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1 에서 T3 로.. 그만큼에 효과는???

geekforum의 이미지

안녕하세여? 모 잡지를 보다가 본 자료 입니다..

T1 을 T3 로 교체 하였을때에... 과연? T1 회선값을 지불하는거에 비해
T3회선 값을 지불한 만큼의 이득을 볼것인지..
대역폭은 속도와 정비례 할것인지? 에 관한 리눅서 여러분들의 토론 부탁
드립니다. 다음 예를 보시고... 어떨지... 토론 부탁 드립니다..

ex) 모 잡지를 인용..

평균 웹페이지는 대게 평균 5KB 정도의크기이므로 한페이지를 보여 줄 때

T1 의 경우

5KB / 1.5Mbps(T1) = 2.5ms
라우터 대략 1.5ms 지연 시간이 발생.. 하면 6개 정도 지난다 하면
1.5ms * 6
총 2.5ms + (1.5ms * 6) = 11.5ms 정도의 지연시간이 걸립니다.

T3(45Mbps)의경우

5KB / 45Mbps(T3) = 0.83ms
라우터 대략 1.5ms 지연 시간이 발생.. 하면 6개 정도 지난다 하면
1.5ms * 6
총 0.83ms + (1.5ms *6) = 9.83ms 정도의 지연 시간이 걸립니다.

이를 바탁으로 보면 T1과 비교 하여 대략 20% 정도 밖에 속도
개선을 가져오지 못하져? 으음...

T3라인의 연이용료는 대형 통신업체는 정가가 1억을 호가 한다고 합니
다...
(KREN 자료 인용)...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회선 업체에서 연결 해주지도
않고여....

이하 생략

그럼 이만..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일단 근태야 나 동범이다 너랑 이 논의를 재일 먼저 토론한사람-

여따 글 올리라 칸 사람 잉제 본론에 드러가겠다..

---------------------------------------------------------------------

T1 = 1.5M
T3 = 45M

30배 차이가 난다. 가격도 30배가 차이나더군 3백만원이랑 9천만원정도.

일단 T3 기 조타구 우긴넘이다. 나는 T3 회선을 개인이쓴다고 생각 앙했다

1. 개인.

여기 개인에 대한 의견도 나왔더군. ide 로 45M 를 카피해낼수없다.

오널도 말했듯이. 그래서 하는말이다. 개인이 T3 쓰기엔 아깝다.

2. 서버.

서버는 많은 사람이 자료를 공유한다. FTP 파일 서버 같은경우.

아까도 말했듯이 1.5M 로 45M 가를 채우려면 T1 30개를 끄러야됀다.

돈은 삐가삐가 하다. 그러므로 전혀 효율성이 없다. 내 의견이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하하 -_-; 이 토론이 열리 기 전의

새로운 니 의견이 나오다니 할말 없구만..

그리고 분명 너와 나는 서버 인지 클라 인지.. 자본 문제 인지 또한

기준안을 내지 않았으니 너와 나의 토론은 무의미 했따 본다..

이상.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먼저 겁을 상실하고 답변을 달아 봅니다...

본인은 신동관이며 네트웍을 개인적으로 상당히 좋아 합니다..

네트웍 기사로 지낸적도 있고요.. 그럼 본인의 겁업는 소리를 하겠습니
다..

먼저 제가 직접 테스트 해본 것들이며 다른분과는 다를수 있습니다.

모든 연결은 크로스 케이블로 다이랙트 연결이며 (허브 없이) 특정 상표를

표시하지 않음(?)

rtl8139 <-cat5-> rtl8139 3-5Mbyte
3c905 <-cat5-> 3c905 4-6Mbyte
intel10/100 <-cat5-> intel10/100 4-6Mbyte

full상태에서 단방향과 half에서 단방향 (half가 최대 12Mbyte까지 나오더
군요)

full상태에서 단방향과 평균 위에 나열한 수치입니다.

여기서 속도를 한번 볼까요...

T1 - > 1.544Mbyte
T3 - > 45Mbyte (맞나)

그리고 백본의 문제도 있을 겁니다.

