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도데체 무슨 생각으로??!?!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나도 이제 막가기 시작하는 듯한.. 쩌비..
윈 2000과 멀티 부팅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음냐리.. 문제는 하드디스크 인듯한데..
내가 알고 있는 방법을 총동원 하여도..
윈도그만 부팅이 되고 리눅이는 왜 부팅이 안되는지..
웬만한 배포판을 다깔아 보았을꺼여~~
아무리 생각해도 LILO의 문제인듯한데..
참나.. 왜 나한데만 이상한 반응을 보이는 것인쥐~~ 떱..

첨에 리눅스 깔고.. 물론 hdb에 리눅이를 까뢌지..
lilo역쉬 hdb의 /파티션으로 하고..
리눅이 부트이미쥐 만드러서 윈도그로 부팅한 다음 복사해넣고..
Boot.ini를 수정했쥐..
다 돼었다는 생각으로 리부팅.. 떱..
아~ 이게 글쎄..

MBR
L
L
L
L
L
.
.
.

머 이렇게 되던가.. 흠.. 기억이.. 에궁.. 벌씨로 기억력 안조아서큰일이당.
그래서.. 전에 쓰던 방법인 하드디스크 붙였다 떼었다 하면서
써야만 하는 것인가를 고민하다가..
CMOS 설정을 하다가 갑자기 뭔가 좋은 방법이 떠올랐습죠..
그러니까 보통은 A/C/CDROM/SCSI.. 머 이런식으로 부트설정하는 것이 있죠..
여기 보니까 D,E,F로 부팅이 가능하더군요..
제조사를 알수 없는 맨보드였는데.. 이런기능이 있다는 것은 첨알았죠..
그래서 리눅이를 D로 깔아서 부팅을 해보았는데.. 쩝..
역쉬나 똑같은 메세지를..
그래서 C로 설정하고 깐뒤에.. 다시 D로 부팅..
결과는 같은 메세지를...
그래서 윈도그가 깔린 하드디스크를 D로 잡고 부팅해보았죠..
그러니 잘되더구만요..
그래서 리눅이를 C드라이브에 설치하고 윈도그는 원래 설치돼어 있던것을 그냥
슬래이브로 잡아서 D로 하고..
재미있는 것은 D로 부팅을 하게 되니까..
C드라이브로 설정했던 하드디스크가 CDROM드라이브(E)다음인 F드라이브로 잡히더구만요.
물론 드라이브만 보이는 것이었죠..
그래서 윈도그에서는 장치사용안함으로 바꾸고..
그러니 원래 사용하는것 처럼 되더만.. 쩝.

그래서 알려진 방법이 아닌 조금 색다른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쩝.. 조금 불편하긴하지만.. 뭐 운영체제를 다른 것으로 부팅하려면
무조건 CMOS에서 설정을 바꿔 부팅해야 하니깐..
지금 당장은 하드디스크를 바꿔가면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에서 만족하고 이뜸..
이긍.. 컴을 바꾸던지 해야지.. 떱.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웹브라우징 해 볼려구 했는데...

케이블을 안 들구 왔습니다. ㅡ.ㅡ

아까는....

리눅스 부팅 안된다구 궁시렁거렸는데... ^^

부팅되더라도.. 못하겠더군요. 힛~

왜 이러는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