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 전송속도와 외장형 하드 에 대한 생각..
하드 전송속도와 외장형 하드 에 대한 생각..
요즘 외장형 하드 장비가 많이 나와 있는 것 같습니다.
하드렉도 어떤면에서는 그런것 같고(정확히는 아니지만..)
USB , IEEE1394 등도 많구요.
USB 2.0 이 지원최대 속도가 480Mb/s 라고 하는데...
기타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에 따른 최대 전송속도 방식 전송속도 방식 전송속도 방식 전송속도 PIO 0 3.3MB/s DMA 0 2.1MB/s 울트라DMA 0(ATA16) 16.66MB/s PIO 1 5.2MB/s DMA 1 4.2MB/s 울트라DMA 1(ATA25) 25MB/s PIO 2 8.3MB/s DMA 2 8.3MB/s 울트라DMA 2(ATA33) 33.3MB/s PIO 3 11.1MB/s DMA 멀티워드 0 4.2MB/s 울트라DMA 3(ATA44) 44.44MB/s PIO 4 16.6MB/s DMA 멀티워드 1 13.3MB/s 울트라DMA 4(ATA66) 66.7MB/s - - DMA 멀티워드 2 16.6MB/s 울트라DMA 5(ATA100) 100MB/
하드전송속도는 이렇다고 하는데요.
물론 SCSI 등은 또 다르겠지요.
그렇지만, 외장 하드용으로 많이 쓰는 USB 나 IEEE1394 는 보통
400MB/s 이상의 속도를 가집니다.(실제로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결국은 외장형이나 내장형이나 속도에는 큰 차이가 없을 듯 합니다.
(외부인터페이스의 속도가 하드전송속도에 비해 높으니. 결국은 하드에 따라 차이가 날 뿐이겠죠?)
뭐! 그냥 별 생각없이 쓰고는 있는데.. 그 전송속도 라는 것이 각각 어느정도의 차이가 나는지 모르겠습니다.
USB1.x 버전은 확실히 늦다는 것은 경험해 봐서 알겠는데.
USB 2.x 버전과 IEEE1394 는 어떤지 모르겠네요.
별차이가 없다면, 내장형이 더 빠르다는 인식이 있는데(나만그런가?)
외장형이 hot swap , hotplugin 등을 지원하니 오히려 더 나을듯 하네요.
이정도라면, 비싼 스토리지를 쓰는것보다 속도면에서 문제가 있겠지만(비싼것보다), 충분히 쓸만하지 않을 까 합니다.
다른 문제가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요즘 S-ATA , 외장형 하드 등으로 저가형의 스토리지를 구축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고 있습니다. 벌써 해당 제품이 나왔을려나..
SCSI 하드를 이용한 것은 너무 고가 인것 같습니다.
이와 관련된 정보를 더 찾아봐야 겠습니다.
usb, ieee1394의 bps는 bit per second입니다.
usb, ieee1394의 bps는 bit per second입니다.
그리고 실제 써보면 외장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하드의 속도는 많이 떨어집니다.
제가 1394 외장하드로 20G어치 데이터 복사하는 일이 몇번 있었는데 할때마다
한시간 넘게 걸렸습니다.
Written By the Black Knight of Destruction
[quote="흑기사"]usb, ieee1394의 bps는 bit per
헛! 그런가요? 그렇다면, /8 을 하면, 50Mbyte/s 가 되나..
그래도 속도가 비슷하지 않나요? 그렇게 차이가 많이 나나봐요?
그외 다른 속도 저하 원인이 있어서 인가요..
기회가 되면, 실제적인 전송테스트를 해봐야 겠습니다.(조만간..)
추가내용 : 잠깐 자료를 찾아본 봐로는 USB 2.0 은 이론적인 속도는 480Mbit/s(60Mbyte/s) 인데.. 실제적인 속도는 50% 정도로 봐야
한다고 하는 것 같습니다. 즉 30MByte/s
요즘 나오는 하드는 속도가 그 이상이니 잘 나와봐야 30MByte/s 정도이고.
그런데. 또한 시스템에 영향을 많이 받는 듯 합니다.
그런데. IEEE1394 는 그 보다는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아직은 스토리지로 사용하기는 좀 그렇고, 요즘 많이 나오기 시작한 S-ATA 는
쓸만한 듯 합니다. 속도가 좀더 개선이 되고 하면..