본인은 자이랜과 코어빌더9000을 해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자이랜이 더 낳은듯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

모든 분이 아시겠지만 다운로드시 또는 서버 운영시 업로드가 되겠죠...

아무리 스위칭허브라 하여도 한쪽(먼저 접속한쪽)으로 많은 트래픽이

소모 됩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NIC가 감당할수 있는 속도도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생각지 않은 케이블링에서 많은 속도 감소가 있습니
다.(완전한 개인적인 생각)

개인적으로 T3을 쓸거라면 라우터 몇대 더 놓고 CSU몇대 더 놓고

T1이나 E1 여러개 설치해서 쓰겠습니다.

아직 E1이상 사용한 경험이 없는지라.......

그럼 본인의 겁업는 생각이었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 rtl8139 <-cat5-> rtl8139 3-5Mbyte
: 3c905 <-cat5-> 3c905 4-6Mbyte
: intel10/100 <-cat5-> intel10/100 4-6Mbyte
: T1 - > 1.544Mbyte
: T3 - > 45Mbyte (맞나)

이렇게 계속 보이는데.......
회선 속도를 나타내는 Mbps는 Mega Byte Per Second가 아니라
Mega Bit Per Second 입니다.
즉, Mbyte는 틀린 것 같은데요?

__
SOrCErEr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좋은 지적이네요..
1.544MByte가 아니지요..Mega bit지요..

정확하게 얘기한다면..1.544MBit란것도 틀린것이고..

T1 Carrier을 얘기한다면 1.544MBPS란 표현이 맞는 것이지요..

그리고..위의것은 이론(?)적인 것이고..
실제로 데이타의 흐름에 대한 속도는 한채널은 데이타가 아니라
신호를 보내는 채널이니 좀 빠지지요..아마 (음 계산안됨)

이상이어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전 의견이 좀 다릅니다.
클라이언트로 쓰느냐....아님 서버로 쓰느냐...에 따라..틀려진다고 보는
데여..
일일이 숫자 계산에 의한것이 아닌 제가 직접 사용해보고난후 느낀점 입니
다.

우선...클라이언트로 쓸때...
T3는정말 말로 표현할수 없을정도의 쾌감을 느낄정도로 빠릅니다.
과연 돈값을 하는구나...라고 저는 느꼈고여..
T1은...전에 많이 나온 얘기지만...가격대 성능비에 대해서 만족하는 편입
니다.

그리고 서버로 쓸때.
제가 아는 모 회사가 있는데... 그 회사는 메인웹서버www. 한대..
DB서버 2대..
FREEBSD서버 2대.
DNS한대.
메일서버 1대
그리고 잡다한...7대의서버..
다른회사 이름으로 돌리는 2대의 서버..
호스팅서버 2대 총 18대의 서버가 있습니다.
라인은 T3..
서버가 많아서 그런지는 몰라도......
제가 그 회사의 호스팅서버에 계정을 얻어 사용할때는...무쥐 느렸습니다.
일반 무료계정보다야 빨랐지만..
호스팅서버 한대당 15명의 유저만 입주한걸로봐서...
전혀 느릴 이유가 없슴에도 불구하고..
불만족 스러웠습니다.

하지만...지금 저는..PC방..T1라인. 에 컴퓨터가 60대 있슴에도 불구하
고..
손님이 풀로 차있을때도..
제가 물려놓은 리눅이 서버는 대단히 만족스러운 속도로 돌아갑니다.
T3라인보다 T1라인에서 웹서버의 속도가 훨씬더 빨랐습니다.
우선 T1라인에는 서버가 1대 물려있고...T3라인에는...18대가 물려있다고
가만한다면..
그리고 피씨방인것을 감안한다면..
가격대 성능비를 봤을때...T3보다는..T1라인 2개가 더 좋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여기저기의 서버를 사용해보고 느낀점입니다.

