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RedHat 7.0 base 한글구현에 대해서

geekforum의 이미지

wkpark@kldp.org님이 han.comp.os.linux.misc에 올린 글입니다.

드뎌 glibc-2.1.92 부턴 한글 로케일이 기본으로 들어가 있는 관계로
로케일 설치로부터 해방(?)되었음다.
(/usr/share/locale/locale.alias 도 수정됨)

백묵 한글 폰트를 설치하면 좀더 예쁜 한글을 볼 수 있게 되었음다.
(설치 안하면 미운 대우폰트 ^^;;)

완전한 설명은 하지 않고, 급하게 테스트 해보는 절차는...

1. 백묵 한글폰트 설치 (미지리눅스)
2. ami 설치 (미지리눅스)
3. 넷스케입 한글 리소스 (최준호님)
4. libnsfix (본인것)

세개를 설치한 후에,

$ export LANG=ko_KR (반드시 이렇게)
(LANG=ko 도 먹히게 하려면, /usr/share/locale/locale.alias 도 수
정)

$ XMODIFIERS="@im=Ami" (대소문자 반드시 구분)

$ startx

(X 로 바뀐 후에)
$ ami &

받을 수 있는 곳
===============
백묵폰트:
ftp://ftp.mizi.com/pub/mizios/1.5beta/i386/main/RPMS/baekmuk
-2.0-7mz.noarch.rpm
아미: (마찬가지 위치)

넷스케입 리소스는 최준호님 홈에서 직접 받아서 설치하셔도 되고,

RPM으로 만들어 놓은 것을 받으셔도 됩니다.
(소스 RPM도 같은 위치에 있음)
http://chem.skku.ac.kr/~wkpark/linux/archive/

netscape-base-ko-4.75-1.noarch.rpm
netscape-nsfix-20000913-1.i386.rpm

끝 :-)

이렇게 하면 한글화 된다고 하셨는데...

넷스케이프만 한글화시키는 작업이 아닌가요?

자세히좀 알려주셔서 같이 공유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