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ora Extras 오픈

atie의 이미지

Fedora Extras가 공식화 되었습니다.

패키지 다운로드는 여기서 받습니다.
http://download.fedora.redhat.com/pub/fedora/linux/extras/
메일링 리스트는 이곳입니다.
https://www.redhat.com/mailman/listinfo/fedora-extras-list/

yum으로는, 저는 /etc/yum.repos.d 디렉토리 밑에 extras.repo를 다음과 같이 만들고,

[extras]
name=Fedora Extras
baseurl=http://download.fedora.redhat.com/pub/fedora/linux/extras/$releasever/$basearch/
gpgcheck=1
enabled=0

그리고, sudo yum --enablerepo=extras update 로 합니다.
(참고로, enabled=1로 하면 --enablerepo 스위치를 쓸 필요없이 항상 그 레파지토리를 읽습니다.)
gpg key가 필요하면, 위에 링크된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받습니다.
내삶의런치의 이미지

저도 fedora를 사용하고 있는데...

죄송한 질문이지만...Extras가 정확히 뭐죠? ^^;;

리눅스를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아서요.

새로 생긴 서버인가요? ㅡㅡ++

언제즘 제대로 된 프로그램 하나 만들 수 있을까?
OTL....

나도 이글루 한다~~^0^
http://maxcrom.egloos.com

sodomau의 이미지

라이센스 문제 등으로 fedora base repository 에

포함되지 못하는 여러 패키지들을 담아놓은

repository 구요.

그냥 추가해서 사용하시면 기존에 못 보았던 패키지들이 좀 더

yum으로 보이는구나 하시면..;

저도 그냥 이정도로 알고 씁니다;;

joon의 이미지

역시 라이센스문제로
케디이멀티미디어 엑스트라 나 지스트림밍 플러그인 엑스트라 같은게 포함되지 않았군요.
그리고 토톰같은 동영상 플레이어도요.
페도라에서 정식으로 여러 패키지를 필드해줘서 좋기는하나 라이센스 정책으로 너무 빡빡해서 freshrpm 아나 dri 같은데를 이용하는게 나을듯 싶습니다. 페도라에서 그냥 기타 패키지를 빌드해 서비스도 해준다 정도겠군요.
한가지 맘에드는건 레덧9에서부터 빠진 윈도우 메이커나, 가벼운 블랙박스같은 패키지도 이제는 페도라의 정식 릴리즈가 나오는 것은 정말 맘에 드는군요.
그리고 보다 yum으로 업그레이드 해주는게 쉬워지겠군요. 이제는 rpm으로 설치하는 법도 까먹겠습니다. - -;;
최근에 나온 페도라 유틸중 rpm을 더블클릭하면 자동으로 설치되는 유틸도 있어서 조만간 현재도 잘 알지도 못하는 rpm 명령을 까먹게 될런지도 모르겠습니다. 헉~~

아무튼 좋은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내삶의런치의 이미지

sodomau wrote:
라이센스 문제 등으로 fedora base repository 에

포함되지 못하는 여러 패키지들을 담아놓은

repository 구요.

그냥 추가해서 사용하시면 기존에 못 보았던 패키지들이 좀 더

yum으로 보이는구나 하시면..;

저도 그냥 이정도로 알고 씁니다;;

감사합니다. ^^* 얼른 추가해야겠네요.

언제즘 제대로 된 프로그램 하나 만들 수 있을까?
OTL....

나도 이글루 한다~~^0^
http://maxcrom.egloos.com

파도의 이미지

apt는 지원이 안되나요?

--------Signature--------
시스니쳐 생각 중..

7339989b62a014c4ce6e31b3540bc7b5f06455024f22753f6235c935e8e5의 이미지

joon wrote:
역시 라이센스문제로
케디이멀티미디어 엑스트라 나 지스트림밍 플러그인 엑스트라 같은게 포함되지 않았군요.
그리고 토톰같은 동영상 플레이어도요.
페도라에서 정식으로 여러 패키지를 필드해줘서 좋기는하나 라이센스 정책으로 너무 빡빡해서 freshrpm 아나 dri 같은데를 이용하는게 나을듯 싶습니다. 페도라에서 그냥 기타 패키지를 빌드해 서비스도 해준다 정도겠군요.
한가지 맘에드는건 레덧9에서부터 빠진 윈도우 메이커나, 가벼운 블랙박스같은 패키지도 이제는 페도라의 정식 릴리즈가 나오는 것은 정말 맘에 드는군요.
그리고 보다 yum으로 업그레이드 해주는게 쉬워지겠군요. 이제는 rpm으로 설치하는 법도 까먹겠습니다. - -;;
최근에 나온 페도라 유틸중 rpm을 더블클릭하면 자동으로 설치되는 유틸도 있어서 조만간 현재도 잘 알지도 못하는 rpm 명령을 까먹게 될런지도 모르겠습니다. 헉~~

아무튼 좋은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토템은 Core Repository 안에 있습니다. :)

http://download.fedora.redhat.com/pub/fedora/linux/core/3/i386/os/Fedora/RPMS/totem-0.99.19-1.i386.rpm

joon의 이미지


그렇군요^^
xine과 totem은 freshrpm의 패키지를 계속 가져다 써서 몰랐습니다. 그렇다면 엑스트라 플러그인이 안되는게 문제군요. - -;;
개인적인 생각엔 페도라에서 기부금내라면 낼테니 제발 코덱류도 같이 제공해 좋으면 좋겠습니다. 다른데서 가져와 써도 되지만 그래도 기왕 엑스트라 패키지도 서비스 하는 김에 코덱관련 패키지도 라이센스 계약을 맺어 서비스 해주면 좋을것 같다는 거죠.....
아무래도 어렵겠지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Fedora와 Redhat이 공유하는 것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간략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Linux Kernel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양쪽이 모두 똑같은 patch를 적용한 Kernel을 사용하나요 ?

Redhat이 이제 완전히 '상용'으로 바뀌었으니까, 아마도 데몬서버 중에서 Fedora에는 없는 것들이 포함되어 있겠지요? 이러한 것들 중에서 어떤 것들이 성능과 효용성에서 탐이 나는 것들이 있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