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에서는 모뎀을 써서 접속을 하게될것 같은데
혹시 ADSL같은 정액제 고속 인터넷 서비스는 신청 비용과
월 사용 비용이 어느정도 되는지, 속도는 어떤지, 6개월 정도만
사용하고 바로 해지가 가능한 건지,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지
궁금하군요. 안되면 뭐 모뎀으로 접속해야겠지만....
전 엘에이에 사는데염......
케이블 모뎀 써요......전......
그게 한달에 47불 하죠.
DSL하면 보통 3년계약 해야하기 때문에....... 그거 계약깨면 벌금 900불인가..
-_-;;
Road Runner는 매달마다 새로 하는거라서 계약이 필요없죠.
케이블모뎀은 지네들이 달아주궁.....
근데 시에틀이 어디지.....-_-;;
Road Runner가 거기까지 가진 않겠죠.......-_-;;
하여튼 보통 high speed internet access할려면 한달에 50불 정도 잡아야 될꺼에염..
속도는.......최고가 250 정도.......
한국에 비해서 느리져............
안녕하십니까 제가 현재 미국에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동부쪽 워싱턴 근교에 있기떔에 뵙기는 힘들거 같고
저는 2월3일에 여기에 도착했는데요
한국에 있을떄 가끔 여기에 들어와서 글도 쓰고 도움도 받고 했습니다.
알아두실점은요 그리고 아래사항은 미국은 워낙 땅덩어리가 넓고 지방자치가
발달해서 제가 말씀드리는 것이 자신이 가는 그지역에서는 해당안될수도 있슴을
명심하세요
첫째 미국은 자기차 없으면 완전히 병신된다 입니다
이걸 해결하는 방법은요 렌트카를 빌리는 방법하고 직접차를 사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런데 렌트카를 빌리려면 운전면허증이 있어야 되는데 제경우에 작년에 여행왔을떄
한국운전면허증은 집에 놔두고 국제면허증이란것만 달랑 들고 왔는데
문제는 그면허증이란게 커서 엄청불편하고 성의 없이 만들어서 정말 보기 싫습니다
각설하고 한국사람들은 국제운전면허증이니 이것만 있으면 되겠지 해서 렌트카업체에
가보면 국제운전면허증 표지에 permit 라고 영어로 적혀있습니다. 이걸 빌미로
이곳에 사는 인간들은 이건 driver license 가 아니고 단지 permit 이니까
한국 운전면허증을 보자고 요구합니다, 가끔은 몇번봐서 안면이 있다거나 실수로
이걸 보자고 안하고 단지 여권하고 국제운전면허증만 보고 차를 내어주는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차를 더사용하고 싶어서 가면 다른 담당자가 있으면 꽝됩니다. 그러니
한국 면허증과 국제운전면허증을 꼭 같이 가지고 가야됩니다. 철저한 원칙주의자들과
단순무식한 친구들이 많으니 조심하시기 바라며 이걸 해결 하는 방법으로는현지의
운전 면허증을 취득하는 방법이 있는데 6개월정도 머무르실 거면 현지면허증을
취득하고 중고차를 하나 장만 하시는것이 정신적 육체적으로 덜피곤합니다
현지면허증 취득방법과 길을 찾는 방법은 이멜주시면 정확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우선 와서 호텔이나 인같은데 묵으실거면
시리얼포트가 있는 노트북 필수로 가지고 오셔서 프론트에 비즈니스로 인터넷 쓸거다고
미리 말해주셔야 합니다 전화선 있다고 다 모뎀 쓸수 있는게 아니고
미리 말해줘야 그런 방으로 주는 곳도 있습니다.
그리고 꼭 시리얼 포트가 있는 노트북을 가지고 와야 나중에 길찾을때 써먹을
GPS를 사용할수가 있습니다, 모든 장비를 싸게 구입하는 방법과 머 다른 질문 있으시면
제가 가능한 한 도와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미국은 같은 체인점이라도 지역이 다르면
가격이 다틀립니다. 시애틀쪽에 아시는 분이 있기는 한데 도움을 주실런지 모르겠군요
한다리 건너니까, 혹시 워싱턴이나 버지니아 쪽으로 오시면 제가 비행장에 마중나가
드릴수는 있는데 Dulles Int'l Airport 하고 아주 가깝거던요.
