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eN Planet-Lab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글쓴이: dgkim / 작성시간: 화, 2006/01/24 - 11:08오후
웹캐시 서버를 찾기위해 인터넷을 검색했습니다.
네이버에서 지식인을 통해 외국의 프록시서버목록을 획득했습니다.
그중 눈에 띄는(포트가 3128, 3124인) 서버를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거기 목록에는 해당 서버의 도메인명이 아닌 IP주소이기에 host로 도메인명을 찾아보았습니다.
용케도 도메인명이 나왔습니다.
*.kaist.ac.kr *.icu.ac.kr
시험삼아 접속을 해보았습니다.
되는 듯 했습니다만..
서버쪽에서 페이지를 보여주는 것이 있었습니다.
키워드는 CoDeeN, PlanetLab입니다.
http://www.planet-lab.org/
http://codeen.cs.princeton.edu/
를 방문해 보았지만, 대강 보고 나왔습니다.
구글에서 planetlab, codeen을 사용해서 kaist.ac.kr icu.ac.kr에서 찾아보았습니다.
저에게 크게 도움이 되는 자료를 찾지 못했습니다.
결론은, 제가 위 서버를 임의로 사용해도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처음에는 해당학교에서 돌리는 그냥 프록시 서버인가 했지만, planet-lab.org를 방문하고는 마음대로 사용해볼 자원은 아닌 듯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ps. 맨 처음에 발견한 프록시서버목록에서 한국서버들이 50050번 포트를 사용하는 것이 많이 나오던데, 50050은 무슨 서버인지 아시나요?
(요즘은 철지난 클라이언트웹캐시(?)를 찾아 IRCache 같은 환경이 어딘가 있을까 계속 찾고 있지요)
Forums:
흠..
플래닛 랩에 대해서 아는 분이 아무도 안 계신가요?
리눅스가 돌아가던데....
좀더 살펴본 결과 연구망 같고, 임의로 사용해서는 안되는 것 같은데..
(캐시서버를 찾고 있느니, 아예 곳곳에 깔아 놓는 것이 빠를까.....)
연구 목적으로 전세계의 클러스터(?)를 모아서 실험에 사용하는 망이라고
연구 목적으로 전세계의 클러스터(?)를 모아서 실험에 사용하는 망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카이스트 전산학과 문수복 교수님 연구실에서 플래닛랩에 참여(?)하더군요.
저도 정확히는 모릅니다.
as simple as possible
Jae-wan Jang
http://camars.kaist.ac.kr/~jw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