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독을 해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야 그 다음에 어떤 게 좋은 거고 어떤 게 쓰레기다 라는 걸 걸러 낼 수 있죠.
그런 능력을 학생때 키워두지 않으면 평생가도 남의 오더나 받고 피똥싸면서 입으로는 뭐든지 다 개발할 수 있다고 설쳐대지만, 실제 하는 거라곤 남의 소스 가져다가 // 지우고 자기 이름 집어 넣고, 변수명 조금 바꾼 다음에 자기가 개발했다고 떠드는 소위 cv 개발자 (ctrl+C, ctrl+V) 개발자밖엔 못 됩니다.
석사정도면 아직 걸음마 하는 시기라 논문의 난이도에 따라 좀 다르긴 하지만, 10-20페이지 남짓 논문 하나에 교수 도움을 받으면서도 한학기를 보내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물론, 이런식으로 몇학기 보내고 나면 이후부터는 속도가 꽤 빨라지긴 하죠.(그래도 하루당 몇편씩 이런건 불가능입니다. 천재소리 듣는 학생도, 유명한 교수도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선 그런경우는 없었습니다.) 물론, 그 몇학기동안 들이판 분야에 한정해서 속도가 빨라지고, (그럴일은 거의 없지만)다른분야 수학논문을 보게 될 경우는 보통 다시 걸음마하던 시절 속도로 내려갑니다. ㅎㅎ
50편은 너무 적죠...-_-대충 500편은 본것
50편은 너무 적죠...-_-
저만 하더라도 석사때 대충 500편은 넘게 본것 같은데요. 정독한것도 100편은 넘죠.
제가 아는 박사님은 박사과정이라면 하루에 무조건 3편은 읽고, 자기 분야 유명 저널은 매일 나오는 논문들의 제목이라도 따라가야 한다고 했습니다.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
그렇게 많이 읽나보군요. 500편 넘게 볼려면 한달에
그렇게 많이 읽나보군요.
500편 넘게 볼려면 한달에 20편씩은 대충이라도 봤다는건데...
논문 읽기가 쉽지 않던데, 대단하네요.
하루 2편 이상 정독이고, snowall 님 말씀대로
하루 2편 이상 정독이고, snowall 님 말씀대로 연구 방향 등을 잡기위해서라도 제목이나 앱스트랙트는 하루 2,30 편씩은 읽습니다. 그리고, 논문 써야 할 때나 학회에 내기 전에는 보통 하루 10 편 이상씩은 읽죠.
이래 저래 제 엑셀에 기록된 걸로 보니 3년동안 1800 편 이 정리되어 있고, 논문 제목과 앱스트랙트 정리된 건 3천편쯤 됩니다. 하지만, 저쪽방 박사형님은 저의 3배쯤 되더군요.
Quality over quantity.
Quality over quantity.
RET ;My life :P
그 퀄리티가 제대로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단
그 퀄리티가 제대로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단 수량이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다독을 해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야 그 다음에 어떤 게 좋은 거고 어떤 게 쓰레기다 라는 걸 걸러 낼 수 있죠.
그런 능력을 학생때 키워두지 않으면 평생가도 남의 오더나 받고 피똥싸면서 입으로는 뭐든지 다 개발할 수 있다고 설쳐대지만, 실제 하는 거라곤 남의 소스 가져다가 // 지우고 자기 이름 집어 넣고, 변수명 조금 바꾼 다음에 자기가 개발했다고 떠드는 소위 cv 개발자 (ctrl+C, ctrl+V) 개발자밖엔 못 됩니다.
정말 처절하게 공감합니다. ㅠㅠ 제가 그런 개발자이기
정말 처절하게 공감합니다. ㅠㅠ
제가 그런 개발자이기 때문이죠...남들이 만든 라이브러리나 사용하고 있죠.
원천기술이라는것이 뭔지도 몰랐고,
논문을 읽지 않으면, 평생 코딩머신으로 살아야 한다는것도 몰랐었습니다.
단지 슈퍼코더/해커가 목표였는데...
석사급 개발자를 만나고서 논문의 중요성을 알았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논문에서 제공하는 아이디어의 습득과 그것의 구현은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잘 아시겠지만, 구현할 수 있더라도 반드시 구현할 필요도 없는 것이고요.
(논문의 중요성을 폄하하는 것은 아닙니다)
연구와 개발(구현)이 다르다는것을 말씀하시려는거죠?
연구와 개발(구현)이 다르다는것을 말씀하시려는거죠?
그분에게 얼마나 읽어봤는지 물어보셨나요?
석사한 사람은 많은 논문을 읽는 경우가 많지는 않아요.
거기까진 물어보지 못했습니다.
거기까진 물어보지 못했습니다.
수학과같은 경우는
석사정도면 아직 걸음마 하는 시기라 논문의 난이도에 따라 좀 다르긴 하지만, 10-20페이지 남짓 논문 하나에 교수 도움을 받으면서도 한학기를 보내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물론, 이런식으로 몇학기 보내고 나면 이후부터는 속도가 꽤 빨라지긴 하죠.(그래도 하루당 몇편씩 이런건 불가능입니다. 천재소리 듣는 학생도, 유명한 교수도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선 그런경우는 없었습니다.) 물론, 그 몇학기동안 들이판 분야에 한정해서 속도가 빨라지고, (그럴일은 거의 없지만)다른분야 수학논문을 보게 될 경우는 보통 다시 걸음마하던 시절 속도로 내려갑니다. ㅎㅎ
놀랍군요.
솔직히 말해서 석사 2년 동안 500편이라니, 정말 믿기지 않는군요. 프로젝트에 매달리는 대다수 국내 대학원
연구실의 이야기가 아닌 것이라고 감히 추측해봅니다. 저는 읽고 싶어도 못 읽었다는 말이 나올터입니다.
저는 입자물리학 석사라서 그래요. -_-
저는 입자물리학 석사라서 그래요. 전산전공자가 아니랍니다. (전산은 학사만.)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
논문 읽는 양...
읽는 속도가 빨라지면 하루 2-3편씩은 평균적으로 읽어주는게 좋을것 같은데 아닌가용
논문 읽는 양...
읽는 속도가 빨라지면 하루 2-3편씩은 평균적으로 읽어주는게 좋을것 같은데 아닌가용