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인증제도와 조립PC

권순선의 이미지

전자신문 기사입니다.

개인용컴퓨터가 오는 7월부터 전기용품 안전인증제도 대상 품목에 포함됨에 따라 현재 용산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PC 조립판매가 중단 위기에 몰렸다.

특히 안전인증 적용 범위를 싸고 '소비자 보호를 위해 예외는 없다'는 정부와 '도소매로 규정'해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상가 조립PC업체들의 의견이 정면으로 충돌, 자칫 업체들의 생존권 싸움으로 번질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인증제도의 폭발력=용산을 비롯한 PC조립판매업체들에 위협이 되는 부분은 인증에 따른 비용발생이 핵심이다. 관련 인증기관에서 시험을 거치기 위해서는 모델별로 140만∼150만원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고 이는 곧바로 원가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 전자파 및 구조검사, 내전압시험 등으로 이뤄지는 인증은 검사기간만도 1개월 이상 소요돼 영세한 PC조립판매업체들이 감당하기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모델별로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는 규정에 따르려면 사용자 요구에 따라 임의로 PC를 조립하고 있는 조립상들은 모든 제품에 대해 인증절차를 밟아야 한다.

이에 따라 용산의 중소 PC조립판매업체들은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며 최악의 경우 PC 조립판매가 중단될 것으로 보인다.

◇산자부와 업계의 충돌=전기용품 안전인증제도를 주관하는 산업자원부의 한 관계자는 '생산업체보다는 소비자의 안전을 위해 도입한 제도인 만큼 모든 제조자에 적용되며 예외는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
거의 모든 전자제품은 안전규격이 정해져 있지요? 요즘에는 전자파 관련해서 EMI/EMC 인증 또한 중요시되고 있고, 특히 컴퓨터의 경우 클럭수가 높아지면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로 인해 최근에는 메인보드 설계시 전자기학적인 요소도 감안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디지탈"컴퓨터를 만드는데 "아날로그"지식도 함께 필요하게 된거죠. 이런 취지에서 정부가 시행하고자 하는 전기안전인증제도의 원래 목적은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이를 적용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는 조립PC업계의 상황 또한 그리 간단하지는 않군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김현호의 이미지

나참...한심해서....
기껏 조립pc에서 전자파가 나오면 얼마나 나온다구...
모니터는 몰라두....본체에서는....별루 안나오는걸루 아는데....
전자파는 전류와 관계가 깊습니다.
전류가 많이 흐르면 그만큼 전자파도 마니 나오게 되는거죠....^^*...
근데 컴같은 가전기기에 흐르는 전류는 얼마되지두 않는데...그렇게 걱정을.....
차라리 건강을 위한거라면 모니터를 더 규제하는게 옳은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구 컴만지다가 죽은 사람있다는 소리는 못들어봤는데..^^*....넘 탁상행정같네요....
빨리 이문제가 해결되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

안전규격단 무슨 불법소프트웨어 단속쯤 되는 줄 아시나요. 일단 생각해
보면 하나라도 가짜 마크 붙여서 영수증주고 팔면 증거가 남는데 문 닫는다고
뭐가 달라지나요.. 그리고 그냥 벌금 몇푼이 아니라 제품수거명령, 영업정지,
영업취소 이딴게 나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컴 시장이 크니까 돈이 보여서 뛰어드는 듯...
아마도 제일 큰 피해자는 역시 또 소비자가 될거에요

업체야 마크만 갖다 붙이다가
단속 뜨면 문 닫거나,
속 시원히 한번 걸려주고 벌금 내면 되지만...

테스트 때문에 컴 값 올랐다고 돈 더내라고 하면
결국 그 돈은 소비자 주머니에서 나가는 것...

우리나라 정부라는 곳은...
어쨌든간에 국민들한테 한 푼이라도
더 짜 낼려고 안달일 뿐이고...
정말 지겹군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지금까지는 산자부가 뭐하는데인지 몰랐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쓸데없는 일이나 하고 있다면 제가 낸 세금이 너무 아깝군요.

이런 쓸데없는 부서는 사라져야 하지 않겠습니까?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도대체 안전인증제도가 뭔지.. 용산에 한 업체가 그것을 감당할수있는 여력이 되는지 생각하고 입안을 했는지 묻고 싶네요.
얼마의 비용이 들지 계산해 볼까요. (방금 갈무리한 가격표를 보고 계산합니다. 물런 말하지만 이 계산법은 틀린것입니다만...)

먼저 CPU는 amd가 12종, 인텔이 19종입니다.
다음은 메인보드입니다. 인텔것이 62종이며 AMD는 26종입니다.
VGA는 54종이군요.

컴퓨터의 기본만으로 계산을 해도 12*26*54+19*62*54라는 수치가 나옵니다.
16848 + 63612 = 80460 라는 종류가 나오는군요. (이거 맞나.. 계산이 엄청 틀린것 같은데..)
뭐.. 모델별로 하면 이렇게 되겠죠. 시퓨 속도와 칩의 종류로 하면 엄청 줄겠지만.. 용산에서 자기가 원하는 브랜드가 아닌것을 사는 사람은 없겠죠.
하여가 여기에 140만원을 꼽하면 천문학적인 숫자가 나오죠. 문제는 모델에 메모리 종류라던지 하드의 크기나 제조회사가 문제가 되면 별수없죠. 메모리도 일반적인 종류만 5가지로 생각되는데 하드는 제조회사만 7개회사에 종류는 약 4~7종이 나오죠. 뭐.. 이것들도 꼽하면...

