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Standard Base 1.1

권순선의 이미지

http://www.zdnet.co.kr 의 기사내용 일부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프리 스탠다즈 그룹(Free Standards Group)은 LSB(Linux Standard Base) 1.1 버전과 리눅스의 언어 장벽을 해결하기 위해 리눅스 국제화 이니셔티브 표준(Linux Internationalization Initiative Standard)의 첫번째 버전을....

....[중략]....

그리고 이 표준 과정이 정착되는데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 CTO인 마이클 시만은 레드햇의 리눅스 기초 버전은 올해부터 LSB와 호환되겠지만, 앞으로 출시될 하이엔드 어드밴스드 서버의 초기 버전은 LSB와 호환되지 못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제품이 12∼18개월마다 한 번씩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2003년 이후에 LSB와 호환될 것이라고 했다.

리눅스 시장의 주도 업체인 레드햇은 크게 걱정할 것이 없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자사의 프로그램이 레드햇 버전에서 문제없이 동작하는지 제일 먼저 확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만은 LSB가 대략 6개월마다 치루는 소프트웨어 업체들의 제품 업그레이드를 쉽게 해줄 거라고 말했다. 만약 이러한 표준화 정책이 없었더라면 소프트웨어 업체는 소프트웨어 재인증을 위해 계속 돈을 쏟아부어야...."

LSB가 원래의 목적대로 사용된다면 배포판간의 호환성을 높이고, 소프트웨어 개발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텐데 과연 LSB를 통한 표준화가 잘 이루어질 수 있을까요. Linux Internationalization Initiative Standard는 국내 배포판 업체들도 한글 버전을 만들때 참고하면 괜찮을것 같은데 실제 적용시 얼마나 유용할지는 잘 모르겠군요. 자세한 정보는 http://www.freestandards.org/에서 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펙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LSB: http://www.linuxbase.org/spec/
Li18nux: http://www.li18nux.org/li18nux2k/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글을 읽어보면 데비안에 관한 얘기는 하나도 없는데 혹시 아시는 분 있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데비안도 리눅이지요... ^^

패키징 방식이나 몇가지 다른점이 있긴 하지만...
레드헷, 슬랙, 데비, 기타등등 한 식구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LSB 1.1에 데비안의 참여 여부를 질문하시는 것 같은데요?

흠...
제가 보기엔 메이저 배포판(그것도 상용)이 중심이 되어서 가는 것 같은데...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Several organizations support and contribute to the Free Standards Group, including Caldera, Compaq, Debian, Dell, Hewlett Packard, Hitachi, IBM, The Open Group, Oracle, Red Hat, Sun, SuSE and members of the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development community.

권순선의 이미지

사실 2월 1일에 이미 slashdot에 올라온 내용입니다만, http://www.zdnet.co.kr에 한글 번역 기사가 올라왔기에 지금 올립니다. 영문은 읽기가 귀찮아서.... :-)

slashdot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lashdot.org/article.pl?sid=02/02/01/14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