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M유저=초보자, 타르볼유저=전문가????

geekforum의 이미지

어느 작은 리눅스 모임에서의 얘기였습니다.
한참 리눅스 얘기가 나오던 중...RPM이냐 타르볼이냐란 내용으로
여러 의견들을 나누었습니다.
리눅스에 어느정도 익숙한(사실 설치와 사용 정도겠죠 :-) 몇몇이
RPM에 관한 강한 부정을 나타내더군요.(그들도 레뎃 쓴답니다. ;-)
RPM은 어플에 대해 너무 감추어 버린다면서 초보자들에게 적당하다고
합니다.
타르볼은 실제 컴파일 작업을 하기때문에 더욱 능숙한 유저들이 쓴다고 합
니다.

어렵더군요.
제 사견으로는...
저도 타르볼을 주로 애용하지만 RPM도 자주 사용합니다.
저역시 허접 실력이라 소스를 손을 대더라도 아는 부분에서만 아주 조금
손을 대어 컴파일을 하고 사용합니다.
그것조차 귀찮은 어플일때는 걍 RPM을 쓰구요.
둘 모두 서로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과연 그 작은 내용 하나만으로 초보자냐 전문가냐 하는 논란이 있을수
있는지...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저 여러분 나름대로의 생각을 들어봤으면 합니다.

(아..데뱐에는 deb가 있구...프비에도 비슷한 형태가 있는걸루 압니다.)

김석기의 이미지

전 옛날부터 tar를 썼었습니다.

tar를 쓰다가 rpm패키지 많다보니

rpm으로 옮겨가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혹자는 그러더군요

rpm 잘 못 쓰는군요 초보인가요?

헉!!

이건 뭐랄까 한방 먹었습니다.

초보소리 안 들으려면 새로운것 나오면

빨리 익혀야 겠습니다.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rpm을 쓰냐 tar를 쓰냐로 전문가와 초보를 구분한다는 것은 정말 엄청한
비약이지요. 리눅스를 안지 얼마 안된 초보지만 다 나름대로의 장점이 있
는것 같습니다. 소스컴파일 할때 저렇게 사양나쁜 컴퓨터 갖고 있는 분들
은 속터집니다. rpm이든지 tar든지 자신의 목적에 맞게 적절하게 활용해
서 편하게 쓰면 된다고 봅니다. 자신한테 적합한 옷을 입었을때 제일 편하
겠죠. 이상 왕초보 생각이었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여러 님들이 말씀하셨지만...
제목과 같은 등식은 어불성설 즉.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할 수 있을거 같
습니다.

편하게 rpm 으로 설치할 수 있음 rpm 으로 하고,
쪼매 다른 옵션이 필요하다거나 기능이 필요하면..
컴팔해서 쓰면 되고.. 그런거 아닌가요?

굳이 rpm 으로도 잘 나와 있는데..
필요없이 그걸 컴팔해서 쓰는 사람이 있다면..
(물론 컴팔을 즐기신다면 할 말 없지만) 사서 고생한다(?) 는 생각밖에 안
듭니다.

자신이 필요한 기능을 알고 거기 맞추어서
rpm 을 쓰든지, 컴팔을 하든지.. 타르볼을 쓰든지 ..
잘 선택해서 쓰시는 분이 고수가 아닐찌.. ^^

뱀다리 :
MySQL 을 static 으로 링크시켜서 최적 옵션 주고 컴팔 하실수 있는분?
*^^* 전 시스템이 안돼서 못합니다.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소스를 컴파일한다는 것은 유닉스 시스템 또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큰 의미
가 있습니다. 이것은 GNU의 FreeSoftware나 소스가 공개된 시스템을 쓰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공개용 웹서버인 아파치의 경우만 하여도 256명 이상이 동시접
속되게 하려면 그냥 쓰면 안되고 아파치의 소스 디렉토리 src/include안
의 httpd.h안에 있는 데이타를 고쳐 주어야 합니다.

