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tran에서 make를 이용하면 좀 더 컴파일 속도가 향상 될까요
글쓴이: yuni / 작성시간: 화, 2004/06/22 - 2:54오후
현재의 사정은 이러합니다.
일단 main 과 sub program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파일로 되어 있습니다. 아무생각 없이 그냥 컴파일해서 돌리다가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메인 과 각각의 서브를 나누어서 서브만 오브젝트 파일로 미리 컴파일해 놓고 다음에 컴파일을 메인만 하면 좀 빠른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g77 -c *.f
이렇게 한 다음에 g77 main.f *.o
이런 식으로 하면 좀 컴파일이 빨라질까 생각하다가, 이왕이면 지난번에 위키에 있던 make 사용법을 한번 익혀 보자 싶어서 간단하게 한번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좋은 설명 덕분에 최소사용법은 익혔습니다.
그런데 의문점은 이렇게 하면 무엇이 좋은가에 대한 생각이 갑자기 심하게 들었습니다. 우문에 현답을 바랍니다.
사연을 좀 더 적자면,
프로그램의 구성이 main.f가 있고, b.f, bb.f, c.f,cc.f d.f,dd,f ddd,f ....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론 main.f에서 b.f를 콜하기도하지만 cc.f에서도 b.f를 콜하기도 하는 그런 구성입니다. 그리고 초기에 메트릭스 사이즈를 잡아 주고 들어 갑니다. 물론 서브에도 그 메트릭스를 받고 넘기고 합니다.
prgram main
....
call b.f
...
call cc.f
end program
subroutine b
print*, ' 저 비입니다..'
call bb
return
end
subtorutine bb
print*, ' 저 비 비 입니다..'
call bb
return
end
이런 겅우에 makefile 을
test : main.o, b.o, bb.o 생략 좀 하구요.
g77 -o test main.o, b.o, bb.o
main.o: main.f
g77 -c main.f
생략 좀 합니다. 이런식으로 사용하면 일단 make file을 만드는 것이 큰일인 듯 싶습니다. 그리고 만약에 main에서 직접 콜한 b.f 나 cc.f 같은 파일도 마지막 라인에 있는
main.o: main.f b.o cc.o 이런식으로 적어 주어야 됩니까? 그렇게 된다면 거의 코드를 잘 살펴서 어디 서브루틴이 또다른 어디 서브루틴을 부르는지 하나 하나 다 따져서 작성을 해야 되는 것 같은데, 보통 일이 아니군요.
다 적고 나니 정말 우문이군요. :arrow: 현답을 기다립니다..
Forums: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