용산은 다 망하란 소리죠. 누가 들어도....
물런 용산이 대기업처럼 특정부품만으로 모델을 만들수도 있겠죠. 하지만 다양성을 추구하는 민주주의에서 정부가 해야할일은 아니죠.

# 누가 입안을 했는지... 컴맹이나 돈봉투받은게 확실하겠네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오해하시는 분도 계시는 데 개인이 자기가 직접 부품 사서 조립해 쓰는 건 아무
문제 없습니다.

혹시 외국에 살고 계신 분이 계시면, 외국에서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인증내용은 오히려 더 엄격하면 엄격했지, 느슨하지는 않거든요..
용산같은 PC조립업체가 있는지..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저 지금 산자부 홈페이지에 글쓰고 오는 길입니다..
한번 가보세요.. 가관이더군요..
국민들 아우성이 장난아닙니다.
http://www.mocie.go.kr

조립pc상인들 아우성.. 농민들 아우성..죽어가는 국민들 목소리가 마치 귀곡성 같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용산 바닥에서 일하는 사람입니다.

어쨋든 이내용에관해서 용산에 있는 사람들이 한마디씩
하는 말은 세금 뜯을라고 하는거라고 한마디씩 합니다.

뭐 이바닥이 어떤바닥인데 저거 한다고 망하겟심까-_-a
긍지의 한국인 자랑스런 한국정부

뜯고 뜯기는 치영한 현대사회지요.-_-a EMI 없음 빌려서
붙일겁니다. 간단하죠 - _-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승인, 인증.... 뭐 그런게 생긴다 할지라도 조립업체는 충분히 피해갈수 있는 방법이 있죠..

PC구입하는 것을 각 부위의 부품을 구입하는 명목으로 바꾼후, 영수증도 각 부분별로 계산하면 되겠죠. 부품을 조립해주는 서비스까지 못하게 막지는 못할테니까요.

현실적으로 조립PC에 그 법을 적용시키는 것은 실효성이 없을뿐만 아니라, 그럴 필요도 없을것 같군요.

차라리, 지금 존재하는 인증이나 제대로 하라고 하죠.
제가 전산조교일을 하는데 학교에서 써본 메이커 컴중, 삼성은 99년도까진 좋았는데, 그이후부터는 기관납품의 품질이 엉망이고- 특히 2000년도 납품분 16대 중 불량품이 3대 1달도 안되서 맛간것들... - 삼보는 그저 평이한 수준 30대중 1년 써서 2대가 맛이갔으니 뭐 어쨌든 인증이 제대로 되었다면 이런 컴이 유통 될까요?

제가 집에서 쓰고 있는 컴이 E-Machines.. 미국에서 히트친 저가 컴이죠 사용이 Cel 400 + 비디오 오디오 카드가 통합된 보드인데... 소음이 없고 아주 안정적으로 돌아가더군요.. 미국에 파는거라 이렇게 잘만들었나? 제가 아는 교수님이 미국에 있을때 사온 물건입니다... 덕분에 영문윈도시디도 있고 자판에 한글도 없지만...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으흠 그렇게 까지 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요?
이미 성능 테스트 과정에서 거쳤을텐데..

이미 시장에 풀린 물건에 대해..또다시 테스트를 한다는
그런..비.생.산.적.인 짓을 하는게 참 골때리는군요..

아무래도 그걸로 삽질하다가 날려 먹은 정부재정 땜빵을 위해~!?..??

하여튼 이해가 안가는 말이군요

몇몇 업체는 제품 검사가 무지 까다롭다던데..그걸 통과한 것들이 과연...검사한다고 문제가 있을까요?

혹 기준이 업체들의 기준보다 더 까다롭고 엄격하다면 모를까..안그렇습니까~!?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책상에 앉아서 어지간히 할일이 없던지
아니면 놀면서 웝급받기가 미안해서인지
전자가 되든 후자가 되던 아무리 머리를 이리 굴려 저리 굴려
생각해 보아도 납득이 가질 않는군요.
어쨋든 탁상 행정이라는 따가운질책을 면할 길은 없어
보이는 군요. 쩝--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정말 전형적인 탁상행정, 행정편의주의의 발상인것 같군요.
국민의 안전을 위해서?
난 지금까지 컴퓨터 쓰다가 전기땜시 죽었다는 사람은 못 봤는디...

어째 정부에서 하는 일이 다 이 모양인지 모르겠군요.

조용하다가 한 마디 툭 던지는게, 국민들 속 뒤집어 놓는 말들 뿐이니...

정말 세금을 안 내고 싶다...
내가 내는 세금이 저런 돌머리들 먹여살리는데 쓰이다니.

