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IDC 에서 shared 라인에 서버 몇대나 물리나요?
글쓴이: 망치 / 작성시간: 금, 2006/01/27 - 8:23오전
이거.. 중요한 기밀사항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마치 웹호스팅에서 한 서버에 사이트 몇개가 돌아가고 있는지 알고싶어하는거랑 차이가 없는듯해서..;
제가 사용중인 IDC 업체에선 100MB Shared 에서 약 80대이상이 돌고있는것같습니다. 첨에 직원한테 80대정도라는 얘길 직접 듣고 꽤나 놀랬습니다. 많아봐야 40대정도가 아닐까싶었는데 ㅡ.,ㅡ; 아마 실제론 더 많을거라 생각합니다..;
요새 서버 업그레이드도 생각하면서 회선 문제도 생각중이다보니 IDC 를 옮겨야할지도 고민중입니다..
헌데 모 업체(많이알려진..)에선 모든 서버호스팅에 대해 데디라인을 제공해준다던데.. 이게 가능한가요?;; 이름만 데디고 실제론 쉐어 아닌가요; 가격도 쉐어 가격이던데..
Forums:
왠지 다른 업체 데디라인들도 이름만 데디고 실제론 여러대가 쓰고 있는게
왠지 다른 업체 데디라인들도 이름만 데디고 실제론 여러대가 쓰고 있는게 아닐까싶기도 ㅡㅡ;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quote="망치"]왠지 다른 업체 데디라인들도 이름만 데디고 실제론
저랑 비슷한 의구심이..^^;;
[quote="jw0717"][quote="망치"]왠지 다른 업체 데디라
share 와 dedi 의 구분은 몇대가 물리느냐가 아니라, 해당 bandwidth 를 보장하느냐 못하느냐 입니다. 질문 하신 것과 같이 구분을 한다면, dedi 를 주는 업체는 하나도 없습니다.
예를 들어, 100M dedi 를 사용하고 있다면, 같은 swich 에 물려 있는 다른 서버들 때문에 uplink bandwidth 가 모잘라 100M 가 보장이 되지 못한다면, 이건 bandwidth 확충 요구나, 해지 사유로 이용할 수 있지만, 100M shared 의 경우에는 경우가 다릅니다. shared 의 경우에는 아무리 많이 물려 있어도 traffic 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서버들이 몰려 있을 경우에는, 사업자 측면에서는 서비스에 크게 지장 없다면 연결할 수 있을때 까지 연결을 할 수 있겠죠.
물론, bandwidth 관리를 잘 해 준다면, shared 라고 해도 몇백대가 붙어도 상관은 없습니다. 하지만, 모든 업체가 그러지는 못하고, 그래서 shared 의 경우 영세 업체는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것이죠. bandwidth 가 모자르는 것을 알지만, 사업성과 money 때문에 확장을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니까요.
shared 와 dedicated 의 의미를 웹호스팅(공용), 서버호스팅
shared 와 dedicated 의 의미를 웹호스팅(공용), 서버호스팅(전용) 과 비슷하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사전적 의미로만 생각했기에 더욱 그리 느낀듯합니다.
서비스 가격 차이로 표면적인 차이는 드러나겠지만, 서비스 질에 따라 특정 업체의 shared 서비스와 또 다른 업체의 dedicated 서비스가 성능면에서 별 차이가 나지 않는경우가 생길수도 있겠군요..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거꾸로 잘 생각하시면.IDC자체에서 회선은 제한되어 있습니다.
거꾸로 잘 생각하시면.
IDC자체에서 회선은 제한되어 있습니다.
데디란 개념이 어디서부터의 정의 인지 말 장난입니다. ^^
가장 쉽게 보장해 주고 안주고로 생각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100Mbps라서 각 스위치에서 1Gbps으로 연동하면 보장해주지 않느냐 하지만 보통 스위치에 24개가 꼽힙니다.
각 서버가 50Mbps만 써두 이미 1Gbps는 넘어가게 됩니다 ^^
1Gbps서버들을 데디 서비스 해줄려면 10Gbps로 각 스위치 끼리 물리던가
첨부터 백본 스위치에다가 왕창 물리던가
말장난 같지요? ^^
모든 서버가 MAX 트래픽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
보통 서버 생각보다 많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랙 한개에 20대의 서버가 있어두 3Mbps정도 사용하더군요
보통 회사의 서버라면 그다지 트래픽 사용하지 않습니다.
----------------------------------------------------------------------
웃는 얼굴 헤죽 헤죽
종종 핑이 request timeout 이 뜨거나 딜레이가 확 높아지거나
종종 핑이 request timeout 이 뜨거나 딜레이가 확 높아지거나, 사이트 반응속도가 확 느려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게 서버측 네트워크 문제인지... 서버 부하문제인지... 제가 집에서 쓰고있는 하나포X 문제인지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간단히 객관적인(?) 네트워크 상태를 보려면 어떻게 확인해봐야 하나요? ㅡ.,ㅡ;; 여러대를 쓰고 있다면 서로 반응을 테스트해보게끔 해볼텐데 그런것도 아니다보니.. 그냥 쓰면서 나만느린건지 다른사람도 느린건지 몰라 답답할때가 꽤 많습니다..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quote="망치"]종종 핑이 request timeout 이 뜨거나
traceroute 결과를 보고 어느 대역에 문제가 있는지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로 나오는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대충 어디쯤의 문제인지는 알 수 있었습니다.
======================
BLOG : http://superkk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