이만 가보겠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