그럼 이만 줄입니다.
용기를 가지시기 바랍니다
저는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 살고 있습니다. 저는 ISDN, ADSL, Cable 을
쓰고 있는데 각 가격대는 아래와 같습니다.
1) ISDN
설마 ISDN을 쓰시지는 않겠죠? 사양 산업이라 그런지 서비스 엉망 입니다.
일단 여기에 들어간 가격은
a. router 비 - 600불 (1회)
b. 회선 설치비 - 100불 (1회)
c. 매달 - 40불
d. 매 통화당 - 3 cents
위 ISDN은 ADSL, Cable 이 안되는 지역에서만 쓰시기 바랍니다.
매 통화당 3 센트.. 이거 주의하십시오. 통화가 안되면 지가 알아서
계속 연결을 시도해 전화비만 200불이 넘게 나온 적이 있습니다.
2) ADSL
미국이 ADSL 서비스가 초창기라서 그런지 무척 서비스가 안좋습니다.
서비스 중단이 자주 일어납니다. 속도는 그래도 Cable 보다는 빠른 편입니다.
우리나라 ADSL이 그립군요. 장점은 서비스에 따라 다르지만 한컴에 5대까지도
연결해서 쓸 수 있습니다.
a. router 비 - 450불 (1회)
b. 회선 설치비 - 150불 (1회)
c. 매달 - $43.95 (컴 1대)
$63.95 (multiple users & dynamic IP)
$93.95 (multiple users & static IP)
메신저 서비스의 파일 주고 받기 서비스라던지 인터넷을 사용한 국제 전화
등은 dynamic IP에선 되지 않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dynamic IP란 동적
아이피가 아니라 192.168.0.x 같은 IP를 말함. 여기선 특정 포트를 못열기
때문에 인터넷 전화라던지 파일 주고 받기가 안되는거 같네요.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static IP는 우리가 원래 알고 있는 dynamic IP,
즉 IP는 계속 바뀌지만 한 컴퓨터에서 이 IP를 독점해서 사용한다는 말이죠.
ADSL 서비스가 되는 곳이 있고 안되는 곳이 있으니 혹시 zip 우편번호 알고
계시면 미리 자기가 살 지역에 ADSL 이 가능한지 살펴보는게 좋을 겁니다.
미국에 ADSL 서비스를 하는 곳은 여러 곳이 있으니 미리 홈페이지 등에서
살펴 보고 가세요. zip 을 누르면 그 곳에 ADSL이 가능한지 나오니깐요.
3) Cable
ADSL보다 속도가 약간 느리지만 가장 권유되는 서비스 입니다. 보통 장비비를
받지 않아요. 보통 mediaone 에서 서비스를 하는데. 요샌 at&t 랑 합병해서
roadrunner comcast 라는 상품명으로 판매가 됩니다. 미리 www.mediaone.com
등과 같은 업체 홈페이지에 가서 확인을 해 보세요. 물론 각 지역별로 업체는
다 틀립니다.
a. cable modem 비 없음
b. 설치비 $10 (1회)
c. 매달 $40
d. 컴터 한대 추가 $10/PC (물론 허브는 자신이 구입해야 한다. 허브 19불 정도)
4) dial-up modem
흠. 최악의 상황이죠. 모뎀.. 여기 다른 분들이 계정 빌려 준다는 분 많으니깐
미리 다른 분들한테 받아 가시면 될거구요.. 근데 전화비가 상당히 비쌈.
제가 예전에 미국 온 초창기때 멋도 모르고 밤새도록 전화 연결해서 쓰고
그랬는데.. 200불 넘게 나온 적도 있어요. 전화비만..
의문 사항 있으면 연락 주세요. 위의 정보들은 제가 1년 동안 겪은 서비스의
결과이므로, 현재와는 가격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지역별로도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서비스 업체 자체가 지역별로 다르니깐.) 미리 홈피 등을 방문해서
알아보고 가시면 좋겠네요.
