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 리눅스와 네트워크 장비
현재 임베디드 리눅스가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분야는 PDA,휴대폰등과
같은 단말기 분야입니다. 제가 알기로 가장 중요한 이유는 공짜라는 것으
로 알고 있습니다. MS에서 제공하는 WindowCE라는임베디드 GUI Solution
은 장비당 얼마의 금액을 지불해야합니다. 따라서 가격이 제품의 가장 주
용한 포인트인 PDA나 휴대폰등과 같은 단말기는 임베디드 리눅스를 사용해
서 가격을 낮추고자 하는 것입니다. 물론 가격외에도 다른 이유로 임베디
드 리눅스를 PDA난 휴대폰에 적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시는 분들고 계시겠
지만 가격이 가장 중요한 이유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많은 리눅서들은 리눅스가 다른 O/S에 대해서 우수한 점이 많다
고 생각하고 계십니다. 저는 그중에서도 가장 큰 장점은 네트워크 기능이
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습니다. 리눅스의 힘! 바로 네트워크 기능에 있습니
다. 그렇다면 네트워크 장비에 리눅스를 적용한다면 얼마나 큰 힘을 발휘
할 수 있을까? 엄청남 힘을 발휘할 것입니다. 그러나 아직 임베디드 리눅
스를 네트워크 장비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이유는 무엇일까
요? 그것은 그동안 네트워크 장비 개발에 사용된 기술을 포기 할 수 없
기 때문입니다. 네트워크 장비 개발 분야 기술자는 현제로서 가장 고급 기
술자입니다. 그동안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노하우를 다 포기하고 리눅스
로 가기는 힘들 것입니다. 또한 현제 개발할 일들이 산더미로 많은데 리눅
스를 적용할 시간을 갖는 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지요. 이러한 상황은
Cisco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국내의 네트워크 장비 회사 중 세계적인 회사는 아직 없
읍니다. 대만에는 있습니다. 저는 임베디드 리눅스를 네트워크 장비에 적
용하는 방법만이 세계적인 네트워크 장비 제조 회사가 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확신합니다.
이에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고 국내 리눅스의 열정이 임베디
드 리눅스로도 이어져 가기를 바람니다.
세계적인 네트워크 장비가 Made in Korea가 되는 날을 기다리며...
40만원대란 가격도 사실 벅참다.40만원임 자취생에겐 한두달 생활비인
40만원대란 가격도 사실 벅참다.
40만원임 자취생에겐 한두달 생활비인데.. 흑
그간 굶어야 됨다 그돈씀...
그럼 공부는 개뿔..
하고 싶어도 못함다
나두 임베디드 리눅 좀 배우고파여~!!
학생에겐 원가에 공급해주세여
20만원대에.. -_-
그럼 이번에 리눅스앳웍크에서 FLB-100을 파는건 뭡니까.말은 리눅
그럼 이번에 리눅스앳웍크에서 FLB-100을 파는건 뭡니까.
말은 리눅스 임베디드 개발자 양성이라고 싸게 내놓는듯 하지만..
사실 회사입장에서 보면 소비자가격은 대략 비싸게 형성해놓고
진짜 실제로 팔땐 세일한답시고 싸게 파는 백화점 거품세일이랑
비슷한 마케팅 방식 아닙니까. 엇듯 보면 싸게 파는것처럼요..
근데 실제로 보면 원가는 얼마 안될거 같은데.. 암만 비싸도..
원가는 20만원이 안넘을듯합니다. 물론 연구비용이 그간 들어갔
으니 포함시켜야 남겠지만요.. 순수제작비용만 말하는 겁니다.
근데 40만원도 넘는가격에 싸게 내놓는것처럼 것도 선착순으로
파는건 어떤연유에서 입니까?? 그냥 정말 그런 생각에서 개발자
양성이라면 계속 그가격에 파시거나 아예 가격을 학생신분인
사람이나 개인에게는 가격을 차등시키는것이 낳게 보입니다.
회사차원에선 어떤 이유인지 몰라도 보는 시각은 오해가 조금이
라도 될만한게 있으면 다른 시각으로 볼수도 있습니다.
선착순 판매는 저희 회사 방침에 맞지 않습니다. 선착순 판매를 할경우 이
선착순 판매는 저희 회사 방침에 맞지 않습니다. 선착순 판매를 할경우 이
미 인원수만큼의 장비를 제조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재고 부담이 너무크
기 때문입니다. 선착순이 아니면 구입 고객들에게 주문이 너무 생각보다
많아서 기다려 달라고 이야기 할 수 있지만 현제는 2000명에 대해서 기다
려 달라는 말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다만 리눅스 잡지회사에서 바쁘
게 기사를 내면서 저회 회사가 최종 확인을 못해서 나가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사항이기 때문에 그대로 하기로 했습니
다. 말씀하신대로 순수한 원가는 20원대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순
수한 원가라는 뜻이지요. 즉 재고비용,광고비용,연구비용,관리비용등이 전
혀 포함되지 않은 가격을 뜻하지요. 현제 재고 비용만 2억 정도됩니다.
만약 어떤 회사가 소프트웨어를 공개할 경우 순수한 원가는? CD한장 가격
인 천원 정도가 되는 것일까요? 저희가 FLB-100을 개발 제품으로 내 놓기
전에 먼저 대량 판매를 했다면 대량 생산으로 인한 원가 절감을 통해서 가
격을 더 내려갈 수 도 있겠지요. 그러나 현제로서 저희는 최선을 대해서
가격을 낮춘것입니다. 좀더 저렴한 가격에 구입하고자 하신다면 저희가
대량 판매를 한 후 다시 행사를 할때를 기다리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러
나 현제에도 등록된 많은 사람들에게 저렴한 가격에 감사하다는 말을 많
이 듣고 있습니다.
