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security의 bizos...GPL위반 아닌가요?
글쓴이: whatis / 작성시간: 수, 2003/02/12 - 12:25오후
Linux security가 자체개발했다는
리눅스 기반의 bizos.
http://www.linuxsecurity.co.kr/sec_pro_bizos_02.html
여기서 의문이 드는건요.
커널레벨에서 제어하기전에는 이러한 program(OS)가 불가능하다는겁니다.
즉, 커널소스를 수정했다는 이야기인데...
그렇다면 리눅스커널이 GPL이니 수정하면 공개해야합니다.
그런데 이회사는 공개하지 않았더군요.
GPL위반아닌지요... :roll:
Forums:
구지 커널 소스를 건들지 않아도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거의 시스템
구지 커널 소스를 건들지 않아도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거의 시스템 콜 훅으로 구현이 가능할 걸로
알고 있고요 이 방법은 상용 Unix에도 적용이 된다고 하는군요.
헌데 홈피가서 소개를 읽어 보니.. 커널자체에 시큐리티 모듈이 들어
가 있다고 설명하는 군요. 이것이 소스를 변경한것인지 모듈형태로
한것인지 정확히 알 수 없군요. 요즘은 거의 모듈형태로 가는 추세라고
하던데..
커널 소스를 변경했다면 해당 커널 소스에 의존적인 건데..
차후 리눅스 커널 버전업에 대한 고려가 있지 않나 쉽습니다.. 그렇다면
추측하건데 모듈형태로 하지 않았을지..
screen + vim + ctags 좋아요~
다음과같은 기능이 커널을 수정하지 않고 가능하다는건가요?이해가 가지
다음과같은 기능이 커널을 수정하지 않고 가능하다는건가요?
이해가 가지 않는군요.. :oops:
적어도 kill시킬수없는 프로레스, 루트권한을 제한하려면....
커널수정하지 않고는 불가능하지 않나요..
모듈형태로 구현하는데는 한계가 있지 않을까합니다. :?
그리고 모듈형태로 하면서 "새로운 OS"라고 발표했다기엔 무리가 있지않은지.. :roll:
주요 프로세스, 데몬 보호
운영상 꼭 보호되어야 할 프로세스를 등록하면 누구도 이 프로세스를 Kill시킬 수 없으므로 서비스불능이 되는 사태를 막을 수 있
습니다. 또한 칩입자가 시스템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프로세스정보를 알아보려고 해도 보호프로세스는 보여주지 않는 Hidden
Process기능이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게 프로세스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Root권한 제어
기존 UNIX계열 시스템의 가장 큰 문제점은 Root사용자의 권한이 지나치게 비대하다는 것이었습니다. Root권한이 있으면 시스템
내의 모든 활동이 가능했기 때문에 해커에게 Root권한을 내어 주었을 경우 심각한 상황을 맞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BizOS에서
는 root사용자라도 자신의 권한을 남용할 수 없도록 그 권한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해킹의 위험이 없습니다.
커널레벨 BOF(Buffer Over Flow)방지
어플리케이션 보안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부분이 바로 BOF공격입니다. DNS, Mail 등 자주 쓰이는 어플리케이션들은 항상 BOF공
격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BOF방지 솔루션들은 프로그램을 컴파일 할 때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만들어야지
만 가능했습니다. BizOS의 BOF방지 솔루션은 커널레벨에서 스택부분을 실행 불가능하게 만들어 BOF방지가 이루어지므로 컴파
일에 신경쓰지 않고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구현이 가능합니다. 또한 구동되는 모든 솔루션들을 소스코드컴파
일이 아닌 바이너리형태로 설치했을 경우에는 전혀 동작이 되지 않기 때문에 컴파일형 BOF솔루션들은 그 쓰임새가 많이 떨어진
다고 할 수 있습니다.
BizOS에서 제공되는 SecureDNS, SecureWeb, SecureMail의 경우는 컴파일형 BOF방지솔루션을 제공하는 동시에 커널레벨에
서 방지하는 솔루션도 제공하는 2중의 안전장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모두 커널 모듈로 구현이 가능하며 현재 다수의 업체에서 비슷한 기능을 가
모두 커널 모듈로 구현이 가능하며 현재 다수의 업체에서 비슷한 기능을 가진 제품이 출시되어 있고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과거에 시큐브에서 출시한 제품에 대해 KLDP에서 논란도 있었던것으로 기억되는 군요. 참고로 국내에는 시큐브, 테에스온넷, 시큐브레인, 나일소프트 등에서 유사 제품이 나와 있구요, 국외에는 PitBull, EnGarde 등이 있죠.
오픈소스로 LIDS나 SELinux도 있고, 비슷한 기능을 가진 모듈이 작년에 Immunix와 SELinux 등의 개발자들을 축으로 커널 개발버전에 LSM이라는 모듈로 추가되어 개발중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