안녕하십니까 바로 아래에 글을 올린 사람입니다
미시간주 디트로이트면 제가 있는곳 하고 그리멀지 않은 편이군요
미친척하고 밤낮으로 차몰고 가면 도착하겠군요 ^^
제가 제글에서 밝힌데로 미국은 지역차가 너무크다는 겁니다
김선일씨 께서 말씀하신 내용이 정확하다고 봅니다
그런데 제가 있는 버지니아에선 다른것이
전화는 한달에 40불 정도면 로컬콜은 언리밋입니다
즉 한국식으로 하면 시내통화는 무제한 이란 말이죠
ISP 의 접속번호가 로컬이면 걍 40불 내고 전화비 신경 안쓰고 쓴다는
말이죠, 물론 장거리 전화는 다릅니다 대게 전화카드를 사서 쓰죠
여긴 한국통신에서 파는 전화카드를 한국인 업체에서 재판매 하는게 젤 쌉니다
첨에 모르고 AT&T 나 Sprint것을 사서 쓰다가 넘 비싸서 놀란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거기다 ISP 사용료를 또 10-20불정도 줘야되죠
그리고 DSL은 지역에 따라 안되는 데가 많고 여기선 한국서 쓰는 Efficeint
USB DSL 모뎀을 사용하는 DSL 써비스를 본적이 있습니다
속도는 하나로 통신의 ADSL Lite 정도이고 대개가 한국에 비교해서 느립니다
그외 Business DSL 이라고 300-400불 정도 주는 서비스가 있는데
이건 상향하향이 속도가 같습니다 한국식으로 말하는 공인IP도 여러개 내어줍니다.
속도는 300-400kbps 되는것 같습니다. 이것도 안되는 지역이 많습니다
그나마 그중 나은거는 김선일씨 께서 말씀하신 Roadrunner 라는 건데
지역마다 회사는 틀리지만 Comcast 라는 이름으로 여기선 워싱턴디씨
바로 근교인 알렉산드리아에서 서비스 하는데 한달에 29불이고
최대 2.88Mbps 다운스피드를 보장한다고 광고하고 있습니다.
동생 친구가 쓰고 있는데 실지로 이근방에서 본 것 중에는 젤 빠릅니다
또 ISDN 하고 디렉피씨나 아니면 마소에서 하는 위성 인터넷 써비스가 있는데
이것 말만 잘하면 설치는 공짜로 해주지만 제가 고생한거 생각하면 권하고
싶지 않고 비용도 무지 비싸게 듭니다.
마지막으로 Leased Line 즉 전용선 써비스가 있는데
제가 있는 지역에선 uunet 란 회사걸 씁니다 이회사는 글로벌 한거니
아마 seattle 에서도 될겁니다. 한국의 전용선이랑 같은거니
비용은 800-1200불정도 드는데 1200불정도 주면 라우터를 그냥 빌려줍니다
제가 본거는 CIsco 2610인데 이건 신형이라 T1 DSU Module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긴 미국이라 E1 E3 같은 유럽식 규격은 잘 쓰지 않죠
이 라우터는 일년이상 이 써비스를 이용하면 자기것이 된다고 하는데
비용으로 보아 충분히 그럴만 하죠 T1이니 1.544Mbps 라도 속도는 상당하죠
그런데 한국이랑 연결하려면 Bottle neck 땜에
아마 한국의 케이블이나 DSL에서 접속하는 기분이 듭니다.
젤 권장할만한것은 케이블모뎀중 Comcast 라는 것이지만 가끔씪 엄청
느려질때가 있고
DSL(여기서는 ADSL 이라고 부르지 않음)은 지역에 따라 편차가 심합니다
전화선을 이용하기 땜에 미국에는 불리하죠 너무 넓어서
서비스 안되는 지역이 많고
우선 무엇보다 마음을 비우시라는 겁니다
한국이 현재 제가 알기로는 인터넷평균 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한국에서의 속도 생각하시고 여기오시면 안됩니다
미국애들은 안믿지만 한국은 다운 속도가 엄청빠르죠
심지어 케이블 모뎀에서의 업속도도 장난아니죠
미국에 비하면 그리고 케이블 모뎀 컴퍼니 중에서는
그냥 T1 라인 하나정도 ISP 로부터 받아서 500명 이상에게 NAT로
공급하는 엽기적인 넘들도 있습니다 그나마 다운만 케이블이고
업은 다이얼업 모뎀으로 합니다 (제가 사는곳에 있습니다)
아마 seattle 은 사정이 낫겠죠.