관련자료 :
http://www.kbench.com/hardware/?no=23622&pg=4
ps. 관련자료 찾게 되면 해당 쓰레드에 추가해 놓겠습니다.(필요한 사람이 있다면.. )
사용자가 바꾸어 나가자!!
= about me =
http://wiki.kldp.org/wiki.php/offree , DeVlog , google talk : offree at gmail.com
이게 전송속도가 아무리 개선이 된다고 해도 결국은 bottleneck이
이게 전송속도가 아무리 개선이 된다고 해도 결국은 bottleneck이 하드디스크의 모터속도에서 생기기 때문에 별반 개선될 여지가 없지 않나합니다.
외장형하드의 전송방식이 USB2.0이되던, IEEE1394이던 결국 최종적으로 받는 하드의 속도가 4800RPM뭐 이런식이면 잘나와봐야 30MB/s일거고, 7200RPM이라고 해봐야 50~60MB/s 정도겠지요.
mechanical한 파트가 들어가있다면 그 부분을 해결하거나 대체하지 않고서야 무슨 대책이 있겠읍니까?
참고로 특별한 세팅을 하지않고서 hdparm으로 재봤을때, SCSI 10KRPM이 50~60MB/s, 7200RPM SATA도 60MB/s 뭐 이정도였으니, 외장형하드가 아무리 빨라봐야 50MB/s 넘기 힘들겠지요?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quote="MyCluster"]참고로 특별한 세팅을 하지않고서 h
예. 말씀대로 하드의 속도가 주된 영향이 되는 것 같습니다.
즉, 내장형이든 외장형이든 별상관이 없어진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오히려 내장보다는 확장성이 용이한 외장형이 훨씬 나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아직 까지는 외장형이 최적의 속도를 맞추지 못하고 있는 듯 합니다.
사용자가 바꾸어 나가자!!
= about me =
http://wiki.kldp.org/wiki.php/offree , DeVlog , google talk : offree at gmail.com
[quote]참고로 특별한 세팅을 하지않고서 hdparm으로 재봤을때,
흐흐흐... 부럽네요. 제 시게이트 7200은 -u1 -m16 -c3 뭐 이딴 거 막
달아줘봤자 53 MB/s 이 최고값이던뎅.
S-ATA 케이블을 써주면 달라질까요? 아무 말 않고서 조립을 했더니 그냥
80핀 케이블을 붙여줬네요.
제 경험으로는...
노트북에 있던 넘을 떼서 외장하드 10G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1394와 USB2를 둘다 지원합니다.
제 노트북(P3-700Mhz)에서 써보면 속도 자체는 둘다 비슷비슷
한 것 같은데요 (1394가 살짝 빨라보이긴 합니다만 기분탓이지
모르죠... - :lol: ) 중요한건 USB2를 사용할 때에는 컴터가 전체적으로
느려지는 느낌입니다. 반응속도도 뚝 떨어지고... 1394는 그런 현상이
없는데 말이죠...
집에있는 데스크탑은 1394가 없고 USB도 1.1이라서 좀 뭣합니다만
1.1조차도 응답속도가 좀 떨어지는 느낌입니다.
그런데 회사에 있는 넘(P4-2.3G)은 별로 그런 느낌이 안 드는군요.
컴터가 빨라서 그런건지...
윈도건 리눅스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거 같구요... USB의
인터페이스가 CPU가 많이 개입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하고 주제넘게
추측해봅니다. :oops: 해본적이 없어서 그냥 추측만... (몇주후에
하게 될 것 같긴 한데...)
하여튼 제 경험엔 그랬습니다....
--------------------------------------
재미없는 일은 하지 말자는 인간 쓰레기.
-.-;
[quote="트랑"]S-ATA 케이블을 써주면 달라질까요? 아무 말 않
S-ATA하드를 어떻게 80핀 케이블로 연결하죠?
두가지를 동시에 지원하는 하드도 있나요?
+++ 여기부터는 서명입니다. +++
국가 기구의 존속을 위한 최소한의 세금만을 내고, 전체 인민들이 균등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착취가 없는 혁명의 그날은 언제나 올 것인가!
-- 조정래, <태백산맥> 중에서, 1986년
아... 제가 S-ATA 하드라고 착각하고 있었군요.(바보가 됐다
아... 제가 S-ATA 하드라고 착각하고 있었군요.
(바보가 됐다...)
[quote="흑기사"]usb, ieee1394의 bps는 bit per
엥???
그렇게나 걸려요???
저는 IEEE1394는 아니고 USB2.0 쓰고 있는데, 20GB Copy에 그렇게 시간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제 경험으로는 15분??? 이 정도로 생각되는데요...
