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 설치 서버 만들기에 대하여... - client가 랜부팅이 된다면
윈도우에서는 RIS(원격설치서버) 를 2000server에 설치하고, dhcp - bootp옵션설정만 제대로 한다면, 그리고, ActiverDirectory설정하여 권한 부여가 완료되면
랜카드(bios에서 Lan부팅을 지원) 만 설치되어 있는 Client에,
윈도우XP나 윈도우 2000을 설치 할 수 있었습니다.
즉, 플로피와 CDRom이 없는 notebook이 RIS에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OS를 설치가 가능합니다. - 물론 디스크 하나가 통째로 잡히면서 기존에 있는 데이터를 몽땅 날려버리겠다는 경고 메시지가 뜨긴 합니다만...
그렇다면, Linux의 경우, 그러한 방법이 없는 것입니까?
diskless System - 클러스터 컴퓨터군단을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단지, 플로피와 CDrom없이 네트워크로만 Install Server에서 리눅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겁니다.
-----------------------------------------------------
:idea: 가만 생각해보면,
client가 bootp를 네트워크에 흘려보내면,
RIS가 bootp 에 응답하여, 설정된 dhcp로 IP를 client에 부여해주고,
일종의 RIS daemon이 이러한 작업에 반응하여 서버의 특정 디렉토리에 위치한 원본 ISO파일로 client에 인스톨되도록 할 것 같습니다만...
(마치 윈도우 서버의 RIS서비스 처럼)
그러한 daemon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플로피 부팅을 네트워크 부팅으로 대체하는 방법.
플로피 부팅을 하면, 네트워크(NFS, SMB, FTP) 설치를 선택할 수 있지 않습니까?
:idea: 바로 그 과정만을 리눅스 Server가 수행하여 주는 겁니다. samba나 ftp서버에서 인스톨 할 수 있도록 말입니다.
이러한 류의 방법이 있는지요.
------------------------------------------------
:oops: 위의 내용을 통해서 짐작하시겠지만, client가 bootp라는 프로토콜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부팅작업해 줄 서버 어디업수? " 하고 요구를 하면 bootp가 설치된 리눅스 서버가 반응하여 설치된 dhcp로 ip를 client에 부여해주는 것 까지는 이해가 갑니다.
그런데, 이 다음 부터가 이해가 안됩니다.
tftp는 뭣땜에 필요하게 되는지... bootp의 스크립트 파일이 뭐고, 어떻게 고쳐야 서버에 설치된 bootnet.img가 client에 인식이 되는 건지....
암튼 뒤죽 박죽입니다. 머리속이....
현재까지 이해하고 있는 부분은 여기까지 입니다.
그럼...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