모든것은 운에 달렸습니다
그리고 중요한건 자기가 직접 미국현지에 와서 격어 봐야 한다는 거죠
제가 말하는 거나 김선일씨가 말씀하시는 거나 장님 코끼리 다리 만지기정도가
될수 있습니다.
추가...
출국하기 전에 그동안 보내주셨던 자료들은 모두 등록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10개 정도(좀 더되나??) 밀려 있는데 출국 전에
등록작업을 마무리 짓도록 하지요.
출국하고 나면 아마 얼마동안은 이곳에 들어오기도 쉽지 않을것
같습니다. 그곳에서의 생활이 어느정도 정리가 되고 나면 다시 kldp
관리 작업에 복귀하도록 하겠습니다.
드뎌 떠나시는 군요.
하이텔 리동을 통해 대략
듣기는 했었지만.
드뎌 떠나시는 군요.
결혼도 하시고 하셔서
그리고 개인적으로도
그런 결정을 내리기가
쉽지는 않으셨을텐데.
대한민국의 모든 PC 사용자들을
위해서 떠나시다니.
저같은 미천한 입장에서는
감사드릴뿐입니다.
부디 가셔서.
사악한 술수를 쓰는 MS마계와 결판을
짓고, 다시 평안한 PC 계를 만들어 주소서.
이 땅의 독보지존인 염장마제의
진정한 강함을 보여주소서.
그럼 꼭 승리하시길.~
Re: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떠~~~~
캡뷰티님은 같이 가시나요?
만약 혼자 가신다면 이건 배신인데....배신...
하여간 잘 갔다 오시구여...
재미있으시겠네요...
Re: 역시나 이거였구나....
적수에게 언듯 듣긴 했어도.. 설마 했는데....
몸건강하구~
이국땅에서 울지말구..
에구..할말은 많은데.. 정작 키보드는 안두두려 지네.. 쩝....
Re: ?.?
무슨 일로 미국에 가시는걸까?.?
라지만 유성형이 지금 미국에 있긴 할텐데
날짜가 안 맞으려나요...
여튼, 아이론님이 무슨 일인지 아는거 같던데
궁금하네요^^;
반년이라면.. 좀 긴 세월이네요.
잘 다녀와요^^
__
SOrCErEr
Re^2: ?.?
으음.
염장마제로서.
사악한 MS 의 무리들을 점령하러
MS 본사인 시애틀로
가신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후다닥
Re^3: ?.?
그러고보니..
시애틀...
지진 조심해야 할 곳일지도..
풀썩;
__
SOrCErEr
Re: 다시 초자아 컴퓨터의 관리로 넘어가는가..
순선아저씨 잘다녀오세요..^^
몸건강히.. 헤헤..^^
초자아컴퓨터 무서운데... -_-;
Re: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몸건강히 잘 다녀 오세요....
첫 화면에 얼만 안 있으면이.. 이걸 말하는거였나요???
암튼간에 몸건강하시고 가시고자 하는 일 잘 하시길 바랍니다..
Re: 흠.. 가기전에..
유부클럽은 안하구 갈건가요?
캡뷰티는 같이 안갑니다. (냉무)
돈벌어야 하거든요...
Re: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잘 다녀오세요!! (X)
^^;;
모든게 잘 되시길..
Re: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무사히 잘다녀오시길..
미국 나도 가고 싶다.......
Re: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미국선 고딩들만 조심하면 될겁니다.
총을 갈겨대니까요...
Re: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그럼 데비안 시디는 더 안만들어 지는 건가요?
전 2.3나오면 신청하려고 했는데
2.2이라도 지금 신청하면 되는건가요?
Re: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저요
저 미국있습니다.
