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개발 환경 구축 피하고 싶네요.

emptynote의 이미지

집에서 IP를 잡아서 웹서비스 중인데요.

톰캣의 경우 80 포트로 바꾼다고 해도

리눅스에서는 이를 이용할수없더군요.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추정하건데,

웹 서비스 포트를 80포트로 해 놓아서 tomcat 인식 불가가 아닌가 합니다.

어찌되었든 아파치+톰캣 으로 가는것이 맞긴 해서 그렇게 환경을 구축했는데,

제가 작성한 라이브러리를 연동시키려다 에러 로그라는것이

아파치+톰캣 연동쪽 로그에서 나오는데 그냥 tomcat 연결 실패라는 식의 메세지만 있어 정확한 에러 내용 추적을 못해서,

윈도우에서 톰캣만 띄우고 다시 디버깅 하는 과정에서 에러 내용을 보고 소스가 잘못되었음을 알게되었습니다.

개발 환경 구축 정말 어렵구나 다시한번 실감하네요.

지금 직장인데 집에 가면 다시 찬찬히 살펴 봐야겠네요.

어찌되었든 개발 문서를 만들려면 여러번 포맷&설치 반복하면서 문서 품질을 높여야 하지만서도,

아 이거 만큼은 로또 당첨되어서 사람 고용하고 싶네요.

atomaths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tomcat으로 80 포트 바인딩이 안되는 것은 이 이유 때문일 겁니다.
http://www.puschitz.com/InstallingTomcat.html#RelayingHTTPPort

emptynote의 이미지

정말로 깔끔하게 정리가 된 사이트네요.

제가 원하는 내용입니다.

문서 만드는데 설명해야할 항목 정하는것도 못햇는데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junilove의 이미지

윈도우에서는 톰캣만 띄워서 테스트하셨는데, 리눅스에서는 아파치 + 톰캣으로 하시는 이유가 있으신가요? 리눅스에서 그냥 톰캣을 80포트로 띄우는게 개발환경에는 더 간편할텐데요?

emptynote의 이미지

자체 개발하고있는 자바 서버&클라이언트 모듈의 활용 예로서

웹서버와 연동을 보여줄려고 하는데,

apt-get install로 설치된 tomcat을 80포트로 변경하면 로컬에서는 접근 가능한데,

외부에서는 인식을 못하네요.

지식이 얇아서 바로 이것을 바로 해결할수없었고,

아파치+톰캣 연동이 맞는것 같고 빠르고 편하게 가고자 해서 어쩌다 보니 이렇게 되었네요.

어제 그러니깐 4월10일 저녁에 다시 확인해 보니 localhost:8080으로도 테스트 가능했는데,

제가 잘 몰라서 확인을 못한거네요.

얼릉 회사에서 눈치밥먹으면서 웹페이지 작성해서 결과물을 꼭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