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합니다.
"나도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지 않을 터이니, 너도 나에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지 말라."
이 말을 본 당신은 어떨지.. 반응을 이야기하려면 댓글을..
흠.. 농담이구요.. ^^;
저도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약간은 위험할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 말을 약간 다르게 해석한다면..
받는 만큼 주자. 혹은 모..주는 만큼 받자..
뭐.. 그럴 수도 있다고 판단되는대요. (아니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고.. 단순히 내게 많은 것을 바라지는 말아라. (그렇지만, 난 너에게 더 해줄 수도 있다.) 라면..
썩 나쁘지만은 않을 듯 싶지만. -.- (왜이렇게 말을 꼬냐?)
간단히 예를 들어보자면, 부모님과 자식간의 관계.. 연인관계의 경우는 이런 너무나 '객관적이고 공적인'생각은 너무 위험하죠.. ^^;;
제가 하고 싶은 것은 이말이었습니다.
사람은 때론 누군가의 바람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면서 성장하기도 하거든요..
Jennifer wrote.. 간단합니다. "나도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지 않을 터이니, 너도 나에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지 말라." 이 말을 본 당신은 어떨지.. 반응을 이야기하려면 댓글을..
사람마다 많다는 것의 정의가 틀리니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의사소통이 이상하게 될 가능성이 크겠지요... 말하는 사람은 열정도가 많다고 생각해서 다섯이면 좋다는 의미라도 듣는 사람이 다섯이 많다고 생각한다면 두 사람사 이에 문제가 생기겠지요...
가능하면 구체적이게 말하고 듣을 때 구체적인지 않다고 생각되면 항상 다시 질문을 하라고 하더군요... 특히 업무상의 일일때는 더더욱 그것을 확실히 해야 한다고 합니다.
본인이 어떤 이야기를 어떻게 하느냐가 아니라 듣는 사람이 어떻게 듣느냐가 중요하더군요. 대화에서 칼자루를 쥔 사람은 듣는 사람입니다.
이야기의 전달이 본인이 의도하는 효과의 30%만 전달되었다 하더라도 그 정도면 성공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말을 참 못하고 특히 분위기를 전혀 파악하지 않는 사람이라 이리저리 많이 박치기를 하죠.
Re: 너무 많은 댓글을 바라시는건 아니겠죠? --^
흠.. 농담이구요.. ^^;
저도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약간은 위험할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 말을 약간 다르게 해석한다면..
받는 만큼 주자. 혹은 모..주는 만큼 받자..
뭐.. 그럴 수도 있다고 판단되는대요. (아니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고.. 단순히 내게 많은 것을 바라지는 말아라.
(그렇지만, 난 너에게 더 해줄 수도 있다.) 라면..
썩 나쁘지만은 않을 듯 싶지만. -.- (왜이렇게 말을 꼬냐?)
간단히 예를 들어보자면, 부모님과 자식간의 관계..
연인관계의 경우는 이런 너무나 '객관적이고 공적인'생각은
너무 위험하죠.. ^^;;
제가 하고 싶은 것은 이말이었습니다.
사람은 때론 누군가의 바람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면서 성장하기도 하거든요..
Jennifer wrote..
간단합니다.
"나도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지 않을 터이니, 너도 나에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지 말라."
이 말을 본 당신은 어떨지.. 반응을 이야기하려면 댓글을..
Re: 사람마다 많은 것의 정의가 틀리지요...
사람마다 많다는 것의 정의가 틀리니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의사소통이
이상하게 될 가능성이 크겠지요... 말하는 사람은 열정도가 많다고 생각해서
다섯이면 좋다는 의미라도 듣는 사람이 다섯이 많다고 생각한다면 두 사람사
이에 문제가 생기겠지요...
가능하면 구체적이게 말하고 듣을 때 구체적인지 않다고 생각되면 항상
다시 질문을 하라고 하더군요... 특히 업무상의 일일때는 더더욱 그것을
확실히 해야 한다고 합니다.
결국은 듣는 사람이 듣고, 해석하고, 반응하죠.
본인이 어떤 이야기를 어떻게 하느냐가 아니라
듣는 사람이 어떻게 듣느냐가 중요하더군요.
대화에서 칼자루를 쥔 사람은 듣는 사람입니다.
이야기의 전달이 본인이 의도하는 효과의 30%만 전달되었다 하더라도
그 정도면 성공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말을 참 못하고 특히 분위기를 전혀 파악하지 않는 사람이라
이리저리 많이 박치기를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