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유라이선스!
지금까지 지적재산권의 과도한 보호로 인한 기본권 억압과 정보 격차의 심화를 막기 위해 활동해 왔던 정보공유연대 http://www.ipleft.or.kr 에서 새로운 라이선스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http://www.freeuse.or.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라이선스의 이름을 공모하고 있으며, 동참할 개인과 단체들을 모으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Creative Commons와 같은) 국제적인 연대가 부족한 것은 아쉽지만, 한국법에 맞춘 라이선스가 없는 현실에서 의미있는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정보공유라이선스의 취지1. 개발 취지
○ 인터넷의 보급으로 편리한 정보 활용의 기술적 환경은 조성되었음에도, 기대와 달리 정보이용의 편의와 비용절감의 효과는 크지 않은 것처럼 보입니다. 일례로 전자도서관의 기술적 문제가 해결되었음에도, 원격 열람은 상당히 제한되어 있는 실정입니다. 주된 원인은 현행 저작권법입니다. 저작권이 인터넷 상의 정보 접근과 활용에 있어서 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저작권 제도의 개선을 고려할 수 있고, 다음으로는 문화운동으로서의 정보공유 운동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정보공유라이선스는 후자에 해당합니다.
○ 현재의 저작권법은 저작자의 의사를 묻지 않고, 창작과 동시에 복제권, 전송권 등 저작재산권을 자동적으로 부여합니다. 따라서 저작권자가 그러한 권리 행사의 의사가 없다고 하더라도, 이용자는 저작권의 침해가 될까 우려하여, 자유롭게 저작물을 이용할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 저작자의 의사는 다양할 수 있다고 봅니다. 저작권을 전부 행사하려는 사람이 있는 반면, 자신의 글 또는 작품에 대해 때로는 저작권을 행사하지 않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거나 이용되기를 바라고 있는 저술활동가, 예술가들이 있을 것입니다. 가령 자신의 이름만 밝혀준다면 저작물의 복제, 배포에 대해 저작권을 행사할 의사가 없을 수도 있고, 상업적 이용만 아니라면 자신의 저작물을 토대로 2차 저작을 허용하려는 의사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같은 저작자라도 저작물에 따라서 저작권을 행사하려는 의사가 다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의사를 가진 저작자는 그 의사를 표현할 적당한 방법이 없습니다. 저작물을 무료로 나누려는 저작자들이 있고, 자유롭게 활용하려는 이용자가 있더라도 이들을 연결시킬 제도가 없는 것입니다. 정보공유라이선스는 바로 그러한 저작자와 이용자를 연결하는 편리한 도구가 될 것입니다.
2. 활용방법 및 기대효과
○ 정보공유라이선스는 저작자의 저작권에 대한 의사를 정형화한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저작권자는 자신의 의사에 맞는 라이선스 유형 4가지(별지참조) 중 하나를 채택하여 저작물을 공표할 수 있습니다. 라이선스 유형에 따라서는 복제, 배포 등을 제한없이 허용하거나, 비상업적 이용만을 허용하거나, 2차 저작물의 작성까지 허용합니다. 정보이용자는 저작권자가 채택한 라이선스가 허용한
범위내에서 저작물을 안심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령 전자도서관에서는 도서관 이용자에게 무료 열람을 허용할 수 있게 되어, 정보 이용자의 편의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정보공유라이선스는 현행 저작권법하에서 정보를 보다 자유롭게 활용하는 문화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입니다. 즉, 저작자 스스로 정보 활용에 나섬으로써 정보이용권의 확대를 도모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사회의 학문,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많은 저작자가 참여할수록, 더 많은 이용자가 관심을 가질수록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공유와 이를 통한 문화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일본의 경우 자유이용마크와 Creative Commons Japan과 같은 라이선스가 있습니다.
오오.. 멋진데..
오오.. 멋진데..
ㅡ_ㅡ;
이번에는 새로이 로고도 공모하고 있다고 합니다. 문화상품권 10장도 걸려
이번에는 새로이 로고도 공모하고 있다고 합니다. 문화상품권 10장도 걸려 있으니 관심 있는 분들의 참여 바랍니다.