뭔게 Setting이 이상한 거 아닙니까???
[quote="sDH8988L"][quote="흑기사"]usb, ieee
복사할 파일들 갯수에 따라 달라지지않나요?
복사할 데이터가 같은 20기가라도 파일 갯수에따라 엄청난 차이가 있잖아요.
극단적으로 20기가짜리 파일 하나와 1바이트짜리 파일 20기가개라면 복사속도가 몇백몇천배는 차이날듯하네요.
1바이트가 아니더라도 몇키로바이트(많이볼수있는것이 덩치큰 프로그램 소스나 웹페이지같은거...)짜리 파일만해도 복사속도가 초당 10메가바이트가 안나오더군요.
^^;;
제가 잠시 40기가짜리 외장 하드디스크를 써 봤는데, 별 차이는 없는 것
제가 잠시 40기가짜리 외장 하드디스크를 써 봤는데, 별 차이는 없는 것 같더군요 :) (약 15기가 정도를 왔다 갔다...) 뭐 뭔 파일을 복사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요.
- 토끼군
내일중으로 한번 테스트를 해봐야 겠습니다.제가 가지고 있는 것이
내일중으로 한번 테스트를 해봐야 겠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것이 USB 2.0 제품인데..
hdparm 와 실제 전송 테스트 ( 단순한 전송 시간 ) 를
해보고 쓰레드에 추가해 보겠습니다.
혹! 다른분도 제품 쓰고 계시면, 답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스토리지 시스템을 대체(?)하기에는 아직은 부족한 면이 있는 듯 합니다.
특히 위 antibug 님 말씀처럼 시스템에 부하가 많이 가는 것도 문제인 듯 하구요.
테스트 6월 14일 현재. 계속 테스트 중..
hdparm 테스트
복사 테스트 time 을 이용
# 약 2G정도의 다수의 파일을 복사하는 테스트.
(1,84G , 파일 - 30759개 , 폴더 - 2114개)
# 큰용량의 파일 ( 약 2G(1.9G) - 파일 26개 , 폴더 5개 )
# vmware 상의 win2000 : 테스트 외..
real 윈도우 상에서는 큰 차이가 있을 듯..
사용자가 바꾸어 나가자!!
= about me =
http://wiki.kldp.org/wiki.php/offree , DeVlog , google talk : offree at gmail.com
테스트에 대한 생각..1. USB 제품 별로 전송속도의 차이가 있
테스트에 대한 생각..
1. USB 제품 별로 전송속도의 차이가 있다.
USB 제품 내에 들어가 있는 하드의 속도 차이도 있는 듯.
2. 비슷한 용량이라도 파일수 가 많은 경우 속도 저하가 있다.
테스트 용량이 2G 정도로 해서 정확한 테스트가 되었을지는 모르겠음.
3. 내장형 -> 내장형 은 동일 하드의 다른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이기 때문에 속도에 대한 측정이 정확하지 않음.
내장형의 서로 다른 하드로 테스트 해야 할 듯.
4. 파일시스템 ( ext3 , fat32 등.. ) 에 따라 속도 차이를 보임.
향후 추가로 테스트 해 볼 부분.
1. 서로 다른 내장형 하드에 대한 전송 테스트
2. 윈도우 시스템 에서의 전송 테스트 ( NTFS , FAT32 )
3. 대용량 ( 10G 이상 ) 에 대한 전송 테스트.
ps. 정확한 테스트가 아닌 단순 테스트 이기 때문에 그냥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USB 제품 은 그냥 2차 스토리지(백업용) 으로 쓰기에는 적당한 듯 합니다.
시스템 용으로 같이 쓰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듯 하구요.
사용자가 바꾸어 나가자!!
= about me =
http://wiki.kldp.org/wiki.php/offree , DeVlog , google talk : offree at gmail.com
역시 하드웨어에 어딘가 이상이
ieee1394 외장하드 성능이 X같네요.
제가 쓰는 1394카드의 칩셋이 TSB43AA22 (Texas Instruments)인데
이넘의 문제인가. 전에 커널 소스 뒤져봤을때 이 칩셋에 대해서 뭔가 문제가
있다고 쓴 주석을 보았는데. 참고로 하드는 삼성 80G 7200rpm,
외장케이스는 새로텍꺼임
메인으로 쓰는 7200.7 160G SATA 하드는 50M 정도 나오네요.
Written By the Black Knight of De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