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DP 시스템에 관한 한가지 궁금증
글쓴이: ydhoney / 작성시간: 화, 2005/11/29 - 11:21오전
KLDP 시스템에 관한 한가지 궁금증이 있어 여쭤봅니다.
apachem, php, mysql(혹은 sqlite?)등의 실 서비스용 데몬들을 패키지(debian, annyung)로 설치하셨나요? 아니면 소스 컴파일 설치하신건가요?
괜히 궁금해져서 여쭤봅니다.
요즘 소스컴파일과 패키지 설치사이의 고민(특히나 배포판 사용시 배포판에 포함된 버전이 맞지 않아 소스 컴파일 하게 되는 경우에 대해서)을 하게 되는것과 맞물리긴 합니다. -_-a;
Forums:
패키지겠지요..안녕리눅스 최근 업데이트를 보니mysql패키지가
패키지겠지요..
안녕리눅스 최근 업데이트를 보니
mysql패키지가 자주 업데이트 됐더군요..
bbs의 영향이 아닐지..
----
자신을 이길 수 있는자는
무슨짓이든 할수있다..
즉..무서운 넘이란 말이지 ^-_-^
나? 아직 멀었지 ㅠㅠ
kldp.net 은 데비안을 거의 pure로 쓰고설정값정도..
kldp.net 은 데비안을 거의 pure로 쓰고
설정값정도..
kldp.org 는 안녕리눅스에 김정균씨가 만든 rpm정도로알고있습니다.
컴파일은 없는것으로...
------------------------------------------------------------------------------------------------
Life is in 다즐링
Re: KLDP 시스템에 관한 한가지 궁금증
컴파일을 하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닙니다만.. 컴파일을 해서 make install 을 하고 끝난다는 것이 비효율적인 것이죠. 안녕 리눅스가 RH 7.2 fork 이기는 하지만, 실제로 제 손에서 변경된 내용은 굉장히 많습니다. 왠만하면 사용하는 배포본용 패키지로 제작을 해 놓는 것이 관리상 편합니다.
즉, 안녕 리눅스는, RH 7.2 에 제가 따로 관리하는 패키지들을 엎어놓은 것이죠.
다만, 요즘 느끼는 것은 그냥 제공해 주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best 입니다. 실제로 compile 해서 최적화 하고 OS 값을 아무리 튜닝을 열심히 하더라도.. sql query 한 줄 튜닝 잘해 주면 후자가 월등한 효과를 가집니다.
지금 당장 KLDP BBS 가 큰 예입니다. 어제부로 rss 알고리즘을 변경하니.. 지금은 system 이 남아 돕니다. (해결이 된 건지는 모르겠지만 어제까지 패턴으로 보면 지금 시간이면 4번 정도 mysqld 가 죽어야 했습니다. --;)
Re: KLDP 시스템에 관한 한가지 궁금증
훌쩍 ㅠ.ㅠ
전 지금까지 APM은 무조건 소스설치 했습니다.
제가 알고있기로는 다른건 둘째치고 MySQL 의 경우는
RPM 설치보다 ( 레드햇 ) 소스설치가 성능 향상이 최대 30% 까지 더 오른다고 책에서 봐서 지금까지 고집하고 살았거든요.
앞으로는 RPM으로 설치를 해봐야겠네요. 정말 체감할 정도인지.
(물론 위의 30% 라는것은 DB의 양이 적어도 kldp정도는 되야 느낄 수 있는것이라 소용이 없겠지만요. -_-; )
그리고 제가 소스설치를 고집하는 이유는
아파치 같은경우는 각종 모듈을 추가로 올려야 할 경우때문에 소스로 설치를 하거든요.
다음에 재설치 없이 컴파일만 다시해주면 되니까.
(DSO 방식에서는 상관없다는데 어케 하는줄 몰라서요. -_-;)
만약 RPM에서 이걸 해결할 방식이 있다면 아파치를 궂이 소스로 컴파일 하지 않아도 될것같은데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Re: KLDP 시스템에 관한 한가지 궁금증
왜 컴파일이 필요없는지 예를 들어 보죠. 보통 apache 의 경우 256 이상의 접속을 받기위해 httpd.h 의 HardLimit 값을 증가 시키고 빌드를 합니다. 하지만 계산을 해 보도록 하죠. 256개의 프로세스를 띄우기 위해서는 apache process 가 php 등등 기타 모듈을 포함해서 6M 정도의 메모리를 사용한다고 하면
256 * 6 = 1536 M (1.5G)
의 메모리가 필요합니다. 1024 개의 접속을 받게 하려면 메모리가 얼마나 필요 할까요? 즉, 그냥 디폴트로 빌드된 것을 사용한다고 해도 별 차이가 없다는 얘기입니다
mysql 의 경우에는 mysql homepage 에서 소개를 하기로, 소스 컴파일을 하지 말라고 합니다. 오히려 소스 컴파일은 성능을 떨어뜨린다고 하죠. 실제 인터넷상에 한글로 돌아다니고 있는 mysql 최적화 한글 문서는 일부에 불과 합니다. 즉, mysql 에서 배포하는 binary 가 가장 성능이 좋다고 하죠.
널널한 서버라면 튜닝을 하는 자체가 낭비일 수도 있습니다. (물론 경험을 하기 위해 해 보는 것과는 다른 관점 입니다.) 펄펄 노는 서버에 튜닝을 하느라 시간을 투자하는 것 보다는 다른 모자른 부분에 더 취중하는 것이 낳다는 논리입니다. :-)
저도 요즘 생각이 점점 바뀌어 가네요. 예전에는 시스템이 죽을 정도로 부하를 주고 상태를 즐기는 것을 즐겨 했는데.. 이젠 다른 방향으로 해결하는 관점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man apxs 해 보세요. apache 동적 모듈을 빌드하기 위한 도구 입니다.
Re: KLDP 시스템에 관한 한가지 궁금증
감사합니다. 앞으로 MySQL은 바이너리 설치를 해야겠네요.
김정균님의 말씀으로 보아 바이너리 설치가 아니더라도 RPM 설치 역시 동일한 성능을 낼것이라는 생각도 들어서 둘 중 하나 편한쪽으로 설치를 해야겠습니다.
다만 궁금한것이.. 만약 웹호스팅을 목적으로 한 서버라도 상관이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 일반적으로 웹호스팅 업체들은 한 서버에 200~300 가상 호스팅을 돌리는게 기본이라고 알고있습니다. )
아파치는 꼴랑 SO 때문에 소스설치를 했는데 아직 man page를 보지는 않았지만 ( 영어가 겁나게 겁납니다. ㅠ.ㅠ )
리눅스쪽에서는 꽤나 한 칼날부림 하신다는 김정균님의 말씀이니 속편하게 진행을 해도 될것이라는 안도감도 들구요.
근데 ... php 얘기는.. 쿨럭;;;
P/S php역시 크게 상관이 없이 RPM 설치해도 되겠죠?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