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nc로원격조정하기
원도우, 리눅스, 맥 어떤 플래폼에도 굴러다니는 vnc를 이용해보도록 합시다.
VNC는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의 AT&T연구소에서 개발된 프리웨어입니다.
VNC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각각 따로 존재하고 용량도 얼마안됩니다.
서버를 실행해두면 자신의 피시로 원격접속자가 접속을 할수 있고. 클라이언트는 그 반대의 경우입니다.
암호로 보호하고 있지만 서버를 열어두었을때에는 암호가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셔야합니다.
설치하기 #
공식홈페이지는 http://www.realvnc.com/ 입니다.
http://www.realvnc.com/download.html 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Free Edition, Personal Edition, Enterprise Edition 세 종류가 있는데, 프리에디션만있어도 어느정도 충분한 것 같고, 퍼스널에디션은 아직 안나왔고, 윈도우가 지원되는 엔터프라이즈에디션은 약간의 금액으로 라이센스를 구입해야 하는 군요.
하! 지! 만!
데뱐유저라면 소스리스트에 있으니 그냥 설치하시면 됩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패키지가 따로 되어있습니다.
# apt-get install vncserver
하면 서버파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 apt-get install xtightvncviewer
하면 클라이언트가 실행됩니다.
- xvncviewer라는 패키지도 있습니다.
설정법 #
설정하는건 별꺼 없습니다.
제가 자세한 설정법을 모르는것이기는 하지만 -_-;
vncserver 하면 서버가 실행되고 실행한 계정으로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그러니깐 클라이언트로 접속을 하면 vncserver을 실행한 계정으로 자동 접속됩니다.
처음 vncserver을 실행하면 접속시 클라이언트에게 묻는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나서 실행을 하면
New 'X' desktop is debian:1
Starting applications specified in /etc/X11/Xsession
Log file is /root/.vnc/debian:1.log
라고 뜹니다. vnc서버를 여러번실행도 가능하기 때문에 1번 서버라고 뜨는거고
로그파일은 보시는대로 1.log에 저장됩니다.
접속 #
xtightvncviewer를 실행하면 주소창만 하나 떵 뜹니다.
그러면 거기에 원하는 접속주소를 넣으시면 됩니다.
원도우가 서버일 경우에는 아이피주소만 치면 되는데..
리눅이경우에는 서버번호까지 써야하네요.
192.168.0.102:1 이렇게 1번서버면 이렇게 적어주시면 됩니다.
주의할점은 x원도우 띄어둔화면에서 접속시키면 화면이 안보이네요.
콘솔에서 서버 실행해서 클라이언트로 접속하면 문제 없습니다.
참고로 웹브라우저로도 접속가능하다고 하네요.
http://202.30.12.245:5801 처럼 접속하면 된데요.
접속 안해봐서 모르겠군요.
//gdm을 쓰신다면 ctrl + alt + f2키를 누르셔서 root로 로그인후에
/etc/init.d/gdm stop을 해주시고 vncserver을 실행하면..
x화면만 딸랑 떠서 아무짓도 못하게 하지는 않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