노트북 있으시면 여기서도 계속 관리 가능하실 것입니다.
시에틀에서는 조금 떨어진 산호세 지역에 있지만
도움드릴수 있습니다.
저는 ISP로 earthlink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시면 가입하지 마시고 제것을 사용하세요. 전 학교/회사에서 인터넷
많이 하는 관계로 별로 사용하지 않는답니다.
한푼의 외화라도 아껴야지요.
메일이나 전화 주세요. 도움드리겠습니다.
김성훈 hunkim@kebi.com
1-831-423-8550
Re^2: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Debian의 성격상 2.3(woody)는 아마도 올해 중순이 훨씬 넘어서야
겨우 릴리즈가 될까말까 할 것입니다.
가능한 한 Debian CD는 계속해서 제작을 할 것입니다.
굳이 제가 한국에 없다고 해서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걱정 마십시오.
Re^2: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저요
후~ 감사합니다. 꼭 연락 드리지요. -)
그곳에서는 모뎀을 써서 접속을 하게될것 같은데
혹시 ADSL같은 정액제 고속 인터넷 서비스는 신청 비용과
월 사용 비용이 어느정도 되는지, 속도는 어떤지, 6개월 정도만
사용하고 바로 해지가 가능한 건지,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지
궁금하군요. 안되면 뭐 모뎀으로 접속해야겠지만....
아마 견디기 힘들것 같군요. -)
Re: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어이 순선이 미국가는구만..
가기전에 집들이도 하고 술도 사고 그래야할텐데 말이지..
쓸데없는 댓글 달았다고 배꼽친구 글을 짜르진 않겠지^^;
연락 꼭 해라..
Re^2: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어 안그래도 지금 전화할라고 그랬는데....
내일 태호랑 유성이(연락이 직접 안돼서 메모만 남겼다)랑
강남역에서 만나기로 했다. 웬만하면 같이 만나지뭐.
쫌있다가 전화하마. -)
Re^3: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저요
전 엘에이에 사는데염......
케이블 모뎀 써요......전......
그게 한달에 47불 하죠.
DSL하면 보통 3년계약 해야하기 때문에....... 그거 계약깨면 벌금 900불인가..
-_-;;
Road Runner는 매달마다 새로 하는거라서 계약이 필요없죠.
케이블모뎀은 지네들이 달아주궁.....
근데 시에틀이 어디지.....-_-;;
Road Runner가 거기까지 가진 않겠죠.......-_-;;
하여튼 보통 high speed internet access할려면 한달에 50불 정도 잡아야 될꺼에염..
속도는.......최고가 250 정도.......
한국에 비해서 느리져............
오호홋 순선형 1년에 한번씩 배신때리넹 :)
작년엔 제주도
올핸 미국^^?
캡뷰티님 바가지 팍팍~~
긁으시옵소서 )
Re: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미국에서 kldp 와 리눅스를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안타깝군요...
캘리포니아로 오신다면 한번 뵙고싶은데...
시에틀이라서....
혹 캘리포니아로 올 기회가 있으시면 연락 주세요....
khj524@hanmail.net 입니다.
Re: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안녕하십니까 제가 현재 미국에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동부쪽 워싱턴 근교에 있기떔에 뵙기는 힘들거 같고
저는 2월3일에 여기에 도착했는데요
한국에 있을떄 가끔 여기에 들어와서 글도 쓰고 도움도 받고 했습니다.
