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 미디어 제거하면 윈도XP 기능도 제한된다

cjh의 이미지

http://www.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143416&g_menu=020200

윈도미디어를 제거(아마 프로그램과 관련 DLL, 파일, 레지스트리)하면 기사에 언급된 (미디어 관련) 프로그램이 다 안될것은 자명한 이치인데 이걸 OS 기능에 제한이 있는걸로 포장하는건 좀 과대포장인듯 하군요.

p.s. 시연이 된다는건 제거도 된다는 의미로 읽어도 될까요? :)

cdpark의 이미지

오오.. 다음엔 Internet Explorer를 제거했더니 웹 접속이 안 되더라고 하겠군요.

offree의 이미지

cdpark wrote:
오오.. 다음엔 Internet Explorer를 제거했더니 웹 접속이 안 되더라고 하겠군요.

정답이네요. ^^

라이브러리 위에 프로그램을 돌리는데, 프로그램을 제거하기 위해 그와 연관된 모든 라이브러리 를 지우니 당연히 안되는 것일텐데..

지우지 않아도 되는 것을 지워놓고, 안된다고 하는 것 같네요.

사용자가 바꾸어 나가자!!

= about me =
http://wiki.kldp.org/wiki.php/offree , DeVlog , google talk : offree at gmail.com

khris의 이미지

운영체제 지워놓고 컴퓨터가 안돼요 할인간들...
하여간 기자들... :x

───────────────────────
yaourt -S gothick elegant
khris'log

yglee의 이미지

문제는 미플을 대체할 만한 프로그램들이 없다는게 아닐까요?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외형만 다를뿐 내부적으로는 미플을 이용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미플이 사라지면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웹브라우저도 파폭이나 오페라를 쓰지 않는 이상 익스플로어가 없으면 안돌아가구요. -_-;

파폭은 자체 엔진이 있으니까 모두들 파폭 쓰라고 할 수는 없는거구요. --> 이것 역시 사용자의 선택권을 무시하는 행위죠.

윈미플이나 IE가 분명 문제가 있지만 뭔가 그에 대한 대안들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무조건 윈미플이나 IE를 윈도우에서 제거하라는건 좀 아닌것 같습니다.

죠커의 이미지

윈도우 XP 지우면 계산기 작동 안돼.!!

톰 로버트슨씨는 특히 "통합의 혁신을 통한 긍정적인 순환고리를 끊는다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 수 있는가"라고 묻고 유럽위원회의 판결에 따라 윈도우 기능이 제거된 컴퓨터가, 사용자는 물론 기업들에게도 피해를 주고 있는 사례를 비디오 시연으로 제시했다.

"윈도우 호완 컴퓨터에서 윈도우 XP를 삭제하면, 단순히 윈도우 운영체제 만을 못쓰는 것이 아니다. 윈도우 운영체제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계산기, 메모장 기능까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죠커의 이미지

gnoyel wrote:
문제는 미플을 대체할 만한 프로그램들이 없다는게 아닐까요?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외형만 다를뿐 내부적으로는 미플을 이용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미플이 사라지면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대부분 윈도우용 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은 미디어 플레이어 보다는 Direct X에 종속되어 있을 겁니다.

Fe.head의 이미지

win 2k에서 서비스팩 4깔고

익스플로러 프로그램 표시를 제거하고
익스플로러로 항해를 하는데

몇가지 기능이 안되더군요.

아예 페이지를 못들어 갑니다.

다시 표시해놓고 들어가면 들어가지고 :x

무슨 액티브 액스 프로그램 돌아갈때 그랬습니다.

고작 블로킹 하나, 고작 25점 중에 1점, 고작 부활동
"만약 그 순간이 온다면 그때가 네가 배구에 빠지는 순간이야"

cdpark의 이미지

gnoyel wrote:
문제는 미플을 대체할 만한 프로그램들이 없다는게 아닐까요?