----
It is essential, if man is not to be compelled to have recourse, as a last resort, to rebellion against tyranny and oppression, that human rights should be protected by the rule of law.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길게 얘기할 필요가 없군요:이 단체 자료실에 hwp파일들이 가득합
길게 얘기할 필요가 없군요:
이 단체 자료실에 hwp파일들이 가득합니다. :(
정보공유의 기본적 마인드가 갖춰져 있는지 모르겠네요.
큰 취지에는 대체로 공감하지만 말만 앞서는 운동단체에는 왠지 거부감이...
정보공유라이선스 공식 선포 및 캠페인 홈페이지 개통
정보공유라이선스가 드디어 공식 선포 되었습니다. :)
http://freeuse.or.kr/을 방문하시면 새로 꾸민 홈페이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에는 GPL이나 LGPL을 사용하라고 추천하는군요.일반적인
소프트웨어에는 GPL이나 LGPL을 사용하라고 추천하는군요.
일반적인 문서나 컨텐츠 대상의 라이센스인 듯 합니다.
앞으로 보호 할 글에게 주저리 주저리 달 필요없이 이
라이센스 하나 달아놓으면 되겠군요. 법률적인 문제도
고려해서 만들어진거겠죠?
--
Minimalist Programmer
간단히 말해, Public Domain 내지 "무료 이용은 가능한" 수많
간단히 말해, Public Domain 내지 "무료 이용은 가능한" 수많은 윈도우즈용 유틸리티의 라이센스에 비교될 수 있으려나요? 결국 GFDL에 비하면 제한적이군요.. 신기하게도 GPL은 언급되었으면서 GFDL은 언급이 안되다니 :)
말만 앞서는 단체는 아닙니다. 이번 라이선스도 거의 1년 정도 준비를 하
말만 앞서는 단체는 아닙니다. 이번 라이선스도 거의 1년 정도 준비를 하고, 변호사들의 자문도 받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지 오픈 소스를 하는 쪽과는 공유에 대한 시각이 약간 다른 것 같습니다. 기술적인 것 보다는 법적, 문화적인 부분에 관심이 많다고 할까요... 앞으로 고쳐나갈 수 있도록 알려주거나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정보공유라이선스는 Creative Commons와 상당히 비슷한데, 사용자가 라이선스를 선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사이트 메뉴를 보시면, 라이선스 선택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영리적인 이용이나 개작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작자가 제한하고 싶다면 제한하고, 허용하고 싶으면 허용하는 것입니다.
덧붙여서, 2차적 저작물의 경우 원래 저작물보다 제한적인 조건을 걸 수 없으며, 라이선스의 판을 명시하지 않을 경우 가장 최신의 라이선스가 적용되게 됩니다.
GFDL이 언급이 안된 것은 경쟁 상대라고 생각해서일지도... ;)
앞의 손님은 둘 다 저입니다. 연결이 불안해서 ;;
앞의 손님은 둘 다 저입니다. 연결이 불안해서 ;;
----
It is essential, if man is not to be compelled to have recourse, as a last resort, to rebellion against tyranny and oppression, that human rights should be protected by the rule of law.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정보공유라이선스에 대한 KLDP 논평. 아니 K[b]DL[/b]P 논평.
정보공유라이선스에 대한 KLDP 논평. 아니 KDLP 논평.
[논평] 정보공유라이선스의 출범을 환영한다
- 디지털시대, 저작물 창작과 이용에 획기적 전기를 마련해 줄 것
http://www.kdlp.org/index.php?board_act=view&page=1&board=spoke&kdlp_act=home&kdlp_act2=board&page=1&data_no=3404
[quote="cdpark"]정보공유라이선스에 대한 KLDP 논평. 아니
제가 GPL, LGPL, GFDL, BSD를 쓰면서 제일 아쉬웠던 부분이 이것이라
개인적으로 꽤 이런 라이센스가 반갑습니다.
GNU에 대한 이해는 아쉬운 부분이군요. 8)
--
Minimalist Programmer
[url=http://www.creativecommons.org/]Cre
Creative Commons (이하 CC) 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굳이 독립적으로 운동을 벌려야 하는지 안타깝습니다. 라이센스의 선택방식은 CC 의 그것과 다를바가 없네요.