알아두실점은요 그리고 아래사항은 미국은 워낙 땅덩어리가 넓고 지방자치가
발달해서 제가 말씀드리는 것이 자신이 가는 그지역에서는 해당안될수도 있슴을
명심하세요
첫째 미국은 자기차 없으면 완전히 병신된다 입니다
이걸 해결하는 방법은요 렌트카를 빌리는 방법하고 직접차를 사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런데 렌트카를 빌리려면 운전면허증이 있어야 되는데 제경우에 작년에 여행왔을떄
한국운전면허증은 집에 놔두고 국제면허증이란것만 달랑 들고 왔는데
문제는 그면허증이란게 커서 엄청불편하고 성의 없이 만들어서 정말 보기 싫습니다
각설하고 한국사람들은 국제운전면허증이니 이것만 있으면 되겠지 해서 렌트카업체에
가보면 국제운전면허증 표지에 permit 라고 영어로 적혀있습니다. 이걸 빌미로
이곳에 사는 인간들은 이건 driver license 가 아니고 단지 permit 이니까
한국 운전면허증을 보자고 요구합니다, 가끔은 몇번봐서 안면이 있다거나 실수로
이걸 보자고 안하고 단지 여권하고 국제운전면허증만 보고 차를 내어주는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차를 더사용하고 싶어서 가면 다른 담당자가 있으면 꽝됩니다. 그러니
한국 면허증과 국제운전면허증을 꼭 같이 가지고 가야됩니다. 철저한 원칙주의자들과
단순무식한 친구들이 많으니 조심하시기 바라며 이걸 해결 하는 방법으로는현지의
운전 면허증을 취득하는 방법이 있는데 6개월정도 머무르실 거면 현지면허증을
취득하고 중고차를 하나 장만 하시는것이 정신적 육체적으로 덜피곤합니다
현지면허증 취득방법과 길을 찾는 방법은 이멜주시면 정확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우선 와서 호텔이나 인같은데 묵으실거면
시리얼포트가 있는 노트북 필수로 가지고 오셔서 프론트에 비즈니스로 인터넷 쓸거다고
미리 말해주셔야 합니다 전화선 있다고 다 모뎀 쓸수 있는게 아니고
미리 말해줘야 그런 방으로 주는 곳도 있습니다.
그리고 꼭 시리얼 포트가 있는 노트북을 가지고 와야 나중에 길찾을때 써먹을
GPS를 사용할수가 있습니다, 모든 장비를 싸게 구입하는 방법과 머 다른 질문 있으시면
제가 가능한 한 도와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미국은 같은 체인점이라도 지역이 다르면
가격이 다틀립니다. 시애틀쪽에 아시는 분이 있기는 한데 도움을 주실런지 모르겠군요
한다리 건너니까, 혹시 워싱턴이나 버지니아 쪽으로 오시면 제가 비행장에 마중나가
드릴수는 있는데 Dulles Int'l Airport 하고 아주 가깝거던요.
그럼 이만 줄입니다.
용기를 가지시기 바랍니다
- 미국와서 제코가 석자나 빠지고 모뎀으로 인터넷 하는 사람이 -
티셔츠 등은 어떻게 되는 겁니까?
안녕하세요?
티셔츠를 살려고 맘만 먹고 지금까지 미뤄왔는데..쩝
순선님께서 미국가시면 그 동안 티셔츠 사업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미국가셔서 님께서 하신 일이 만사형통되시길 빕니다...
화이팅!!
Re^3: 티셔츠 등은 어떻게 되는 겁니까?
그건 아무 상관 없습니다.
예전에 신청을 해보신 분들중 몇몇은 아시겠지만
제가 직접 발송을 하는게 아니라 저희 어머님께서 발송을
하시기 때문에 제가 한국에 있든 미국에 있든 상관없이
계속 됩니다.
Re: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 미국 인터넷 사용비
저는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 살고 있습니다. 저는 ISDN, ADSL, Cable 을
쓰고 있는데 각 가격대는 아래와 같습니다.
1) ISDN
설마 ISDN을 쓰시지는 않겠죠? 사양 산업이라 그런지 서비스 엉망 입니다.
일단 여기에 들어간 가격은
a. router 비 - 600불 (1회)
b. 회선 설치비 - 100불 (1회)
c. 매달 - 40불
d. 매 통화당 - 3 cents
위 ISDN은 ADSL, Cable 이 안되는 지역에서만 쓰시기 바랍니다.
매 통화당 3 센트.. 이거 주의하십시오. 통화가 안되면 지가 알아서
계속 연결을 시도해 전화비만 200불이 넘게 나온 적이 있습니다.
2) ADSL
미국이 ADSL 서비스가 초창기라서 그런지 무척 서비스가 안좋습니다.
서비스 중단이 자주 일어납니다. 속도는 그래도 Cable 보다는 빠른 편입니다.
