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압축 방법 중 뿌옇게 안개낀것 처럼 만드는 손실압축도 있나요?

송효진의 이미지

니드포스피드 모스트 원티드를 해봤는데,
영화가 나오고 중간중간 레이스를 하네요.
근데 이 동영상이 뿌옇습니다.
1024x768 화면에서도 선명한듯 한 영상인데,
후광이 비추는듯, 조명이 밝은듯 뿌옇습니다.
만약 이게 손실률을 높혀서 그런것이라면, 굉장히 좋은 코덱인것 같네요.
적은 용량으로도 깨진 느낌이 안들도록 하는것이 매우 좋은것 같아요.
제 생각이 맞다면 코덱 정보 아시는분 무슨 코덱인지 알려주세요.

게임 소개글마다 Josie Maran 이란 여배우가 나온다는걸 강조하던데,
그림 좀 찾아보니 바탕화면으로 눈에 익숙한 사람이군요.
니드포 동영상에 자주 등장합니다.
[img]http://media1.santabanta.com/full1/global%20celebrities(f)/josie%20maran/jos39d.jpg[/img]

File attachments: 
첨부파일 크기
Image icon shot.png415.34 KB
seoleda의 이미지

어떤걸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전체 영상을 DCT나 FT으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후, 고주파 부분을 다 날려버리면 아래와 같은 영상이 나오는데 혹시 이런건가요?

왼쪽의 원 영상은 512*512 영상이고요, 오른쪽 영상은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후 256*256 의 주파수 부분만 추출한 영상입니다.

화면이 뿌옇게 되는건 대부분 필터라는걸 사용하는데요.. (포토삽에 필터랑 같습니다.) 머 이게 압축이랑 상관이 없다고 그럼 거짓말이고, 약간 거리가 있습니다. 하여간 보셨던 이미지는 아마도 필터였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미지 압축의 원리는 간단히 설명드리면, 저 주파수 부분은 사람의 시각에 민감하고, 고주파수로 갈수록 그 변화를 잘 감지하지 못하는 성질을 이용해서, 양자화 레벨을 결정 저주파는 촘촘하게, 고주파 부분은 엉성하게 하는것입니다.
쉽게 얘기해서 주파수가 낮은 부분이 5 라는 값을 가진다면 그건 정말 5인 값을의미하지만, 주파수가 가장 높은 부분이 5라는 값을 가지면, 그건 500 정도의 값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머,, 저 그림을 설명드린다면, 512*512배열을 256*256 배열로 줄였으니 압축이라고도 볼 수 있겠네요.

송효진의 이미지

게임 장면 한장 찍어봤습니다.

댓글 첨부 파일: 
첨부파일 크기
Image icon 0바이트
Prentice의 이미지

Ogg Theora의 경우 저비트레이트로 갈 수록 뿌얘진다고 들었습니다. 깍두기(?) 현상 대신에요.

저는 저비트레이트 Theora 동영상을 많이 안 봐봐서 잘 모르지만 Ogg Theora나 On2의 VP3일지도요.

Prentice의 이미지

NFS:MW 동영상 파일의 확장자명이 VP6인 것을 보니 On2의 VP6일 것 같습니다.

VP6가 VP3의 발전형이라고 가정한다면 Ogg Theora가 VP3를 기반으로 한 열린 코덱이니 Theora 스펙을 보시면 어떻게 작동하는지 감이 잡히실 지도요.

송효진의 이미지

답이 나왔군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