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한번의 드라이버 작성으로 이 드라이버가 모든 주요 OS에서
글쓴이: 익명 사용자 / 작성시간: 목, 2001/11/22 - 11:16오후
I2O라는 기술인데...
이게 결과적으로 돈이되는 기술일까요?
아님 금방 사장되어질 기술일까요?
제 생각으로는 MS가 별로 달갑게 여기지는 않을 기술같은데...
물론 인터럽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다른 장점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MS OS의 장점중 하나가 현재 가장 많은 하드웨어를 지원한다는 점일텐데...
위의 기술이 대세가 된다면... 윈도 제품군이 가진 장점이 하나 줄어드는
셈일테죠. 여러분은 어찌 생각하시는지...
운영자님... 질문성 글이라고 판단되시면 질문 게시판에 좀 옮겨 주시면,
감사하겠고요. 토론해볼 여지가 있다면 토론 게시판에 옮겨주셔도
무방합니다. ^-^;
Forums:

Re: 단, 한번의 드라이버 작성으로 이 드라이버가 모든 주요 OS
글쎄요...
자바처럼 가상머신이 있어야 되지 않을까하는데요..
그러자면 속도는 당연히 느려질거고...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커널영역인데 이것은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속도를 저하시킬테고..
그러다보면 별로 반응이 나뻐지지 않을런지?
그게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 이유는 I2O로 작성된 드라이버가 CPU에 상관없이 동작한다는 점입니다.
I2O spec으로 작성된 드라이버는 I/O interrupt를 CPU로부터
I/O processor (IOP)로 전가합니다. 따라서 I/O interrupt를 IOP가
수행하므로 CPU는 I/O interrupt로부터 해방됩니다.
또한 IOP는 IO만을 전담함으로써 I/O interrupt 처리의 성능과 동시에 CPU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Device driver를 OS마다, device마다 작성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device driver를 OS Specific한 부분과 Device dependent한 부분을 분리하여
그 공통의 interface로 I2O Spec을 정하였습니다.
OS는 각 device class에 해당하는 I2O 표준을 지원하는 부분만 지원하면 되고
(예를 들어 OS가 Ethernet Class의 OSM을 지원하면 어떤 vendor에서 제작한
I2O표준을 지원하는 ethernet adapter를 모두 사용할 수 있음),
device 업체들 역시 I2O표준을 만족하는 driver만 작성하면
어느 OS에도 올릴 수 있습니다.
흠... 제가 이것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앞으로 유망할것 같은 특허 내용을
보고서로 작성하는 과제를 하던 도중에 발견한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I2O가 특허로 등록되어 있는지 아직 확인을 안해봤지만, 분명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충분한 아이디어라고 판단되었기에 글을 올린 것입니다.
Re: 단, 한번의 드라이버 작성으로 이 드라이버가 모든 주요 OS
MS가 언제나 그랬듯이 나름대로 특허내고 이미 특허낸건 집어삼켜서 다음 버전때 반영하면
별 문제 없을거 같은데요. 오히려 MS 에 날개를 하나 더 달아주는게 아닐까하는...
Re: 단, 한번의 드라이버 작성으로 이 드라이버가 모든 주요 OS
UDI란 것도 드라이버 인터페이스를 통일시켜서 한번의 작성으로
여러 OS에서 사용가능하도록 해주는 specification입니다..
근데 아직까지 지원하는 OS는 없는것 같습니다..
I2O란 것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비슷한 UDI경우에는..
OS 개발관련 뉴스그룹에서 보면 반응이 영 싱겁더군요...
왠지 그것도 그렇게 되지 않을지...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