그 안에서

상수 HARD_SERVER_LIMIT의 값을 원하는 동시접속자수로 고쳐 주고 컴파일
해야 합니다. 그리고 여러가지 모듈을 띄우고 싶다는가 한다면 당연히 RPM
보다는 소스를 컴파일해서 써야겠지요.

리눅스나 자유 소프트웨어들은 사용하는데 값이 공짜라서 Free가 아닙니
다. 이런 소프트웨어의 저변에는 M$의 소프트웨어와는 다른 사용자=개발자
라는 인식이 있기때문에(개발자는 돈을 낼 필요가 없어야죠.. 그만큼 노력
을 투자하는 것이니 말이죠...) 그리고 소스코드를 자유롭게 변형 배포할
수 있기에 Free인 것입니다.

물론 당장 무엇을 써야한다면 RPM을 쓰시는 것이 좋지만 만약 배우는 분이
시고 무엇을 아시고 싶은 분이라면 tar ball을 받아서 컴파일을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디폴트로 컴파일하시려면 tar ball을 받는 것은 아
무런 의미가 없지요.........

요는 소스코드를 보느냐 아니면 안보느냐 겠지 tar ball로 디폴트로 컴파
일하는 것이나 rpm으로 깔아보는 것이나 차이가 없다고 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한때 타르볼만 쓰던 유저는 RPM 은 오히려 귀찮아 질수있습니다

그게 타르볼만 쓰던 유저가 기존 사용자라 전문가라는 이미지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RPM 유저가 초보자 , 타르볼유저가

전문가라는 건 맞지 않습니다. RPM 상당히 편합니다. 특히 컴파일이

까다로운 소스의 경우( 필요 라이브러리가 많거나 컴파일시 소요

시간이 긴 경우 ) 상당히 편리합니다. 그렇지만 소스를 자주 컴파일

하시는 분의 경우 rpm이 오히려 방해 됩니다. 의존성 에서 걸리고

여러가지 걸려서 나중에서 엉망진창이 됩니다. 결국에는 초보자

전문가를 나누는 구분 보다는 컴파일을 좋아하냐 아니냐의

자신의 취향에 따른다고 할수 있습니다.

전문가라고 컴파일 싫어할수 있고 초보자라고 컴파일 좋아할수

있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편한걸 사용한다고 하수라고 볼 수 없겠죠. 소스를 일일히
컴파일 하는 것도 좋겠지만, 사실 사용자의 입맛에 맛게 소
스를 뜯어 고쳐야할 것들이 얼마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게다가 요즘 많은 소스들이 rpm -tb 옵션으로 쉽게 패키징
가능하지 않습니까?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예전 기억이 나네요.

처음에 SunOS 4.1.3을 관리하면서 source tar 가져다 풀고, 컴파일하고,
make install하는 노가다(?)를 수도 없이 많이 했습니다. 이때의
문제점 중 하나는 설치한 패키지를 삭제하거나 업그레이드할 때
예전에 설치된 파일이 어떤 것인지 알기 힘들었다는 것이었습니다.
매번 컴파일하는 노가다의 양도 장난이 아니었구요.

이후 SLS, Slackware Linux, FreeBSD를 접했습니다. tar를 바탕으로한
패키징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 시스템들은 그야말로 쇼킹(?)했습니다.
한동안 정말 편하게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었습니다. 컴파일 없이
바이너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관리자 입장에서 얼마나 편하던지...
쓰다 보니 더 좋은 점들이 많이 보이더군요. 커널 소스를 볼 수 있다,
성능이 꽤 쓸만하다는 등...

