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기사 관련 인포이큐 직원입니다.

geekforum의 이미지

아래 디지탈 타임즈에 나온 기사 중 잘못된 부분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다음과 같은 기사내용에 오류가 있습니다.
<잘못된 기사내용>
"리눅스 시스템 적용시 플래시 메모리내 배드블록을 관리하는 FTL
(Flesh Translation Layer) 프로세서를 없애고 메인 중앙처리장치
(CPU)에 이 기능을 함께 담은 칩이다."
<기사 수정내용>
"임베디드 리눅스와 web browser가 탑재될 플래시 메모리의 관리를 MTD
의 FTL(Flash Translation Layer)에 배드블럭관리 및 NAND type의
BAT(Block Address Translation)를 추가하여 구현하였다."
<부연설명>
MTD가 NAND type의 flash에 대해서는 M-System사의 DOC를 가정하였다.
DOC에는 TFFS가 내장되어 BAT를 구현할 필요가 없다. 이는 controller
가 내장되어 고가인데 반하여 (주)인포이큐의 구현방법은 저가를 위해
DOC를 사용하지 않고 BAT를 추가하여 직접 NAND Flash 관리기법을 사용
하였다.
(참고로 MTD에는 FLASH BAD BLOCK 관리가 없는데 이는 비실용적이다.)

위사항은 기사내용의 수정사항입니다.

그리고 참고로 디지탈타임즈에서 저희 회사 계획보다 기사가 먼저 공개되
어 아직 공개를 위한 준비된 자료가 부족한 상태입니다. 점진적으로 본사
에서 embedded linux를 구현하여 적용한 관련 기술자료를 open할예정이
오니 관심있는 개발자 여러분들의 관심 부탁드립니다.

기술자료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webmaster@infoeq.com으로 연락바랍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