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없음
글쓴이: prolinux / 작성시간: 목, 2004/04/22 - 6:29오전
1. IP Address : 항상 접속시 매번 호스트에서 자동으로 할당받는다.
DHCP를 사용시만 그렇습니다.
고정IP사용시 위 내용은 X가 됩니다.
2. DNS Server : Domain Name Server의 도메인명을 지정한다.
글세요... DNS의 도메인보다는 IP를 지정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3. SubNetmask : 네트워크 Class C일 때 255.255.0.0로 지정한다.
255.255.0.0은 B Class 입니다.
255.255.255.0이 C Class 입니다.
4. Gateway : 고정 IP Address를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게이트웨이 정보도
넵 4번입니다. 고정(임의할당)을 했을때는 GW를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단.. 지정안해줘도 자동으로 GW를 찾을수 있는 장비가 많이 있습니다.
제가 볼때는 4번이고 위 내용중 정답은 없습니다.
실제로 네트웍 7-800개 이상 구축한 분이라면 위 예제에 답이 없다는 것을 알겁니다. :idea:
Forums: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