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사용자 계정으로 실행되는 윈도우 비스타.. 이젠 리눅스랑 동일한 보안능력을 갖는다고 할 수 있나요?
글쓴이: snowboard975 / 작성시간: 일, 2007/03/04 - 11:55오전
리눅스가 윈도우 보다 보안이 뛰어난 이유는 기본적으로 관리자 계정이 아닌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사용되고, 사용자 permission이 엄격히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 비스타도 리눅스의 이런 기능처럼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기본 접속된다고 합니다.
시스템 전반에 걸치는 시스템 설정을 할 때는 리눅스에서 sudo를 쓰는 것 처럼 관리자 계정으로 실행이라는 옵션을 사용한다고 하고요.
그러면 이제 윈도우 비스타도 바이러스가 침입해도 고작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만 피해를 끼칠 수 있는 것인가요?
이젠 리눅스와 윈도우 비스타가 같은 보안 성능을 보인다고 할 수 있는 건가요??
저도 우분투 edgy를 사용중이지만, 문득 이런 궁금증이 들어서 여쭤봅니다.
Forums:
리눅스와 같은
리눅스와 같은 수준의 보안 성능..
이라는건 상당히 주관적인 평가라고 봅니다.
물론 말씀하신 바 대로
실제로 Vista부터는 UAC를 통하게 되면서
권한이 대폭적으로 축소되었습니다.
심지어, UAC가 활성화 되어 있다면 Administrator 그룹에 속한 계정일지라도
사용자의 승인 없이는 관리자 권한으로 작동하는것은 그 무엇도 수행을 하지 못합니다.
다른것은 몰라도 최소한 시스템 파일들에 대한 위협 요인은 굉장히 적어지지요.
(UAC자체가 관리 그룹에 있는 계정에게 제공되는 것이긴 합니다만.)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생적으로 Desktop 운영체제 이기 때문에,
그것을 마냥 어렵게 할 수 만도 없는 노릇입니다.
흔히 말하기를 보안과 사용자 편의성은 반비례관계라고 하지요.
그래서 실제로 UAC같은 경우도 리눅스의 su와는 다르게 단순히
확인 창을 묻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이 Vista가 보안 성능이 낮다..라고 불리게 하는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저 기본 설계 컨셉트 자체가 틀리다고
생각됩니다.
에초부터 다중 사용자를 염두에 둔 *nix 계열과, 그것이 고려되지 않은
(사용자 로그인 이라는 개념은 Windows98 에서나 등장합니다) Windows계열의
운영체제를 동일 선상에 두기는 무리라고 봅니다.
또한, 사용자 로그인등의 다중 사용자 개념이 등장한 Windows계열도 결국 데스크탑
운영체제란 태생적 한계를 지니기에 마찬가지라고 사료되구요.
다만 Vista등을 통해서 조금씩 보안성을 강화해 가는 노력을 칭찬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하나만 지적합니다
> 그래서 실제로 UAC같은 경우도 리눅스의 su와는 다르게 단순히
> 확인 창을 묻는 수준입니다.
일반 사용자 계정의 경우에는 관리자 계정과는 다르게 관리자 암호를 묻습니다. 많은 대한민국 사용자들이 컴퓨터를 관리자 계정으로 사용해서 이런 오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절취선 ----
http://blog.peremen.name
아 몰랐었던
아
몰랐었던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
하지만.
기본적으로 Windows Vista 인스톨이 끝난 상황에서
사용하는 계정은 UAC하의 Administrators 그룹에 포함되지요.
적어도 영문 Windows Vista Ultimate, Home Basic 은 그렇더군요.
Enterprise나 Business는 아직 테스트 안 해봤습니다만.
-------------------------------
== warning 대부분 틀린 얘기입니다 warning ===
대한민국이 아니라
대한민국이 아니라 전세계 사용자들이 그렇게 사용합니다. 윈도우 설치 후 디폴트가 관리자 계정이고 윈도우즈용 프로그램의 상당수는 관리자가 아니면 실행 조차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윈도우만 바뀐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될 것 같지 않습니다.
- CN의 낙서장 / HanIRC:#CN
- 죠커's blog / HanIRC:#CN
제가 잘은 모르지만
제가 잘은 모르지만 듣기로... NT커널에 고질적인 어떤 문제가 아직은 해결 안 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리눅스도 커널에 심각한 문제가 있어 D모 배포판의 뭐시기 서버가 완전히 엄청나게 해킹 당했다는 소식을 어디선가들은 바 있긴 합니다만, 그 문제는 금방 수정 되었습니다.
하지만, 어떤 분 말씀처럼, 리눅스와 윈도우즈는 설계 자체가 달랐다고 볼 수 있고, 일단 소비자(?)가 좀 다르기 때문에 현제는, 비스타가 이제는 리눅스와 같은 수준의 보안성을 가지느냐 아니냐를 따지기엔 좀 무리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
Lee Yeosong(이여송 사도요한)
E-Mail: yeosong@gmail.com
MSN: ysnglee2000@hotmail.com
----
웃음... 행복... 평화... (진정한...) 희망... 사랑... 이 세상 모든것이 그렇다면 얼마나 좋을까...(꿈 속의 바램일 뿐인가...)
사람천사
궁금한게 이번 vista의
궁금한게 이번 vista의 사용자계정/관리자계정 변환은 어떤 모델인가요? 리눅스만 해도 su와 sudo는 약간의 차이가 있고 최근들어서는 사용자들이 좀 더 이해하기 쉬워서인지 sudo가 많이 쓰이는 편입니다. 잠깐 글을 읽어보니 vista에서는 관리자도 여러 단계가 있는 것 같은데... 비스타의 관리자 계정 전환은 리눅스의 su/sudo와 어떻게 다른지요?
http://sysnet.pe.kr/Default.a
http://sysnet.pe.kr/Default.aspx?mode=2&sub=0&pageno=0&detail=1&wid=449&title=%25UAC%25
UAC의 구조에 대해서는
위 글에서 간략하게나마(그러나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안봐도
안봐도 비됴입니다...ㅡ,.ㅡ;;
속도가어쩌고..보안이어쩌고... 편의성이 어쩌고... M$ 말은 장점은 10%정도만 믿으면 될것같습니다.^^;
여테 그래왔는데 또속으시려고...
----------------------------------------------------------------------------
C Library Development Projec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