우리나라 ADSL이 그립군요. 장점은 서비스에 따라 다르지만 한컴에 5대까지도
연결해서 쓸 수 있습니다.
a. router 비 - 450불 (1회)
b. 회선 설치비 - 150불 (1회)
c. 매달 - $43.95 (컴 1대)
$63.95 (multiple users & dynamic IP)
$93.95 (multiple users & static IP)
메신저 서비스의 파일 주고 받기 서비스라던지 인터넷을 사용한 국제 전화
등은 dynamic IP에선 되지 않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dynamic IP란 동적
아이피가 아니라 192.168.0.x 같은 IP를 말함. 여기선 특정 포트를 못열기
때문에 인터넷 전화라던지 파일 주고 받기가 안되는거 같네요.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static IP는 우리가 원래 알고 있는 dynamic IP,
즉 IP는 계속 바뀌지만 한 컴퓨터에서 이 IP를 독점해서 사용한다는 말이죠.
ADSL 서비스가 되는 곳이 있고 안되는 곳이 있으니 혹시 zip 우편번호 알고
계시면 미리 자기가 살 지역에 ADSL 이 가능한지 살펴보는게 좋을 겁니다.
미국에 ADSL 서비스를 하는 곳은 여러 곳이 있으니 미리 홈페이지 등에서
살펴 보고 가세요. zip 을 누르면 그 곳에 ADSL이 가능한지 나오니깐요.
3) Cable
ADSL보다 속도가 약간 느리지만 가장 권유되는 서비스 입니다. 보통 장비비를
받지 않아요. 보통 mediaone 에서 서비스를 하는데. 요샌 at&t 랑 합병해서
roadrunner comcast 라는 상품명으로 판매가 됩니다. 미리 www.mediaone.com
등과 같은 업체 홈페이지에 가서 확인을 해 보세요. 물론 각 지역별로 업체는
다 틀립니다.
a. cable modem 비 없음
b. 설치비 $10 (1회)
c. 매달 $40
d. 컴터 한대 추가 $10/PC (물론 허브는 자신이 구입해야 한다. 허브 19불 정도)
4) dial-up modem
흠. 최악의 상황이죠. 모뎀.. 여기 다른 분들이 계정 빌려 준다는 분 많으니깐
미리 다른 분들한테 받아 가시면 될거구요.. 근데 전화비가 상당히 비쌈.
제가 예전에 미국 온 초창기때 멋도 모르고 밤새도록 전화 연결해서 쓰고
그랬는데.. 200불 넘게 나온 적도 있어요. 전화비만..
의문 사항 있으면 연락 주세요. 위의 정보들은 제가 1년 동안 겪은 서비스의
결과이므로, 현재와는 가격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지역별로도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서비스 업체 자체가 지역별로 다르니깐.) 미리 홈피 등을 방문해서
알아보고 가시면 좋겠네요.
그럼 잘 갔다 오세요.
Re^2: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 미국 인터넷 사용비
제가 가장 궁금하게 생각하고 있는 부분을 잘 짚어 주셨네요. -)
자세한것은 거기 가서 또 제가 글을 올리지요.
감사~~
Re^2: 혹시 미국에 계시는분? - 미국 인터넷 사용비
안녕하십니까 바로 아래에 글을 올린 사람입니다
미시간주 디트로이트면 제가 있는곳 하고 그리멀지 않은 편이군요
미친척하고 밤낮으로 차몰고 가면 도착하겠군요 ^^
제가 제글에서 밝힌데로 미국은 지역차가 너무크다는 겁니다
김선일씨 께서 말씀하신 내용이 정확하다고 봅니다
그런데 제가 있는 버지니아에선 다른것이
전화는 한달에 40불 정도면 로컬콜은 언리밋입니다
즉 한국식으로 하면 시내통화는 무제한 이란 말이죠
ISP 의 접속번호가 로컬이면 걍 40불 내고 전화비 신경 안쓰고 쓴다는
말이죠, 물론 장거리 전화는 다릅니다 대게 전화카드를 사서 쓰죠
여긴 한국통신에서 파는 전화카드를 한국인 업체에서 재판매 하는게 젤 쌉니다
첨에 모르고 AT&T 나 Sprint것을 사서 쓰다가 넘 비싸서 놀란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거기다 ISP 사용료를 또 10-20불정도 줘야되죠
그리고 DSL은 지역에 따라 안되는 데가 많고 여기선 한국서 쓰는 Efficeint
USB DSL 모뎀을 사용하는 DSL 써비스를 본적이 있습니다
속도는 하나로 통신의 ADSL Lite 정도이고 대개가 한국에 비교해서 느립니다
그외 Business DSL 이라고 300-400불 정도 주는 서비스가 있는데
이건 상향하향이 속도가 같습니다 한국식으로 말하는 공인IP도 여러개 내어줍니다.