오래전부터 발빠르게 준비된 일본의 CC 와 달리 한국 CC 는 KAFIL (정보법학회) 에서 준비하고 있지만 다양한 국가에서 로컬라이징되어 착착 진행되고 있는것에 비해 과연 이 단체가 일을 진행하고 있는지 의문입니다.
이 운동을 추진하기위해 Lessig 교수팀에 협조를 구해보셨는지, 이미 국내에서 법적인 문제를 다 해결한 상태라면 CC 와 연대하여 CC Korea 를 마련하는게 힘들지 않을텐데요.
단지 국내에서만 독립적으로 운동을 추진하기에는 CC 가 쌓아놓은 국제적인 인지도를 포기하기가 아쉽네요.
--
Sang-Kil Park
그럭저럭 좋은 일인데,자신의 마음에 안 맞는 부분이 있거나 미흡한 부
그럭저럭 좋은 일인데,
자신의 마음에 안 맞는 부분이 있거나 미흡한 부분이 있다고
가치가 없는 것으로 치부하기 보다는,
참여해서 고쳐 나가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Copyleft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에 대해 빌 게이츠가 "이
Copyleft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에 대해 빌 게이츠가 "이 시대의 공산주의자"라는 표현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이에 사람들이 다음과 같은 로고를 만들어냈습니다.
http://www.boingboing.net/2005/01/05/bill_gates_free_cult.html
http://www.boingboing.net/2005/01/06/creative_commies.html
http://www.boingboing.net/2005/01/06/more_gates_creative_.html
Creativity always builds on the past.
Creative Commons KOREA
요즘 저작권에 관련된 궁시렁~들이 많아서 좀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요,
얼마전부터는 제 홈페이지에도 정보공유라이선스(http://freeuse.or.kr/)를 사용하여 저작권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외국에서 시작된 좀 비슷한 성격의 라이선스가 국내에 소개되었군요.
http://www.creativecommons.or.kr/
좋은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Creative Commons
저작자 표시: 필수 영리/비영리 허용: 선택 가능
정보공유 라이센스변경 개작 여부: 선택 가능
변경물에 대한 동일 라이센스 적용: 선택 가능
저작자 표시 : 필수 영리/비영리 허용: 선택 가능
변경 개작 여부: 선택 가능
변경물에 대한 동일 라이센스 적용: 필수
둘의 차이점을 잘 모르겠습니다.
[/][/]국내 라이센스와 국제 라이센스라서 무슨 차이가 있는건가요?
둘 다 라이센스의 이용에 대해 법률적으로 관여하지는 않는건 어느쪽이나 마찬가지이고...
CC 인지도를 버리긴 아깝고, CC Korea쪽은 믿음이 안가고, 정보공유 라이센스는 CC랑 같은걸 왜 만들었는지 모르겠고...
뭐 아무거나 써도 상관없겠지만, 쓸데없는 고민이 드는군요. :?
우수하지 않아요. '우수한'은 옛날 만화 CityHunter에서 따와서 쓰던 별명. ;-)
결과적으로 이러한 노력들이 반영되면 좀 더 자유로운 세상이 될 것 같네요
결과적으로 이러한 노력들이 반영되면 좀 더 자유로운 세상이 될 것 같네요.
빌 게이츠가 공산주의자를 비하하는 식으로 그러한 로고를 만들어 낸 것 같은데,
순수한 공산주의자 만큼 순수하게 이상주의적인 인간들도 드물죠.
순수한 자본주의자보단 이타적일 것 같은데...
북한산(X) 삼각산(O) 백운대(X) 백운봉(O)
Re: 좋은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공유 라이센스의 종류가 많아지면 선택의 가능성도 많아지죠.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GPL과 BSD 뿐 아니라 이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는 수많은 옵션, 그리고 그 와중에 다중 라이센스가 가능합니다.
어떤 라이센스는 다른 라이센스와 충돌하기도 하고요. 예컨데 GFDL은 Debian의 Free license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합니다. 그냥 잘 맞춰 쓰면 됩니다.
[링크] CC Korea에 대한 정보공유연대의 입장
한국 크리에이티브 커먼스(Creative Commons Korea) 출범에 대한 정보공유연대(IPLeft)의 입장
http://www.ipleft.or.kr/cc_korea/cc_korea02.html
http://linux.or.kr
http://linux.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