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베디 리눅스도 GNU 라이센스에 걸리죠?

geekforum의 이미지

국내에서 리눅스 커널을 이용한 PDS 를 만들어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역시 GNU 라이센스에는 걸리지 않나요?
안걸린다고 해도, 소스를 공개해야 하지 않을까요?

리눅스로 인베디드 시스템을 만드는데 문제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
KESL.org의 이상호입니다.

최근에 이문제에 대하여서 많은 분들이 질문을 하시더라고요.
저의 생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임베디드 리눅스는 하드웨어가 상당부분 차지를 하고 있기때문에
이를 이용하여서 상업적으로 평가를 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여러가지 알려진 장점과 더불어서 최근에는 붐이 일다 시피 했죠.
하여간 많은 곳에서 임베디드 리눅스를 하고 있는 것 같아요.

그럼, 이런 곳에서 라이센스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 할 까요?
아직은 정확한 모델은 만들어 지고 있는 중이지만,
일반적으로 애기되는 것은 Linux의 커널과 디바이스 드라이브정도는
공개를 하고 고유의 응용프로그램이나 부가가치가 있는 것은 비용을 받고
판매하는 경향입니다.

완성품들이 몇가지 나온 상황이지만, 아직 커널이나 디바이스 드라이브를
공개한 곳도 없는 실정입니다. 하드웨어적인 요소가 크다보니 사용된 소프
트웨어가 Linux기반인지, GNU tool을 이용 했는 지 증명하기가 어렵다는
문제도 있군요.

국제적으로도, 양심에 맞기는 분위기 입니다.
외국에서도 커널은 공개하나 디바이스 드라이브와 응용프로그램은 공개한
사례가 거의 없습니다.

http://kesl.org/
pagom@hitel.net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이상호 wrote..

: 그럼, 이런 곳에서 라이센스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 할 까요?
: 아직은 정확한 모델은 만들어 지고 있는 중이지만,
: 일반적으로 애기되는 것은 Linux의 커널과 디바이스 드라이브정도는
: 공개를 하고 고유의 응용프로그램이나 부가가치가 있는 것은 비용을 받고
: 판매하는 경향입니다.

kernel, device등은 공개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GPL이니까요. 그외 풀그림도 원천 source가 GPL이라면 공개해야합니다.

: 완성품들이 몇가지 나온 상황이지만, 아직 커널이나 디바이스 드라이브를
: 공개한 곳도 없는 실정입니다. 하드웨어적인 요소가 크다보니 사용된 소프
: 트웨어가 Linux기반인지, GNU tool을 이용 했는 지 증명하기가 어렵다는
: 문제도 있군요.

공개한 곳도 상당히 많습니다. 저희 회사도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arm-linux의 Rusell King, clps-7110 patch의 Ben. williamson
이 만든 source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외 MTD subsystem등
많은 사람들의 도움이 제가 하는 일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생각으로는 전시회때 그분들을 초청하고 싶은 심정입니다.

: 국제적으로도, 양심에 맞기는 분위기 입니다.
: 외국에서도 커널은 공개하나 디바이스 드라이브와 응용프로그램은 공개한
: 사례가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MIZI는 개발한 kernel, device driver, libc,
compiler kit은 당연히 공개할 것입니다. GPL이니까요. :)

tolkien입니다.

꼬랑지. 공개안하는 것이 license 위반이겠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조용일 wrote..
: 이상호 wrote..
:
: : 그럼, 이런 곳에서 라이센스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 할 까요?
: : 아직은 정확한 모델은 만들어 지고 있는 중이지만,
: : 일반적으로 애기되는 것은 Linux의 커널과 디바이스 드라이브정도는
: : 공개를 하고 고유의 응용프로그램이나 부가가치가 있는 것은 비용을
받고
: : 판매하는 경향입니다.
:
: kernel, device등은 공개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 GPL이니까요. 그외 풀그림도 원천 source가 GPL이라면 공개해야합니다.
:
: : 완성품들이 몇가지 나온 상황이지만, 아직 커널이나 디바이스 드라이
브를
: : 공개한 곳도 없는 실정입니다. 하드웨어적인 요소가 크다보니 사용된
소프
: : 트웨어가 Linux기반인지, GNU tool을 이용 했는 지 증명하기가 어렵다

: : 문제도 있군요.
:
: 공개한 곳도 상당히 많습니다. 저희 회사도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 arm-linux의 Rusell King, clps-7110 patch의 Ben. williamson
: 이 만든 source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외 MTD subsystem등
: 많은 사람들의 도움이 제가 하는 일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 생각으로는 전시회때 그분들을 초청하고 싶은 심정입니다.
:
: : 국제적으로도, 양심에 맞기는 분위기 입니다.
: : 외국에서도 커널은 공개하나 디바이스 드라이브와 응용프로그램은 공
개한
: : 사례가 거의 없습니다.
:
: 따라서, MIZI는 개발한 kernel, device driver, libc,
: compiler kit은 당연히 공개할 것입니다. GPL이니까요. :)
:
: tolkien입니다.
:
: 꼬랑지. 공개안하는 것이 license 위반이겠죠.

혹시 cygnus사의 GNUPro라는 툴킷을 아시나요? 리스트를 보면
거의 GNU compiler, libc, debugger tool chain을 각 embedded
platfrom을 target으로 생성한 것들입니다. 위치는
http://www.redhat.com/services/gnupro/gnupro_ets.html 입니다.
(cygnus가 redhat으로 합병이 되었나요? 암튼)
가격은 수천달러 정도이고 아무리 찾아도 소스가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물론 그냥 gcc 등의 소스를 받아 그 타겟으로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만 아직 좀 불안해서인지 잘 안되는 경우도 있는데요.
제 생각엔 GNUPro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품으로 내놓은 듯
한데 그렇담 이건 GPL에 위반되는 것인가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좀 옛날 거긴 하지만 gnupro CD를 가지고 있는데.. 소스까지
다 들어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 소스를 GPL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Cygnus는 GPL을 지키고 있는 겁니다.

꼬랑지: 빌드가 좀 잘 되게 구성해 놓은 것일 뿐 gnupro에 들어 있는
거나 gcc 소스나 거기서 거깁니다.

----------
임성택 wrote..

혹시 cygnus사의 GNUPro라는 툴킷을 아시나요? 리스트를 보면
거의 GNU compiler, libc, debugger tool chain을 각 embedded
platfrom을 target으로 생성한 것들입니다. 위치는
http://www.redhat.com/services/gnupro/gnupro_ets.html 입니다.
(cygnus가 redhat으로 합병이 되었나요? 암튼)
가격은 수천달러 정도이고 아무리 찾아도 소스가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물론 그냥 gcc 등의 소스를 받아 그 타겟으로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만 아직 좀 불안해서인지 잘 안되는 경우도 있는데요.
제 생각엔 GNUPro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품으로 내놓은 듯
한데 그렇담 이건 GPL에 위반되는 것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