하지만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었습니다. 바이너리를 깔다보면 이런저런
라이브러리가 없다. 뭐가 필요하다. 어쩌구저쩌구. tgz 받아다
깔고 실행해봐서 뭐가 없다 싶으면 또 다른 tgz 받아다 깔구...
이런것 조차도 귀찮아지더군요. 이 때 접한 배포판이 redhat입니다.

rpm이라는 생소한(사람은 자신이 익숙하지 않은 것을 보면 거부감이
든다고 하죠?) 패키징방식을 들고나온 redhat은 참 신선했습니다.
무엇보다 시스템 셋업이 쉬웠고(X 기반 인스톨은 2.0 정도에 처음
시도되었습니다) 그 서툴던 rpm도 웬만큼 쓸 줄 알게 되니 참
편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설치되면 기본 셋팅이 다 되어 시작하는
sysV init의 편리함도 빼놓을 수 없었습니다.

요즘 binary 배포의 경우 tarball, rpm, deb 등이 많이 사용되는
포맷이죠. source를 컴파일해야 직성이 풀리는 분들도 계시겠죠.
어떤 것을 쓰느냐는 다분히 개인의 취향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각각 차이도 있고 장단점도 있겠지만 쓰는 사람의 수준을
결정한다거나 각 옹호집단간에 패를 가르는 기준이 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저보다 경험이 많은 신분같습니다..... SUN OS 4.1.3부터 쓰시다니 말입니
다.저는 솔라리스 2.5.1에서부터 시작했으니 말이줘.... 근데 조금 이상
한 점을 발견해서 말이줘....

FreeBSD의 경우 pkg시스템을 이용합니다. netBSD도 그런 걸로 알고 있습니
다...OpenBSD는 잘 모르겠군요 안써봐서요

그런데 FreeBSD의 경우 GUI지원에 rpm못지않은 package시스템을 지원합니
다. /stand/sysinstall을 실행시키시면 FreeBSD의 새로운 세계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단순히 사무용이 아닌 서버용이라면 단연 프비가 좋다
고 생각합니다....그냥 님글을 보다가 지나가는 생각 몇자 적어봤습니
다....

김정균의 이미지

나름대로 패키징을 해서 RPM을 배포하고 있습니다만..
RPM사용자는 초보라 그렇다면..저도 초보이겠군요 :-)

나름대로 RPM의 장점을 들어 보라면.. 일단..
RPM -V 때문에 RPM을 이용합니다. 변경사항 체크해 볼수가
있어서 아주 좋지요. ^^;

그리고 RPM을 사용한다고 해서 무조건 RPM만을 사용하지는
않지요. 반대 급부로.. redhat user가 모든 프로그램을
tarball로 사용하지는 않을 겁니다. 즉 기본으로 설치되는
라이브러리까지요 ^^;

또한 한 20대의 서버를 관리한다고 생각해 보십시오.
하나의 패키지를 upgrade할때 스무대 모두 컴파일 하실겁니까?
물론 서버 사양및 OS version등만 같다면 바이너리를 카피해도
상관은 없겠지만.. 이런저런 시스템일 경우에는 rpm으로 패키징
해서 쭈악 설치해 버리는 것이 관리상 아주 편하지요.

tarball 유저들에거 RPM 패키징을 한번 해서 써 보라고 해 보고
싶네요. RPM packaging을 해서 사용하면 나중에 upgrade 하기가
참 간단하니까요.

그네들의 의견에 의하면 저는 초보니까.. 초보가 몰르고 까분다고
생각해도 괜찮습니다. :0

iron의 이미지

동감입니다.

물론 컴파일도 좋죠..

해보는 것에 실력이 필요하고 실력이 증가된다는 것도 사실 이구여..

하지만 매번 그만큼의 노력을 들일수는 없지 않습니까..

(매번 쏟아져 나오는 없그레이드도....)

음냐..

linux 전문가...

참 애매모호합니다..

음냐..

컴파일 애호가는 있어도..

컴파일만을 쓰는 전문가는?

