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방식 디지털 통신 봉화대, 제주도 정낭

cleansugar의 이미지

봉화대 기사
http://117.16.247.41/index.php?mid=bongsu

http://gangneung.grandculture.net/Contents/Contents?dataType=01&contents_id=GC00301766&isTreeSpread=Y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57&contents_id=5173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405&index_id=cp04050125&content_id=cp040501250001&print=Y

봉화는 산 꼭대기에서 불피워서 디지털 통신하는 방법입니다.

요즘 전파기지와도 위치가 겹친다고 합니다.

이 것 말고도 역참제도라고 말을 한시간 거리인 한참씩 두고 통신하는 제도도 있었습니다.

한참 걸린다가 여기서 유래되었고, 지명에 역이나 말자 들어가는 곳도 많습니다.

제주도에서 정낭(대문의 제주도 말)을 막대기 여러개로 쓰면서 막대기 한쪽을 빼서 기울이는 방법으로 통신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제주 정낭이 IT의 효시?…소통.배려의 정보관리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86296

제주도의 대문 ‘정“을 아십니까?
http://www2.mhj21.com/sub_read.html?uid=17541&section=sc120

cleansugar의 이미지

제주도의 옛날 대문에 있는 정낭의 개수의 의미

1. 정낭이 한개일 때 - 집 주인이 가까운 곳에 있어 금방 온다

2. 정낭이 두개일 때 - 집주인이 조금 먼 곳에 있어 얼마 있다 온다

3. 정낭이 세개일 때 - 집주인이 아주 먼 족에 있어 꽤 오래지나야 돌아온다

4. 정낭이 없을 때 - 집안에 사람이 있으니 들어와도 좋다

제주도의 옛날 대문을 만드는 것

1. 정주먹 - 정낭을 걸쳐 놓기 위해 집의 입구 양쪽에 세운 것

- 굵은 나무나 현무암을 적당한 크기로 다듬어서 만든다

- 세 개 정도의 구멍을 뚫는다

2. 정낭

- 정주먹 사이에 걸쳐 놓는 나무

- 정낭 갯수에 따라서 집에 사람이 있는지 알 수 있다

http://ask.nate.com/qna/view.html?n=7976367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