이런데 아까운 인력이나 예산 쓰지 말고, 의사들이 띵땅하는 돈이나 제대로 챙기고, 안전 점검 철저히 해서 죄없는 어린이들 타죽게 만들지 말고, 쪽바리들 헛소리 하는데 좀 확실하게 입을 틀어막는데 돈을 썼으면 합니다.

이거 원...

완죤히 코미디다, 코미디.
장진구 주연의 코미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내무부에 한때 속했던적이 있지만...

우리나라를 좀먹는 힘은 바로 탁상행정이라고 할수 있죠...

멋지지 않아요? 탁상행정?

"에라이 장진X같은넘들아"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ㅡㅡa 아니 그믄... 컴터 부품 직접 사서 조립하는 사람들은 어케 되나여?? 다 불법적인 짓거리 하는게 되나?? 머 이래??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음... 이건 서로 오해 한것 같네요.
이 내용 대로라면...글세요...
컴퓨터는 적용규격이 IEC 60 950입니다. 이건 앞이 영문 이니셜만 다르고 내용은 전 세계적으로 동일한 규격 입니다.
물론 각 국가별로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아주 많이 다르지도 않습니다.
일반적인 전기 안전은 교류, 1차전원 쪽이 우선입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컴퓨터에서는 SMPS가 그 대상이라는 이야기 입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제조 업체에서 인증을 받기 때문에 그인증서를 이용합니다.
그리고 전원 전압이 42V DC 이하는 대상에서 제외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조립해서 자기 상표나 뭐 모델명등을 붙이면 다시 별도로 승인을 받아야 하지만 승인 받은 부품그냥팔면 아무 문제가 없죠.

결국 정보 부제라고 밖에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제조업에 종사하는 사람인데요... 비록 가정용 제품을 만들진 않아서
승인 내용이 좀 다르겠지만 안전규격에 좀 익숙합니다.

승인받은 부품을 파는 건 문제가 없지만 (그래서 부품이 따로 승인을 받는
거죠) 그 부품으로 완제품을 만들면 다시 승인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국내에서 판매되는 가정용 전기기기 치고 전자파 시험
EMI/EMC 피해갈 수 있는 제품은 거의 없습니다. 회사에 있는 삼성
PC도 EMI 마크가 붙어 있군요. 안 받아도 되는 걸 심심해서
받지는 않았겠죠?

DiNe의 이미지

각 부분이 정인 것의 합이 항상 정인 것은 아니지만, 현실적 측면을 감안할 때 그렇게 처리하는게 마땅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조립하는 모델별로라니.. 말도안돼. ;;;

인증은 각 부품별로 하는쪽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궁금한 게 생겼습니다.
TV와 VCR, 앰프와 스피커를 모두 만들어 파는 A/V업체가 있다면... 이 업체가 각각의 조합을 다르게 해서 내놓는 여러가지 상품들은 그 상품 패키지 자체로서 또 한번 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

TV도 통과했고, VCR도 통과했는데, 두개를 패키지 상품으로 팔기 위해서는 둘이 같이 쓸 때도 문제가 없다!는 인증을 받아야 하는 건 아닐런지.. ;;

소비자의 권익도 중요하지요. 하지만 항상 그렇듯이 권익은 적정한 선의 비용과 항상 합의될 수 밖에 없는거니까.. 그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만약 조립 PC분야가 다 망하게 된다면.. 완제품 PC를 구입할 방법밖에 없을텐데, 이것은 결국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지겠지요.

대기업도 만만찮기는 마찬가지일 것 같군요. 하드 20G짜리를 장착한 모델을 내놓았다가 30G짜리로 스펙을 바꾸면 또 인증받으러 한달... ;; 이건 경쟁력의 문제와 직결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위의 제조업 종사자인데요.. 물론 조립PC를 인증받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고
소비자 부담만 가중시킨다는 데 동의하지만..

적어도 조립PC의 경우에는 한번 테스트해 보면 실패하는 경우가 절반
이상 될 겁니다. 예로 M/B를 만들어서 겨우 인증 기준치에 맞추도록
만들면 조립할 때 조금만 케이스가 부실하거나, 좀 빠른 CPU를 달거나 그러면
승인을 통과 못할 수도 있습니다. (대만 T모사의 M/B에서 확인..) 게다가
조립PC업체들이 쓰는 부품들중에 승인이 전혀 없는 제품들도 있죠..

대기업의 경우는 자체적으로 인증과 관련된 (아주 비싼) 장비를 가지고 있고,
담당자도 따로 있습니다. 대부분의 중소 제조업체는 인증대행업체에서
시설을 대여하죠..

제 생각에 부품이라도 제대로 인증받은 제품을 썼으면 좋겠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조립PC에 사용되는 부품들도 거의 대부분이 인증을
받았는걸 사용합니다.
그래도 조립PC 부품들은 드라이브라도 쉽게 구할 수
있지만 대기업 제품의 부품들은 출처도 몰라요.
특히 삼성 SPC8000계열의 컴퓨터들은 드라이브 잡는
데 엄청 골때려요..이상한 사운드카드를 사용하지 않나....조립은 별루 그런것들이 없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