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필터 설계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컴퓨터공학 학부 3학년 생으로 디지털 필터 설계(시뮬레이터 설계)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중입니다.
아직 DSP를 듣지 않아 베이스가 부족하기에, 설사 남는게 없더라도 따라해보기라도 해보자라는 마음으로 진행중에 있습니다.
현재 제 상황은 이러합니다. (프로젝트 기간은 9월 까지 입니다.)
1. FIR 필터 (LPF, HPF, BPF, BSF) 시뮬레이터 구현완료
2. IIR 필터 (LPF, HPF, BPF, BSF) 구현 중
3. 적응 필터, 격자 필터 구현 계획중
위와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DSP에 사용되는 제겐 익숙치 않은 개념들을 찬찬히 공부중입니다.
공부중에 궁금한 점이 두 가지 생겨 질문 올립니다.
Q1.
FIR 필터 설계시 (창 함수를 이용한 설계) FFT의 사용은 고속 컨벌루션에만 사용되는것이 맞나요?
실제로 DSP FIR 필터 관련책을 보면 FFT에 관한 내용이 굉장히 중요하게 나와있는데,
실제로 구현을 해보니 FFT를 사용할 부분이 고속 컨볼루션 이외에는 없었습니다.
Q2.
제가 설계한 FIR 필터는 cutoff 주파수가 주어질 경우 그 역할을 잘 수행합니다.
만약 cutoff가 주어지지 않는다면, 그럴 경우의 FILTER 설계는 어느 키워드를 참고해야하나요?
다시말해, Jamming 신호의 주파수를 모를 경우 Anti-Jamming을 수행할 cutoff를 찾는 과정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답변 기다립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