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그룹에 대해서..
글쓴이: ITCEO / 작성시간: 월, 2007/04/30 - 12:04오후
먼저 제 소개를 하겠습니다.
제대한지 2개월 다되어 가고 있으며 컴퓨터 전공 2학년에 재학중입니다.
이번에 5~6명 정도 스터디 그룹을 만들려고 하는데 지금 4명정도 모았습니다.
주제는 JAVA 와 영어인데.. JAVA는 학교 진도와 상관없이 조그만한 프로젝트를 교수님께 받아서 수행할려고 합니다.
영어는 매일 외국인과 프리토킹 하는 정도로 진행하면서 여러가지 퀴즈로 게임방식으로 진행 할까 합니다.
JAVA를 올 여름방학을 이용해 SCJP 를 취득할 예정이구요 영어는 계속 꾸준히 ..
지금 JAVA 실력은 클래스 이해하고 있는거 뿐이구요. 정말 열심히 해서 목표를 성취 할 것입니다.
좋은 멘토분들께서 충고나 좋은 말씀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어떻게 진행하고 더 좋은 방법있으시면 말씀 꼭 부탁드리겠습니다!! ^^
Forums:
제 경험에 의한
제 경험에 의한 지속적인 study가 되기 위한 원칙을 말씀드리죠.
1. 부담주지 말것
- 최대한 부담이 안되게 하십시요. 스터디 참여하는것 자체부터 일단 부담입니다. 그기에 개인 부담까지 추가되게 되면 스터디를 계속 유지하기 힘든 사람들이 발생합니다.
책을 공부하시더라도 되도록 분량을 나누어서 공부하지 마시고 전체 책을 같이 읽고 토론하는 방법으로 하십시요.
준비를 안해와도 부담없이 올수 있고 스터디 모임을 통해 뭔가를 얻어갈수 있는 스터디가 되게 하십시요.
2. 구체적인 목표를 정할것
- 책이면 책, 프로젝트면 어떤 프로그램을 언제까지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것인가를 구체적으로 정하십시요.
목표가 없고, 방법이 정해지지 않으면 흐지부지해질수 있습니다.
3. 책임감 있는 member들로 구성할것
- 멤버 구성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실력이 비슷한 사람으로 구성하시고, 책임감 있는 사람들로 구성하십시요.
스터디가 오래 지속되기 위해서는 멤버 모두가 스터디를 통해 만족을 느낄수 있어야 됩니다. 한 사람이 너무 잘해 항상 가르쳐주는 느낌이 들게 되면 그 스터디는 지속되기 힘듭니다.
이 정도 원칙만 지키면 스터디 운영을 어느정도 할수 있을겁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너무 친분이 있는 사람들로 혹은 학생들만으로 구성하지 마십시요.
학생들의 경우 대부분 책임감이 없더군요. 또한 너무 친분이 있어도 혹은 스터디를 통해 너무 빨리 친해져도 스터디 모임에는 독이 될수 있어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