무의미한 얘기 같습니다..

p.s. 전 게을러서 커널 외에는 모두 deb로 -.-;;;;;;;;

----------
서록 wrote..
어느 작은 리눅스 모임에서의 얘기였습니다.
한참 리눅스 얘기가 나오던 중...RPM이냐 타르볼이냐란 내용으로
여러 의견들을 나누었습니다.
리눅스에 어느정도 익숙한(사실 설치와 사용 정도겠죠 :-) 몇몇이
RPM에 관한 강한 부정을 나타내더군요.(그들도 레뎃 쓴답니다. ;-)
RPM은 어플에 대해 너무 감추어 버린다면서 초보자들에게 적당하다고
합니다.
타르볼은 실제 컴파일 작업을 하기때문에 더욱 능숙한 유저들이 쓴다고 합
니다.

어렵더군요.
제 사견으로는...
저도 타르볼을 주로 애용하지만 RPM도 자주 사용합니다.
저역시 허접 실력이라 소스를 손을 대더라도 아는 부분에서만 아주 조금
손을 대어 컴파일을 하고 사용합니다.
그것조차 귀찮은 어플일때는 걍 RPM을 쓰구요.
둘 모두 서로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과연 그 작은 내용 하나만으로 초보자냐 전문가냐 하는 논란이 있을수
있는지...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저 여러분 나름대로의 생각을 들어봤으면 합니다.

(아..데뱐에는 deb가 있구...프비에도 비슷한 형태가 있는걸루 압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타르볼 유저는 전문가라...

흠.. 리눅스를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하네요..

자기 과시를 위해서 리눅스를 사용하시는가요?

그때 그때 자신이 편한 걸 사용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타르볼이 편할 때도.. RPM이 편할 때도 있죠..

그럼.. ^^;

ps. 앗.. 답장이 .. 잘못 붙었네요..

글 읽다가 그냥 써서.. 쩝..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정말 맞는 말씀입니다...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RPM.
RPM이라고해서 쉬운 것은 절대루 아닙니다.
이제야 겨우 설치제거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
RPM으로 패키징해보라 하십시요. 어떻게 되나.

저의경우, 조그만 프로그램이라 해도 패키징해서
사용합니다.
프로그램의 설치, 제거, 관리에 너무 좋기때문이죠.
모든 것을 타볼로 관리하는 것. 생각보다 엄청난
삽질일지도 모르니까요.

타볼로 쓰면서 RPM쓰는 사람이 초보자라 하는 것은
우월감 이라고 보입니다.
물론 자기가 좋은 쪽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입니다. 하지만 RPM은 초보자, 타볼은 전문가
이런 구분은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SOrCErEr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이제까지 경향으로 rpm이 사용이 쉬우니 초보에게 적합하긴 하지만...
그걸로 실력을 판단한다는건 역부족이죠..

우선 설치 목적이면 rpm...
조금더 이해를 깊게 들어가려면 컴파일...

이런 얘기가 언제부터인지 거꾸로
컴파일 하면 고수..
rpm 쓰면 하수..
이런 식으로 인식하게 되었네요.

논리적으로 비약이 심한 얘기죠...

쉬운걸 쓰는 사람을 초보라고 한다면..
samba를 swat로 쓰는 사람이나..
코만치등등의 gui 툴로 관리하는 사람은 과연 초보인지...

별로 신경안써도 될만한 논쟁거리같습니다.
(뭐.. 한번 얘기해볼 만하긴 하지만..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알피엠쓰는 사람도 타르쓰는 사람도 전문가 아님
그냥 갖다 쓰니깐.
전 쉬우면서도 튼튼한게 좋습니다.저요? 왕초보인디요.^^;

쿨링팬의 이미지

이 글 신경 쓰시지 마시고 웃어 넘기십시오.

전 RPM 깔 때, # 올라가는 거에 흥분하고,

./configure 나 make 할 때

console 위로 올라가는 수많은 dependency check 와 compile 과정을

한동안 넋을 잃고 바라 본 적이 있습니다.