속도는 300-400kbps 되는것 같습니다. 이것도 안되는 지역이 많습니다
그나마 그중 나은거는 김선일씨 께서 말씀하신 Roadrunner 라는 건데
지역마다 회사는 틀리지만 Comcast 라는 이름으로 여기선 워싱턴디씨
바로 근교인 알렉산드리아에서 서비스 하는데 한달에 29불이고
최대 2.88Mbps 다운스피드를 보장한다고 광고하고 있습니다.
동생 친구가 쓰고 있는데 실지로 이근방에서 본 것 중에는 젤 빠릅니다
또 ISDN 하고 디렉피씨나 아니면 마소에서 하는 위성 인터넷 써비스가 있는데
이것 말만 잘하면 설치는 공짜로 해주지만 제가 고생한거 생각하면 권하고
싶지 않고 비용도 무지 비싸게 듭니다.
마지막으로 Leased Line 즉 전용선 써비스가 있는데
제가 있는 지역에선 uunet 란 회사걸 씁니다 이회사는 글로벌 한거니
아마 seattle 에서도 될겁니다. 한국의 전용선이랑 같은거니
비용은 800-1200불정도 드는데 1200불정도 주면 라우터를 그냥 빌려줍니다
제가 본거는 CIsco 2610인데 이건 신형이라 T1 DSU Module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긴 미국이라 E1 E3 같은 유럽식 규격은 잘 쓰지 않죠
이 라우터는 일년이상 이 써비스를 이용하면 자기것이 된다고 하는데
비용으로 보아 충분히 그럴만 하죠 T1이니 1.544Mbps 라도 속도는 상당하죠
그런데 한국이랑 연결하려면 Bottle neck 땜에
아마 한국의 케이블이나 DSL에서 접속하는 기분이 듭니다.
젤 권장할만한것은 케이블모뎀중 Comcast 라는 것이지만 가끔씪 엄청
느려질때가 있고
DSL(여기서는 ADSL 이라고 부르지 않음)은 지역에 따라 편차가 심합니다
전화선을 이용하기 땜에 미국에는 불리하죠 너무 넓어서
서비스 안되는 지역이 많고
우선 무엇보다 마음을 비우시라는 겁니다
한국이 현재 제가 알기로는 인터넷평균 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한국에서의 속도 생각하시고 여기오시면 안됩니다
미국애들은 안믿지만 한국은 다운 속도가 엄청빠르죠
심지어 케이블 모뎀에서의 업속도도 장난아니죠
미국에 비하면 그리고 케이블 모뎀 컴퍼니 중에서는
그냥 T1 라인 하나정도 ISP 로부터 받아서 500명 이상에게 NAT로
공급하는 엽기적인 넘들도 있습니다 그나마 다운만 케이블이고
업은 다이얼업 모뎀으로 합니다 (제가 사는곳에 있습니다)
아마 seattle 은 사정이 낫겠죠.
모든것은 운에 달렸습니다
그리고 중요한건 자기가 직접 미국현지에 와서 격어 봐야 한다는 거죠
제가 말하는 거나 김선일씨가 말씀하시는 거나 장님 코끼리 다리 만지기정도가
될수 있습니다.
건강하게 잘 다녀요시길 _냉무
_
Re^2: 다시 초자아 컴퓨터의 관리로 넘어가는가..
호~!
그럼 그 컴이 다시 언제처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