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만에 전체(사이트,서버,등등) 암호를 바꿨습니다.
글쓴이: ole2000 / 작성시간: 금, 2006/02/24 - 11:07오후
서버를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암호를 좀 철저히 관리해야겠단 생각에
저만의 알고리즘으로 모든사이트에서 암호가 다 다르지만 외울필요없도록 만들었습니다.
저는 외국사이트를 어쩔수없이 많이 다녀야 하는데
외국에서는 8자리 이상 암호를 요구하는데가 많습니다.
뭐 심한데는 암호에 같은 문자열이 반복되어도 안되고
입력한 암호의 한부분이 사전에 나와서도 안되고 등등.. --;; (우리 학교가 이런걸 요구함)
그래서 10자리 암호 문자+숫자를 랜덤하게 만들어서..
즐겨찾기 차례대로 돌면서 암호를 바꿨는데...
우리나라 사이트 몇군데는.. 암호를 8자리 이상 안받는곳이 있더군요..
국민은행.. --;; 왜 암호를 8자리 이상 안받는건가요.. --;;
제 암호가 10자리인데.. 몇몇 사이트에서 10자리 이하로 암호를 받음..
그 사이트들 때문에 새로운 알고리즘을 만들기도 뭣하고...
참 난감스럽더군요...
그래서 결국 원래 10자리 암호에서 끝에서부터 몇자리를 빼는걸로 결정했습니다.
아.. 요즘처럼 보안을 요구하는 세상.. 정말 암호관리 힘듭니다.. --;;;;
Forums:
저도 글자 제한때문에 골치가 좀 아팠습니다. :(어떤 싸이트는 알
저도 글자 제한때문에 골치가 좀 아팠습니다. :(
어떤 싸이트는 알파벳만 되기도... -o-
특수문자도 쫌! 숫자도 쫌!
저는 패스워드가 6~8자인곳은 참 가입하기가 꺼려집니다보통 패스워
저는 패스워드가 6~8자인곳은 참 가입하기가 꺼려집니다
보통 패스워드 잘 만드는 방법은 한글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이지 않나요?
대문자와 소문자가 적절히 섞이면서 같은 문자의 반복을 줄이는 동시에 숫자나 특수문자도 끼워쓸 수 있으니까요
국어사전에 없는 단어라는 조건은 거의 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패스워드가 대부분 영어기반 위에서 관리되어서 그런걸로 생각합니다.
한번도 생각안해봤는데..패스워드에서 대소문자 구별하나요?무
한번도 생각안해봤는데..
패스워드에서 대소문자 구별하나요?
무조건 소문자만 사용해서.. --;;
Be cool...
[quote="neuron"]저는 패스워드가 6~8자인곳은 참 가입하기가
보통 그렇기는 합니다만, 나라별 사전도 구축한다고 들은 적이 있습니다. 한국어를 예로 들면 사전에 'tkrhk' <- '사과'를 등록하는 식이죠. 국어사전에 있는 단어만으로 조합하는 건 권할만 하지 못합니다.
결론은 적절히 섞어쓰자죠.
저는 패스워드에 특수문자를 한자 넣어주는데이거 특수문자가 패스워드로
저는 패스워드에 특수문자를 한자 넣어주는데
이거 특수문자가 패스워드로 입력이 안되는 사이트가 많아서 참 문제입니다.
저도 비슷한 문제로 고민입니다.어지간한 패스워드는 "안되! 넘 쉬잖아
저도 비슷한 문제로 고민입니다.
어지간한 패스워드는 "안되! 넘 쉬잖아!"라고 하는 사이트부터
"형 말 오해하지 말고 들어. 특수문자는 빼주면 안되겠니?"하는 사이트까지
각양각색이라
예전처럼 단일 아이디-패스워드를 할 수 없더군요
요즘엔 기억력의 한계에 대비해서
모든사이트의 아이디-패스워드 목록을 담은 비밀파일을 관리중입니다.
더 좋은 방법을 찾았으면 좋겠어요
[quote="kane"][quote="neuron"]저는 패스워드가 6
전 단어는 아니고, 구어체 문장을 사용하고 있죠. ^^
[quote="1day1"][quote="kane"][quote="neu
"형왔다" 같은거 말씀이시지요?
[quote="ydhoney"][quote="1day1"][quote="
뭐 비슷하죠^^
"암호가 뭐예요?" 물으니, "안가르쳐줘" 등으로 대답하는 식이죠. ^^ ( 이런것도 흔한가? )
제가 중딩때 즐겨 사용하던 패스워드:"오노개새끼"-_-a
제가 중딩때 즐겨 사용하던 패스워드:
"오노개새끼"
-_-a
[quote="superwtk"]제가 중딩때 즐겨 사용하던 패스워드:
2벌식으로 "오노개새끼" = dhshrotoRl
쉘(sh)도 있고, 로또(roto)도 있고, R(ight) l(eft) 다 있군요.
dhshrotoRl 라... 첫 dh 는 뭘로 해석해야 하나요?
Real programmers /* don't */ comment their code.
If it was hard to write, it should be /* hard to */ read.
[quote="돼지군"][quote="superwtk"]제가 중딩때 즐겨
대한 쉘 로또 오른쪽 왼쪽
[quote="ydhoney"][quote="돼지군"][quote="su
"대한 쉘"! 우리나라의 쾌거입니다.
(왜 자꾸 엉뚱한 방향으로...)
앞으로 리눅스를 쓸 때는 꼭
[root@localhost] /bin #ls
해 보고 나서 sh 가 dhsh 로 LINK 걸려 있는지 확인해야겠습니다.
Real programmers /* don't */ comment their code.
If it was hard to write, it should be /* hard to */ 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