현재 개발 완료된 FLB-500은 WAN Port를 2개 가지고 있어서 전용선에 접
속되고 OSPF와 BGP와 같은 Protocol을 탑제되어 있습니다. (물론 리눅스
의 것을 그대로 가져온 것입니다.) 앞으로 ATM Port를 가진 장비도 바로
출시할 것입니다. 장비가 나오는 대로 우선 먼저 Community에 공급을 하려
고 합니다. 향후 개발 장비로 공급되는 것은 가격을 더 저렴하게 내 놓도
록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참고로 저희가 정한 현재 FLB-100의 정상 판매 소비자가는 57만원정도
(부가세포함) 입니다.
퓨전에서 대체 그 라우터 만들고 리눅스로 임베디드화하면서한게 뭐가 있
퓨전에서 대체 그 라우터 만들고 리눅스로 임베디드화하면서
한게 뭐가 있죠? 제가 직접 구입해서 (구입경로는 안밝힘) 보니까
대체 커널에 뭘 modify했는지 FLB-100에선 눈씻고 찾아봐도 몰르겠
더군요. 그냥 임베디드 리눅스 커널 중에 하나 씨퓨에 맞는거 갖
고 플레쉬 메모리 파일 시스템만 적용한거 같은데 틀립니까?
다른 모델엔 뭔가 달른 네트웍 튜닝 코드라도 첨가하셨나요?
하드웨어적인 설계나 구성은 몰르겠으나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선
별다른 리눅스 커널의 튜닝한것을 못찾았습니다.
뭐 퓨전리눅스측을 비난하자는 얘기가 아닙니다.
요즘 너무 리눅스 커뮤니티의 수많은 시간을 노력한 해커들의 부산물들이
단순히 기업의 사업화 용도로 탈바꿈 해서 이익을 챙기는데 쓰이
기만 하는게 아닌지 걱정되는군요.
퓨전측도 리눅스커널은 GPL이라는 라이센스하에 있다는 것을
차후에 커널의 수정후에도 알고 지켜주셨으면 합니다.
안그러면 가수의 표절이나 논문 표절한 사람과 다름없습니다.
남이 한 결과의 성과물갖고 자기가 한 양 하는건 범죄행위이며
도둑질과 같은 것입니다.
그리고 임베디드 리눅스가 되려면 커널을 수정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리고 임베디드 리눅스가 되려면 커널을 수정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좀 잘 못된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희는 오히려 커널 수정을 최소화 하려
고 노력중입니다. 저희은 일반 PC환경에서 시험을 하고 바로 크로스 컴파
일을 한 후 FLB-100에 수행을 합니다. 전혀 소스 수정없이 수행이 되지
요. 현제 Glibc-2.1.1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상하게도 Glibc-2.1.3에서는
되지 않고 있습니다. 현제 이점을 해결하고 있지요. 하지만 외국에서 판매
하고 있는 임베디드 리눅스는 glibc가 2.0이하인 것도 있습니다. 또한 커
널 버젼도 2.0이지요. 이러한 환경에서는 PC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임
베디드 환경에서 바로 실행하기가 무척 힘들겠지요?
정리하자면 임베디드 리눅스의 다른 분야에서는 커널을 수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커널을 수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장비의 처리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커널 수정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지만 네트워크 장비는 아직 고 부가
가치 장비이므로 보다 고성능의 CPU를 사용하는 것이 커널을 수정하는 것
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위 글을 쓰신분이 FLB-100을 사용하신지는 모르겠지만 쓰신 글 대로라
면 일반 리눅스와 같다는 것인데 저희로서는 당연한 것입니다. 장비는 잘
작동한 것으로 보이니 저희로서는 만족합니다.
그동안 많은 업체들이 리눅스을 통한 사업을 하고 있어서 오해를 하시는
그동안 많은 업체들이 리눅스을 통한 사업을 하고 있어서 오해를 하시는
것 같군요. 장비를 사보셨다고 하셨는 데 저희는 아직 일반인에게 장비를
판매한적이 없고 장비 데모용으로 2군데를 보여 주었는데 어떻게 구하셨는
지 궁금하군요. 플래시 화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어떻게 아셨지요? 플
래시 화일 시스템을 현재는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향후 Configuration 관
련 정보를 담기 위해서 플래시 화일 시스템을 사용할 것입니다. 현제는
NVRAM을 이용하고 있지요. 그리고 저희 회사는 개발된 커널 소스 공개를
하겠다고 알렸는데 아직 모르시고 계셨나 보군요. 저희 회사는 절대로 공
개된 리눅스 자료를 회사의 기술인 것 처럼 이야기 하지 않습니다. 오히
려 저희가 작업한 내용을 공개해서 임베디드 리눅스를 더 활성화 하려고
합니다.
리눅스의 공개자료가 없었더라면 저희는 FLB-100이라는 제품을 결코 만
들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신데로 커널의 약간의 수정만을 가했을
뿐입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러한 결과물이 기존의 라우터 보다 우수
하다는 것이지요. 이러한 우수한 점을 보다 더 잘 살려서 임베디드 리눅스
가 네트워크 장비 개발에 중심이 되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토론은 실명으로 해야 그 내용의 신뢰성이 있지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