logout_의 이미지

bandwidth의 관점에서 봐야겠죠. 라인을 이용하는 한 사람이
느끼게 되는 체감속도보다 여러명이 라인을 이용할 때 병목현상이
일어나는가 아닌가에 따라 판단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아랫분이 지적하신것 처럼 2차선 도로를 쓸 것인가 8차선 도로를
쓸것인가의 선택입니다. 차가 많이 다니지 않는다면 2차선으로
충분합니다. 그러나 차가 밀리기 시작한다면 차선을 늘이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렇지만 2차선이나 8차선이나 차 하나하나의 속도는 큰 차이가
없다고 봐야 합니다. 즉, T1을 쓰나 T3를 쓰나 개인이 느끼는
속도는 커다란 차이는 없다는 것이죠. 물론 T3가 빠르기는 하겠지만
개인이 느끼는 속도로 본다면 T3는 속도에 비해 지나치게 비싼
가격표가 붙어 있는 겁니다.

사용자 수를 추정하고 T1과 T3의 경우 각 사용자에게 돌아가는
bandwidth의 양이 어느정도인지 체크해 보십시오.

Cruz_의 이미지

지연시간만을 생각할순없죠.
지연이 되더라도 한번에 쏘아올리는 양과 기타적인게 있으니,... T3를 선
호하는거겠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당근 있다고 봐야죠.

T1 과 T3 모두 채널이 24개지만 각채널의 속도도
그만큼 커지니까...

간단히 (속도차이 x 채널수)로 보면 되겠네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일반적으로 웹페이지 초기화면은 5k는 훨씬 넘을것 같은데요.
그림파일 하나만 있어도 5k정도야...계산이 좀 이상하네요.
t3 라인을 혼자서 쓴다면 그런 계산이 약간은 맞겠지만,
여러명이 쓴다면 tcp delay 에서 시간이 걸리는것 보다는,
네트워크 대역폭의 부족으로 인해서 시간이 많이 소모됩니다.
이런경우는 분명 대역폭을 늘이는것이 효과가 있을 겁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T1->T3 가 돠면 무지하게 효과가 좋습니다.

하지만 T3로도 모자란 네트웍 폭주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T1 -> T3 업그
레이드는 눈에 띄는 개선을 가져오긴 어렵죠.

channel개수 뿐만아니라 1 ch당 band도 넓어지는 것인데....

T1이 몇개나 모여야 T3가 되는데, T1 라인 2개로 T3를 커버하다니.
단지 T1이 두개이고 그 전용선이 동일 node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한쪽은 폭주하는 쪽으로, 한쪽은 좀 덜한 곳으로 연결되어있기 때문
에 그런 현상이 생길 수 있다고 봅니다.

전용선도 어찌되었던 정해진 node까지만 나의 traffic을 보장하기 때
문에 사실상 전체적인 internet이용시 bottle neck이 발생하겠지요.

가격대 성능비까지 내려간다면 모르겠지만, 이론상 T3가 훨씬 우수한
것은 사실이구요, 단지 network의 모든 performance를 response time
에만 의존한다는 것도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하나의 척도이긴 하지만
요... 단순히 이것만 높히는 routing algorithm을 쓰면 그것은 무척
높힐 수 있겠죠.

순전한 사견이고요. 반박의도는 없습니다. 좀더 전문가분이 더 보충
해주시면... 좋겠네용 ...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저도 동감하네요.

솔직히 직원 한 20명 정도의 직장에서, 인터넷 사용만을 목적으로 회선
을 임대한다면 T1이면 족하리라고 생각이 드네요.(실제로 울 회사 그렇
게 씁니당^^;)

T3면 왠만한 대기업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대역폭이 아닐까요?

만약 거기서 웹이나 FTP서비스를 한다면 별도의 이야기겠지만요...

ping때렸을 때의 latency라는 것과 대역폭하고는 별개의 문제이겠지요.
latency는 패킷이 날아가는 속도이고, 대역폭은 한번에 얼마나 많은 패
킷(혹은 커다란)이 다닐 수 있는냐라는 것이니까....

차가 적다면, 1차선도로든 편도 5차선 고속도로든지, 실제 소통량에는 별
반 차이가 없겠지요.

하지만, 차가 많아지면, 1차선도로는 밀리게 되고, 그때 5차선 고속도로
의 위력이 발휘될 겁니다.

T3도 T1대역폭이 넘어서게 되는 시점에 그 위력을 발휘하지 않을까 합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