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nect() 함수에 대해서 non-block 후.. 다중으로 발생되는 SYN_SENT (winsock2)
connect() 함수에 대해서 timeout이 필요해서...
소켓에 대해서 non-block으로 변환을 한 후... (ioctlsocket() 이용)
connect() 함수를 호출 한 후...
그 후 select에 대해서 write-set에 해당 소켓 매핑수행
timeout 처리 후... timeout이 발생한 한 경우에 closesocket() 수행!~ (3초 타임아웃)
그 후.. 위의 과정을 재개합니다.
이때 SYN_SENT가 6개정도 생깁니다.
물론 서버와 연결이 되는 경우에 SYN_SENT는 사라지고.. EST 상태로 변경이 됩니다.
==> 위에 부분은 소소한 문제점이구요...
가장 큰 의문점은...
서버측에서 패킷을 덤프했을때...
클라이언트 SERVER
S ----->
<---- SYNACK
----> ACK
----> RSET (왜 끊는지 궁금합니다)
모든 답은 자신이 작성한 코드에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살펴봐도.. 딱히.. 문제될 곳은 없다고 봅니다.
추측:
non-blocking을 말그대로 connect()부분을 빠져나오기 위해서 수행을 한다.
클라이언트 측에서 SYN_SENT 상태에서 syn에 대해서 특정 주기로 retry를 수행한다.
하지만 select() 이후에 timeout 아웃으로 인한 closesocket()으로 인해서...
세션이 연결된다고 하더라도... 연결을 종료한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