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좀 해주세요.

jin6093의 이미지

"비평형 복잡계의 경우 종모양의 정규분포가 아니라 멱함수 분포를 따른다." (사람의 키나 몸무게는 정규분포를 따르기 때문에 전형적인 키와 몸무게가 있다. 그리고 여기서 아주 벗어나는 1000kg의 몸무게나 10m의 키를 가진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멱함수 분포에서는 이러한 몸무게와 키를 가진 사람이 드물지만 등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자연의 많은 부분이 정규분포를 따르고 우리는 여기에 익숙하기 때문에 지진의 발생빈도와 같은 멱함수 분포를 쉽게 이해하지 못할 뿐이다. 멱함수 분포는 비평형 복잡계에서 나타나는 특성으로 흔히 80/20 법칙으로 알려져 있는 파레토의 법칙(Pareto's law)이나 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The Six Degrees of Kevin Bacon)도 바로 멱함수 분포의 예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위 문장을 최대한 알기 쉽게 이해하려면 어떤 예가 좋을지, 어떤 단어 선택이 좋을지요? 멱함수?

몰라서 묻는 겁니다. 고등학교 때 수학과목을 반에서 꼴찌 비슷하게 했습니다.(영어는 1등이었습니다. ^^) 작년에 정석 전집을 사다 놓고 장식만 하고 있네요.

futari의 이미지

진한 글씨를 괄호 안에서 쉽게 설명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멱함수라는건 Power Function을 말하는거구요. 간단히 y=x^a 같은 형태의 함수를 말하는겁니다.
그러니깐 저기서 말하는 것에서는
정규분포같이 평균에서 빈도가 높아지는 형태가 아니라
maxima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볼록 볼록 엠보싱 형태일 수 있다는 소리가 아닐까 하네용.

예를 들자면 중산층이 많고 양쪽이 적으면 정규분포인데, 양극화 현상이 극심해서 부자 아님 거지.. 이런식이면 y=x^2 그래프 같이 된다거나 -_-;; (너무 극단적인가요?ㅎㅎㅎ)

저도 저런거 배울때 열심히 하질 못해서 ^^ 틀렸거나 자세한 내용은 수학과 분들이 해주시지 않을까... 합니다.
-------------------------
The universe is run by the complex interweaving of three elements: matter, energy, and enlightened self-interest.
- G'kar, Babylon 5

-------------------------
The universe is run by the complex interweaving of three elements: matter, energy, and enlightened self-interest.
- G'kar, Babylon 5

jin6093의 이미지

답변 감사합니다.
--------------------------
思無私 사사로움 없이 생각하라!
http://jin6093.egloo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