MS Office나 MSN Messenger처럼 Media Player나 IE를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면 됩니다.

지금처럼 윈도즈 설치할 때 함께 설치하도록 하지 않고요.

Windows 98 사용자는 Firefox 최신판은 쓸 수 있을지언정 IE 최신판은 못 쓰지 않습니까? 만약 별개의 프로그램이었다면 어땠을까요?

khris의 이미지

cdpark wrote:
gnoyel wrote:
문제는 미플을 대체할 만한 프로그램들이 없다는게 아닐까요?

MS Office나 MSN Messenger처럼 Media Player나 IE를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면 됩니다.

지금처럼 윈도즈 설치할 때 함께 설치하도록 하지 않고요.

Windows 98 사용자는 Firefox 최신판은 쓸 수 있을지언정 IE 최신판은 못 쓰지 않습니까? 만약 별개의 프로그램이었다면 어땠을까요?

서로 떼어놓을래야 떼어놓을수 없는 사이가 되어버려서...
특히나 익스플로러는 윈도우즈의 일부나 마찬가지인 몸이지요.
만약 MS가 윈도와 IE, 미플을 서로 떼어놓는다 해도 작업량이 장난 아닐것 같군요. :D

───────────────────────
yaourt -S gothick elegant
khris'log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위에분 말에 동감을 표하며... 기사의 내용을 보면 "제거을 할 경우 파워포인트에
동영상을 넣은 것 자체가 완전히 불가능 해지고... 음악씨디을 들을수없다.."라는 식이 없다는 거죠.. 근데.. 파워포인트을 저처럼 안 쓰는 사람 음악씨디 안듣고
그냥 사는 저같은 사람에게는 정말 필요없는 소프트웨어가 덤 아닌 덤으로....
늘 안고 가야한다는 거죠..위에 분의 말씀처럼 필요하다면 따로 다운받아서
설치을 하면 된다는 거죠...아니면 오피스을 설치을 할때 파워포인트을 선택을
하면 자동으로 설치을 하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겠죠..그들이 말한 이유는
별로 마음에 들지않네요...

joon의 이미지

한국 MS 대단하군요.....
한국에서 독점법위반으로 고소당하기전 미리 방비작업을 해두는군요.
미디어플레이어가 안되면 동영상 플레이가 안되고 그럼 소비자의 요구이자 차세대 요구치인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안되니 이건 독점법위반이 아니지 않느냐 익스나 메신저도 그렇다!?
그러니깐 한국민들이여 고소들랑 하지마라.
하며 미리 선방을 때리군요.
이전의 고소내용이랑 이번의 설명회 내용이똑같은 말이니 고소는 잘못된거니 한국민들은 이런 실수 하지마라는걸 말하는군요.
하지만 MSN만 예로 들어도 MSN없으면 윈도우기능이 불가능하나? 우리는 윈도우에 메신저 넣어서 배포해라고 한적도 없는데...... 누군가 메신저 넣어라 했나보지요. - -;;
MS본사가 한국MS에 상황방비능력에 관련해 보너스를 줘야합니다.
정말 일 열심히 하군요.

죠커의 이미지

khris wrote:
서로 떼어놓을래야 떼어놓을수 없는 사이가 되어버려서...
특히나 익스플로러는 윈도우즈의 일부나 마찬가지인 몸이지요.
만약 MS가 윈도와 IE, 미플을 서로 떼어놓는다 해도 작업량이 장난 아닐것 같군요. :D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는 안 써도 그만입니다. (..)

lacovnk의 이미지

논점은

"wmp가 없으면 그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다" 가 아니라,
"wmp가 아닌 다른 app.이면 그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다" 인 것 같은데요.

사실 곰이나 아드레날린이 wmp의 api를 사용하면 안되는 것이 당연하니 MS말은 좀 적절하지 않지만 - 원래 그걸 사용하는 기능이니까 - wmp가 아닌 독립적인 player들은 제대로 잘 동작을 하겠지요.

