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햇7.2 에서 /mnt 디렉토리와 /etc/fstab 화일에 관한 질문

다른게 아니구여.. 레드햇 7.2 를 사용하고 있는데여..
매번 윈도우쪽 하드를 마운트 할 때마다
mount -t vfat /dev/hda1 /mnt/win1 -o iocharset=cp949
이런 식으로 치는 게 좀 그래서 /etc/fstab 화일에 원래는 아래와 같이
되어 있습니다.
LABEL=/ / ext2 defaults 1 1
LABEL=/boot /boot ext2 defaults 1 2
none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LABEL=/home /home ext2 defaults 1 2
none /proc proc defaults 0 0
none /dev/shm tmpfs defaults 0 0
LABEL=/usr /usr ext2 defaults 1 2
LABEL=/var /var ext3 defaults 1 2
/dev/hda10 swap swap defaults 0 0
/dev/cdrom /mnt/cdrom iso9660 noauto,owner,kudzu,ro 0 0
/dev/fd0 /mnt/floppy auto noauto,owner,kudzu 0 0
라고 되어 있는데요 그 아래 쪽에다가
/dev/hda1 /mnt/win1 vfat iocharset=cp949,noauto,owner
,kudzu 0 0
/dev/hda5 /mnt/win2 vfat iocharset=cp949,noauto,owner
,kudzu 0 0
라고 추가 시켜놓구 난 뒤에 /mnt 디렉토리에다가 win1, win2 라는 디렉토리를 만들어 놓으면
그 때 당시에는 잘 돌아가는데 이걸 한번 전원을 내렸다가 다시 부팅을 시키면 /etc/fstab 화일은
초기 상태로 돌아가 있고 /mnt 디렉토리에 만들어놓은 win1, win2 디렉토리는 사라져 버리는
데요.. 이게 왜 이런건지 궁금합니다. 알고 계신 분이 있다면 답변을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안녕히 계십시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