기분이 좀 묘하더군요. ^ ^

좋은 하루 되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어. 동감요 ^^;;;

남이 만든 소스지만

컴파일해서 설치하면 웬지 요상한 기분이 -_-;;;

rpm은 이거대로 신기 -_-;;;

역시 초보라 그런가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동감 동감..

역시 초보의 길은 누구나 비슷하군요.

저도 역시 compile하면서 올라가는 메시
지는 DOS or windows on DOS 상에서
IDE를 써서 compile할때와는 또다른 느낌
이더군요.

RPM을 설치하면서 #도 멋있고..

샘처럼 드림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캬캬... 동감입니다.
저두 그런거 좋아해서 심심하면 리눅스 새루 설치합니다^^

한정훈의 이미지

저역시 미숙잡니다만..,

RPM 쓸때 좋은 점이 뭐냐면요, 패키지별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지
요. 깔기 쉽고 지우기쉽고.. 검색하기 쉽고..등등
즉, 체계적이다는 겁니다.

Tar 쓸때 좋은점요? 위에서 많은 분들이 말씀하셨습니다. 소스보기쉽고 또
한 개인적인 취향에 맞춰서 편집하고 컴파일하기편하다.. 단점은 설치시
프로그램마다 디렉토리가 따로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마치 도스시절의 도스용 프로그램 설치하는 것을 보는 것 같습니다. 도스
사용시 귀찮은 건(제 관점에서..)프로그램을 실행할때마다 설치된 디렉토
리로 이동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실행할 프로그램이 10개가 넘는다
고 했을 땐 일일이 들어가줘야.. 물론 도스는 멀티스레딩이 안되는 OS니
깐 한번에 하나밖에 실행하지 못했고요. 제가 리눅스를 사용하면서 편리하
게 느낀 것은 특정파일을 링크할 수 있다는 점과 실행파일이 존재하는 디
렉토리와 라이브러리 등 다른목적의 파일들이 기능별로 (디렉토리로) 분리
되어 있어서 PATH변수값이 더욱 깔끔해질 뿐만 아니라 실행명령(또는 파
일)을 단지 실행만 하면 된다는 겁니다.(글을 쓰다 보니 다른데로 기울어
졌군요--;)
결국엔 RPM 패키지가 있음으로해서 실행가능한 바이너리파일의 실행이 쉬
워진다는 거죠. 굳이 패스 - 예를 들면, /usr/local/(tar로 풀은 디렉토
리) - 를 입력할 필요없이요.

'98th student of KW-Univ., Dept of CE.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 Tar 쓸때 좋은점요? 위에서 많은 분들이 말씀하셨습니다.
> 소스보기쉽고 또한 개인적인 취향에 맞춰서 편집하고
> 컴파일하기편하다.. 단점은 설치시 프로그램마다 디렉토리가
> 따로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rpm으로 설치해도 마찬가지 입니다. 실행 파일은 /usr/bin에,
라이브러리는 /usr/lib에, 등등..

> 마치 도스시절의 도스용 프로그램 설치하는 것을 보는 것 같습니다.
> 도스 사용시 귀찮은 건(제 관점에서..)프로그램을 실행할때마다
> 설치된 디렉토리로 이동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실행할
> 프로그램이 10개가 넘는다고 했을 땐 일일이 들어가줘야..
set PATH=....를 autoexec.bat에 넣으면 됩니다.

> 결국엔 RPM 패키지가 있음으로해서 실행가능한 바이너리파일의
> 실행이 쉬워진다는 거죠. 굳이 패스 - 예를 들면,
> /usr/local/(tar로 풀은 디렉토리) - 를 입력할 필요없이요.
tar -xvzf xxxx.tgz
cd xxxx
./configure --prefix=/usr
make all && make install

한정훈의 이미지

----------
신성국 wrote..
> Tar 쓸때 좋은점요? 위에서 많은 분들
이 말씀하셨습니다.
> 소스보기쉽고 또한 개인적인 취향에 맞
춰서 편집하고
> 컴파일하기편하다.. 단점은 설치시 프
로그램마다 디렉토리가
> 따로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rpm으로 설치해도 마찬가지 입니다. 실행
파일은 /usr/bin에,
라이브러리는 /usr/lib에, 등등..