근데 문제가 될 것 같은 것은, OS가 지원하는 기본적인 멀티미디어 기능이 꼭 wmp로 바인딩?되어야 하냐 입니다.

기사를 읽어보니, 많은 app들이 wmp의 api를 사용해서 편리하게 만들고 있다고 했는데, 그렇게 말고, 연결할 프로그램은 알지 못한채, 컨트롤만 이용하게 만들어버리면 어떨까..하는 것입니다. (아, 말이 이상해요 흑)

예를 들면, ppt에서 동영상을 넣었을 때, wmp가 아닌 realplayer가 embed되어 이를 이용해서 재생한다든지.. 이런 기능은 현재 불가능한가요? 음음.. (몰라서.)

이런 시도를 안해놓고 그건 안된다.. 라고 하는 건 "이렇게 만들었으니까 그냥 써"라는, OS독점 기업의 app 분야에 대한 횡포같습니다. - OS독점으로 app까지 독점하게 되는..

횡설수설하는군요 ㅎ (잘 모르다보니..)

hys545의 이미지

lacovnk wrote:
논점은

"wmp가 없으면 그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다" 가 아니라,
"wmp가 아닌 다른 app.이면 그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다" 인 것 같은데요.

사실 곰이나 아드레날린이 wmp의 api를 사용하면 안되는 것이 당연하니 MS말은 좀 적절하지 않지만 - 원래 그걸 사용하는 기능이니까 - wmp가 아닌 독립적인 player들은 제대로 잘 동작을 하겠지요.

근데 문제가 될 것 같은 것은, OS가 지원하는 기본적인 멀티미디어 기능이 꼭 wmp로 바인딩?되어야 하냐 입니다.

기사를 읽어보니, 많은 app들이 wmp의 api를 사용해서 편리하게 만들고 있다고 했는데, 그렇게 말고, 연결할 프로그램은 알지 못한채, 컨트롤만 이용하게 만들어버리면 어떨까..하는 것입니다. (아, 말이 이상해요 흑)

예를 들면, ppt에서 동영상을 넣었을 때, wmp가 아닌 realplayer가 embed되어 이를 이용해서 재생한다든지.. 이런 기능은 현재 불가능한가요? 음음.. (몰라서.)

이런 시도를 안해놓고 그건 안된다.. 라고 하는 건 "이렇게 만들었으니까 그냥 써"라는, OS독점 기업의 app 분야에 대한 횡포같습니다. - OS독점으로 app까지 독점하게 되는..

횡설수설하는군요 ㅎ (잘 모르다보니..)


wmp의 api하고 혼환되게 만든다면 이론적으로는 가능할거같습니다.

즐린

bigdog의 이미지

윈도 미디어 제거하면 윈도XP 기능도 제한된다

MS에 묻고 싶어진다...

그 거짓말 진짜야?

환상경의 이미지

bigdog wrote:

그 거짓말 진짜야?

으허허허 굉장히 인상깊은 말입니다. ㅋㅋㅋㅋ

==================================================================
정체된 일상.... 계기를 만들어야 하는데........
BLOG : http://khmirage.tistory.com/

shyxu의 이미지

lacovnk wrote:
논점은

"wmp가 없으면 그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다" 가 아니라,
"wmp가 아닌 다른 app.이면 그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다" 인 것 같은데요.

사실 곰이나 아드레날린이 wmp의 api를 사용하면 안되는 것이 당연하니 MS말은 좀 적절하지 않지만 - 원래 그걸 사용하는 기능이니까 - wmp가 아닌 독립적인 player들은 제대로 잘 동작을 하겠지요.

근데 문제가 될 것 같은 것은, OS가 지원하는 기본적인 멀티미디어 기능이 꼭 wmp로 바인딩?되어야 하냐 입니다.

