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대의 dd-wrt에서 한대에서 dhcp로 다른 녀석까지 관리하려고 합니다.
WNDR3700(192.168.1.1)과 DIR-825(192.168.1.2) 두놈이 있는데 둘다 dd-wrt를 올린 상태입니다.
두 라우터를 그대로 연결하면 당연하게도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 동작을 하는데요.
그래서 825에 접속된 클라이언트는 825의 dhcp로부터 다시 사설아이피를 부여받기 때문에 370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에 접근이 안됩니다.
또 825의 SSID에 접속한 클라이언트도 자리를 옮겨가면 3700으로 다시 연결을 해야하구요.
두 라우터를 하나로 합치려고 검색을 하니 WDS를 하라는 글도 있었으나 분배함을 만져놓아서 두 대가 유선으로 연결이 가능한데 굳이 무선으로 손해를 볼 이유는 없을거 같은데요.
825를 스위치로 동작하게끔 (http://www.dd-wrt.com/wiki/index.php/Switch) 설정을 해보기도 하고 dhcp client나 forwarder로 3700의 아이피를 입력해보니 스위치로 설정을 하면 연결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오지만 825 바깥으로 나가지를 못하고(3700 접속 페이지 조차..)
client나 forwarder의 ip에 3700의 아이피를 넣어주면 아예 825이후로는 접속이 안되는 것으로 나옵니다.(아이피도 dhcp동작이 안되어 수동으로 설정해야합니다.)
아무래도 제가 영어를 잘못해석해서 용도 자체를 잘못알고 시도한거 같습니다만..
네트워크는 분배함에 WAN으로 들어오는 것을 따서 3700의 WAN에 물리고 각 라우터나 홈허브쪽 단자를 연결해서 3700의 LAN에 물린 상태입니다.
3700아래로 825와 기타 허브나 NAS와 같은 다른 장비가 쭉 물려있구요.
다른 장비간에는 서로 연결이 잘 되지만 825로 연결된 개인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은 3700에 물린 NAS나 웹서버같은 곳에 접근이 안되고 있습니다.
중앙의 라우터에서 하위에 물린 라우터에(스위치 모드와 같이) 연결된 클라이언트들의 ip를 관리하게 할 수는 없는건가요??
첨부 | 파일 크기 |
---|---|
![]() | 71.37 KB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