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 도대체 뉴스그룹이랑 다른게 뭡니까?

luscent의 이미지

저는 개인적으로 terminal 환경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그런가 아직도

하이X, 나X누리 등이 그립습니다.

그림도 없고. 사람들의 글만 있는 . 오히려 글이 길수록 더 읽을 맛이 나더군요.

그래서 그런지. 요즘의 웹환경보다는 뉴스그룹을 더 자주, 아니 아예 애용을 넘어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오늘 RSS Reader를 설치해봤습니다.

이거 뉴스그룹이랑 같지 않은가요? 아니 아예 똑같습니다.

아예 RSS xml 생성 보다는 차라리 뉴스그룹 서버를 하나 만들어

같이 연동하는건 어떻습니까? 블로그 이거 다 리플이고 답글이고

새글 올리는거 전부 새로 포스팅 하는것들이고.

다를게 없는데. 오히려 사람들이 좋다고 추천하는것이 오래전에 나왔던

뉴스그룹 개념이라니... 좀 허무하네요.

편한게 아니고.. 오히려 황당하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angpoo의 이미지

RSS - Really Simple Syndication
제공방법이 말그대로 무지하게 단순해서 널리 퍼진거죠.

블로그라고 해서 하늘에서 뚝 떨어졌겠습니까
접근방식을 조금 바꾼건데 시대흐름에 맞으니 많은 사람이 쓰게 된거죠.

패러다임의 변화라고 해야 할까요. 점점 더 개인이 주체가 되어가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랜덤여신의 이미지

프로토콜이 간단해서 그런 것이 아닐까요.

HTTP 하고, RSS 스펙만 좀 알면 제작/해석할수 있으니...

sjpark의 이미지

뉴스그룹도 개인적으로 쉽게, 많은 사람들이 운영할 수 있나요?

그래서 RSS쓰는거 아네여?

또.. 자기 홈페이지 변경사항 쉽게 자랑(?)할 수 있으니...

sjpark의 이미지

인클루드 wrote:
프로토콜이 간단해서 그런 것이 아닐까요.

HTTP 하고, RSS 스펙만 좀 알면 제작/해석할수 있으니...

뉴스그룹 프로토콜도 그리 복잡하진 않은거 같던데용.....
흐흐 -v-

logout의 이미지

RSS를 쓰지는 않지만 블로그와 관련해서 요즘 이쪽 움직임을 지켜보다보면... 역시 온라인 상의 identity가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는 것 같습니다.

구글쪽에서 요즘 추천인 제도, 달리말하면 피라미드식 네트워크를 만들어 나가고 있지요. 왜 하필 그 많은 방법 중에서 서로 reference, reference 이런식으로 네트워크를 만들어 나갈까요? 게다가 피라미드식 유통은 그 폐해도 많은 바, 상당히 위험성이 있는 방법이기도 한데 말이지요.

게시판의 장점이자 단점은 이곳이 공공이 이용하는 장소라는 특성입니다. 즉, 여러명이 모이니까 서로 협력하는 재미도 있지만 거꾸로 공해가 발산되는 장소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아무리 좋은 글이 많이 올라오는 게시판이라도 스팸이나 몇몇 troll로 금방 망할 수 있으며, 설사 이런 문제가 없더라도 힘들여 쓴 좋을 글들이 잡담 수준의 글에 *파묻혀* 버리기 시작하면 좋은 글을 올리던 사용자들이 아무래도 슬슬 떠나가기 마련이지요.

블로그의 가장 큰 특성은 개인성입니다. 어떤 개인의 블로그는 그 개인의 영토입니다. 거기에 잡담을 도배하든, 혹은 좋은 글 한두개를 가끔씩 올리든, 그것은 그들 각각의 자유이지요. 이것은 올라오는 글을 그 글을 쓴 사람으로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집니다. 한 사람이 여러 게시판에 여러개의 아이디로 글을 쓸 수는 있지만 한 블로그 운영자가 여러명의 RSS subscriber들에게 다른 아이디로 글을 쓸 수는 없거든요. 사실 그럴 이유도 없구요.

이렇게해서... 블로그는 그 개인의 identity와 글이 일치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블로그는 원래부터 의도했던 안했던... subscriber입장에서 읽기싫은 사람의 글은 알아서 지울 수 있습니다. 상당히 괜찮은 스팸과 트롤 방지책이면서 또 개인의 identity까지 살려주는 방식인 셈이지요.

여기에 조금 상상력을 추가한다면... RSS feed를 가져가는 subscriber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 블로그 주인은 괜찮은 글을 쓰고 있다고 추측해 볼 수 있겠지요. 마치 논문의 citation 숫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 논문의 내용이 우수하다고 평가하는 것 처럼요.

미국에서 많이 쓰는 방법입니다만 이들은 취직이나 입학을 할 때 사람의 자질을 평가하기위해 제 3자 추천인 제도를 많이 씁니다. 저 사람의 능력을 제 3자에게 물어서 평가하는 것이지요. 이럴때 제 3자가 "믿을만한" 사람일수록 이 제 3자의 추천의 신뢰도는 올라가는 것이겠지요. 블로그를 가만 지켜보고 있으면 이런 구미쪽의 전통적인 reference 방식이 그대로 온라인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개인적으로 볼 때 블로그는 한국 사회에서 유행할만한 형태의 게시판은 아닙니다. 아무래도 한국인들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게시판은 "출근부"가 아닐까 싶은데... 어쨌거나 블로그는 기존의 게시판이 극복하지 못했던 문제들에 새로운 해결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게시판에서는 사용자의 identity를 살려 주기가 결코 쉽지 않은데 (phpBB의 경우만 해도 포스팅의 숫자로 별을 달아준다든가, 혹은 아바타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든가 정도의 기능만 가지고 있습니다. 좋은 글을 올리는 사용자들의 아이디를 자연스럽게 홍보해주는 기능은 아예 고려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블로그에서는 거꾸로 identity위에 게시판을 얹어서 이 문제를 해결해 버렸습니다.

어쨌거나, 블로그는 뉴스그룹과는 많이 다릅니다. 블로그는 우선 개개인이 관리하기 때문에 스팸에 저향력이 높고, 뉴스그룹과는 달리 글을 올리는 사람의 identity가 살아 있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만약에 블로그가 RSS를 통해서 뉴스그룹의 형태로 살아난다면... 아마도 그 예전 "좋았던" 뉴스그룹 시절이 다시 살아날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I conduct to live,
I live to compose."
--- Gustav Mahler

saxboy의 이미지

그래서 이런 놈이 있지요.

http://www.methodize.org/nntprss/

저는 newsportal rss 패치도 애용합니다.

http://saxboy.pe.kr/rnews/index.php?category=music

likejazz의 이미지

엔지니어적인 발상으로 접근해 본다면 분명 블로그는 말씀하신대로 뉴스그룹과 다를게 없습니다. RSS 라는것도 단순하기 그지없지요.

하지만 문화적으로 접근해본다면 블로그는 정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온 Product 입니다.

개개인의 identity 를 극대화하면서도 Blogroll 을 통한 Social Network 을 형성하는 이것이야 말로 초창기 붐을 일으켰던 개인홈피+동호회의 다음 세대가 아니겠습니까 ?

--
Sang-Kil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