기사를 읽어보니, 많은 app들이 wmp의 api를 사용해서 편리하게 만들고 있다고 했는데, 그렇게 말고, 연결할 프로그램은 알지 못한채, 컨트롤만 이용하게 만들어버리면 어떨까..하는 것입니다. (아, 말이 이상해요 흑)

예를 들면, ppt에서 동영상을 넣었을 때, wmp가 아닌 realplayer가 embed되어 이를 이용해서 재생한다든지.. 이런 기능은 현재 불가능한가요? 음음.. (몰라서.)

이런 시도를 안해놓고 그건 안된다.. 라고 하는 건 "이렇게 만들었으니까 그냥 써"라는, OS독점 기업의 app 분야에 대한 횡포같습니다. - OS독점으로 app까지 독점하게 되는..

횡설수설하는군요 ㅎ (잘 모르다보니..)

웹에서 미디어플레이어 컨트롤을 사용해서 배경음악 플레이어를 개발본 경험이 있는데...
(...라고 해봐야 php로 목록 불러와서 자바스크립트로 재생하는 정도지만;;; )

말씀하신대로 하려면 OS에 뭘 추가한다기보다
다른 api와 연결시켜줄 또 다른 뭔가를 개발을 해야겠지요.

헌데 문득 떠오르는게.. 다른 어플 말고..
웹에서는 <embed> 태그가 말씀하신것처럼
OS에 설치된 아무 플러그인이나 찾아서 플레이해주네요.;;;

저도 횡설수설... . . =3=3

Since 2003.
지금은 맥유저...
---
http://jtjoo.com

정태영의 이미지

khris wrote:
서로 떼어놓을래야 떼어놓을수 없는 사이가 되어버려서...
특히나 익스플로러는 윈도우즈의 일부나 마찬가지인 몸이지요.
만약 MS가 윈도와 IE, 미플을 서로 떼어놓는다 해도 작업량이 장난 아닐것 같군요. :D

미디어 플레이어는 direct X 프론트엔드정도라고 봐야 맞는게 아닐까요? directX 를 떼어놓는건 작업량이 장난 아닐지 몰라도 미플을 떼어놓는건 어렵지는 않을겁니다...

lacovnk wrote:
기사를 읽어보니, 많은 app들이 wmp의 api를 사용해서 편리하게 만들고 있다고 했는데, 그렇게 말고, 연결할 프로그램은 알지 못한채, 컨트롤만 이용하게 만들어버리면 어떨까..하는 것입니다. (아, 말이 이상해요 흑)

예를 들면, ppt에서 동영상을 넣었을 때, wmp가 아닌 realplayer가 embed되어 이를 이용해서 재생한다든지.. 이런 기능은 현재 불가능한가요? 음음.. (몰라서.)

위에서 얘기했듯이 wmp의 api가 아니라 directX 를 사용하는 것이고, 파워포인트 등에 동영상/사운드 등을 삽입하는 것은 꼭 wmp 가 있어야만 가능한 것이 아닙니다... wmp 를 대체할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다른 com+ 객체가 있으면 되는겁니다 =3=33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죠커의 이미지

정태영 님이 잘 말씀해주신 것 같습니다.

최근의 재생기들은 대부분 윈도우에 코덱을 설치하지 않기 위해서 미디어 플레이어와 결합도를 최대한 낮추고 있습니다. 곰 플레이어나 KMP를 쓰시는 분은 느끼 실 겁니다. 오히려 Direct X와 결합도를 우려하는 것은 옳습니다.

인터넷에서 동영상을 보는 것과 음악을 듣는 것은 퀵 타임 등이 대신 재생되는 경우도 보아왔을 겁니다. 인터넷에서 음악 재생도 대안이 얼마든지 충분한 상태입니다. 퀵 타임이나 리얼 플레이어 상의 항의도 근거가 있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전 윈도우를 리눅스로 교체하는 것에 반대하지는 않지만 integration을 통해 강력한 생산성과 편의성을 내고 있는 윈도우 시스템을 쪼개자는 시도는 아무래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되더군요. (익스의 웹표준 무시 같은 것은 다른 문제이니..)