--> 제가 한말은 (물론 제가 말을 잘못
썼지만..)디렉토리가 따로 존재하긴하지
만 RPM은 일단 데이터베이스에 기록이 되
기 때문에 지우기쉽고.....또한 그냥 실
행명령만 치면된다는 겁니다. 기본패스는
대부분 /usr/bin이 되니까요.

> 마치 도스시절의 도스용 프로그램 설치
하는 것을 보는 것 같습니다.
> 도스 사용시 귀찮은 건(제 관점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할때마다
> 설치된 디렉토리로 이동해야 한다는 것
입니다. 만약 실행할
> 프로그램이 10개가 넘는다고 했을 땐
일일이 들어가줘야..
set PATH=....를 autoexec.bat에 넣으면
됩니다.

--> 제가 알기로는 도스에서 PATH에 실행
경로가 많으면 그만큼 CPU가 명령을 찾으
러 여러곳에 돌아다녀야 하기 때문에 프
로세스의 수행이 좀 떨어지는 걸로 알고
있는데.. 것두 한 프로그램도 아니고 여
러프로그램을 각각 PATH에 지정하면 귀찮
지 않은가요? , 지저분하기도 하고..

> 결국엔 RPM 패키지가 있음으로해서 실
행가능한 바이너리파일의
> 실행이 쉬워진다는 거죠. 굳이 패스 -
예를 들면,
> /usr/local/(tar로 풀은 디렉토리) -
를 입력할 필요없이요.
tar -xvzf xxxx.tgz
cd xxxx
./configure --prefix=/usr
make all && make install

'98th student of KW-Univ., Dept of CE.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그건... 타볼 컴파일 할때 prefix만 한곳에 일정하게 정해주면 간단한거 아닌가요?

----------
HotPotato wrote..
저역시 미숙잡니다만..,

RPM 쓸때 좋은 점이 뭐냐면요, 패키지별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지
요. 깔기 쉽고 지우기쉽고.. 검색하기 쉽고..등등
즉, 체계적이다는 겁니다.

Tar 쓸때 좋은점요? 위에서 많은 분들이 말씀하셨습니다. 소스보기쉽고 또
한 개인적인 취향에 맞춰서 편집하고 컴파일하기편하다.. 단점은 설치시
프로그램마다 디렉토리가 따로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마치 도스시절의 도스용 프로그램 설치하는 것을 보는 것 같습니다. 도스
사용시 귀찮은 건(제 관점에서..)프로그램을 실행할때마다 설치된 디렉토
리로 이동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실행할 프로그램이 10개가 넘는다
고 했을 땐 일일이 들어가줘야.. 물론 도스는 멀티스레딩이 안되는 OS니
깐 한번에 하나밖에 실행하지 못했고요. 제가 리눅스를 사용하면서 편리하
게 느낀 것은 특정파일을 링크할 수 있다는 점과 실행파일이 존재하는 디
렉토리와 라이브러리 등 다른목적의 파일들이 기능별로 (디렉토리로) 분리
되어 있어서 PATH변수값이 더욱 깔끔해질 뿐만 아니라 실행명령(또는 파
일)을 단지 실행만 하면 된다는 겁니다.(글을 쓰다 보니 다른데로 기울어
졌군요--;)
결국엔 RPM 패키지가 있음으로해서 실행가능한 바이너리파일의 실행이 쉬
워진다는 거죠. 굳이 패스 - 예를 들면, /usr/local/(tar로 풀은 디렉토
리) - 를 입력할 필요없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