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햇 매거진에 실린 CUP 1.2
http://www.redhat.com/magazine/022aug06/features/fc6_print/ 에 실린 글이고, 프린트를 잘 안해서 CUPS를 안 쓰지만 배포판 설치때마다 약방의 감초처럼 설치되어 있어 한번쯤 써봐야 생각되는 중에 관련글이 있어서 보고 올려봅니다. 윈도우아 차이가 많이 벌어지는 곳이 프린트가 아닌가 싶습니다. 폰트, 드라이버, 인코딩 문제 등으로 인해서 문제가 많이 올라왔었지만, 지금은 아예 윈도우가서 다 해결하시는지 그런 글도 안올라 오네요..
원본을 보시면 GUI 도구 화면과 함께 설명이 되어 있으니 한번 보십시오.
의역,오역이 있을겁니다. ^^;
CUPS 1.2
cups 1.1과 1.2사이에는 많은 변화가 있다. 몇가지만 집어보면.
시작시 빨리 시작된다. 시작시에 시리얼 포트나 USB를 살펴보는 일을 하지 않고 장치 연결시(on demand)에 설정한다. 또한 여러 프린터를 지원하는 PostScript Printer Definition (PPD) 파일을 설치했기 때문이다.또한 1.2에서는 동적으로 ppd를 생성한다. DB정보로 ppd를 생성하는 foomatic에게는 유용하다.
여러 프린터가 설치되어 있을때 개별적으로 공유가 가능하다. 이전 버전에서는 전부를 다 공유하거나 아예 하나도 하지 않는 방법 밖에는 없었다. cups 서버가 네트워크에 프린터은 존재를 알리기 때문에 혼자만 쓸지라도 권한 설정이 필요하다.
로컬 네트워크에 있는 SNMP 프로토콜을 사용한 네트워크 프린터를 찾을 수 있다. 컴퓨터에서 공유를 하는 것이 아닌 네트워크 바로 물려 있는 프린터가 이것을 지원한다.(랜선을 프린터에 바로 꼽아 버리는 것 말하는 듯 합니다.) SNMP 프로토콜은 프린터를 찾는데 쓰이지 프린트를 하는 데에는 쓰이지 안는다.CUPS SNMP backend가 어떤 프린팅 방식(JetDirect, IPP, or LPR)을 쓰는지 찾아내고, 찾아낸 방식이 실제 프린트 할 때 쓰인다.
마지막으로 "서버측 기본 옵션"이다. job-sheets, media, and the page margins for text printing 같은 옵션은 lpoptions을 이용해 쓰였다. 이것은 사용자 측 기본값이다. 사용자가 보내온 인쇄할 작업은 각각의 다른 기본 설정을 가지고 있고, 네트워크 여러곳에서 보내온 기본값도 문제였다.
1.2에서는 서버측 기본 옵션을 설정 할 수 있다. 이 기본값은 기능이 좋아진 Fedora printing configuration tool 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꽤 오래전에 봤던 기사였던것 같은데...
8월밖에 안됐었군요.
그러고보니 요즘 인쇄를 거의 안하고 있었네요.
한글 워드프로세서를 안 쓰다보니 이런 일이...?
====
( - -)a 이제는 학생으로 가장한 백수가 아닌 진짜 백수가 되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