최고의 bloatware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 리얼플레이어가 유럽에서 소송을 걸었던걸 보고 참으로 아쉬워했던 기억이 나네요. (콱 망해버리지..라는 생각이 들던)
애플 퀵타임도 익스 플러그인은 괜찮지만 스탠드얼론 무비 플레이어로 보면 맥에서도 vlc 깔아서 쓰고 있다는 현실을 생각하면 대안이라고 하긴 좀 그렇고..

냅두면 나중에 모든걸 장악한 ms가 뭘 할지 모른다는 FUD도 있지만 그러면 그냥 리눅스로 갈아타면 되지 않을까요. 지금은 그냥 사이에서 좋은 것만 골라 쓰며 즐기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twisted:

jedi의 이미지

voljin_ wrote:
전 윈도우를 리눅스로 교체하는 것에 반대하지는 않지만 integration을 통해 강력한 생산성과 편의성을 내고 있는 윈도우 시스템을 쪼개자는 시도는 아무래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되더군요. (익스의 웹표준 무시 같은 것은 다른 문제이니..)

최고의 bloatware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 리얼플레이어가 유럽에서 소송을 걸었던걸 보고 참으로 아쉬워했던 기억이 나네요. (콱 망해버리지..라는 생각이 들던)
애플 퀵타임도 익스 플러그인은 괜찮지만 스탠드얼론 무비 플레이어로 보면 맥에서도 vlc 깔아서 쓰고 있다는 현실을 생각하면 대안이라고 하긴 좀 그렇고..

냅두면 나중에 모든걸 장악한 ms가 뭘 할지 모른다는 FUD도 있지만 그러면 그냥 리눅스로 갈아타면 되지 않을까요. 지금은 그냥 사이에서 좋은 것만 골라 쓰며 즐기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twisted:

양면성은 존재하는 것이죠. MS의 분리는 오래전에 미국에서 주장되기 시작한 문제고 MS도 어느 정도는 독점 상태가 해소 되는 것은 나쁘지 않겠죠.

하지만 시장 지배력이 줄어드는 것은 싫은 일이고....

한국에서는 독점이든 과점이든 MS보고 뭐라할 만한 능력있는 곳이 없으니까 강한 방어를 하는 것이겠죠.

+++ 여기부터는 서명입니다. +++
국가 기구의 존속을 위한 최소한의 세금만을 내고, 전체 인민들이 균등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착취가 없는 혁명의 그날은 언제나 올 것인가!
-- 조정래, <태백산맥> 중에서, 1986년

hys545의 이미지

voljin_ wrote:
전 윈도우를 리눅스로 교체하는 것에 반대하지는 않지만 integration을 통해 강력한 생산성과 편의성을 내고 있는 윈도우 시스템을 쪼개자는 시도는 아무래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되더군요. (익스의 웹표준 무시 같은 것은 다른 문제이니..)

최고의 bloatware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 리얼플레이어가 유럽에서 소송을 걸었던걸 보고 참으로 아쉬워했던 기억이 나네요. (콱 망해버리지..라는 생각이 들던)
애플 퀵타임도 익스 플러그인은 괜찮지만 스탠드얼론 무비 플레이어로 보면 맥에서도 vlc 깔아서 쓰고 있다는 현실을 생각하면 대안이라고 하긴 좀 그렇고..

냅두면 나중에 모든걸 장악한 ms가 뭘 할지 모른다는 FUD도 있지만 그러면 그냥 리눅스로 갈아타면 되지 않을까요. 지금은 그냥 사이에서 좋은 것만 골라 쓰며 즐기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twisted:


참고로 맥에서 퀵타임은 윈도우의 같은역할을 합니다.
죽 퀵타임도 mac os x의 os의 한 부분입니다.
my

즐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